View : 1548 Download: 0

간호사의 혈액매개감염 예방행위 이행 측정도구 개발

Title
간호사의 혈액매개감염 예방행위 이행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s Prevention Scale
Authors
이경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compliance with the bloodborne pathogens prevention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Through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27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After a content validity examination by experts and the pre-test were implemented, 28 items were finally chosen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60 nurses at three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in South Korea. Among them, 439 met the inclusion criteria for analyses.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determining validity, four factors were drawn. The variance explained of four factors was 49.38%, which means that the developed scale explained the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s prevention. Moreover,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analysis, the final scale was composed of four factors and 18 items. The four factors were labeled as compliance with the report on the exposure and follow-up management (4 items),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 (8 items), compliance with the prevention of exposure using sharp objects (3 items), and compliance with the post-exposure treatment (3 item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with the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80 (p<.001), which prov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For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88. Through the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described above, the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s prevention was proved to hav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refore, this scale can be used to accurately measure the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s pre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d improve the prevention of bloodborne pathogens.;본 연구는 혈액매개감염 예방행위 이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도구 개발단계와 도구 검증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구 개발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병원간호사 8인의 초점집단면담을 통하여 27개의 예비문항이 도출하였고, 감염내과 의사와 감염관리전문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8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이를 통해 문항이 수정되었고, 28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국문학 전공자의 국문학적 검토를 받았으며, 예비조사를 통하여 설문도구로서 문항 이해도에 대한 평가를 받아 문항을 수정하여 28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도구 검증단계에서는 본 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서영희, 오희영(2010)의 표준주의 수행도 도구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 계수를 확인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 경기의 3개 병원에서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9월 28일부터 10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 4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443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충분한 응답으로 자료분석에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하여 43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무작위로 나누어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219부,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220부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과 MPLUS 7.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439명으로 평균 나이는 28.28세, 표준편차 4.94세였으며 여성이 92.3%(405명)였다. 임상경력은 1년 미만이 79명(18.0%), 1년 이상-5년 미만이 186명(42.4%), 5년 이상-10년 미만이 93명(21.2%), 10년 이상-15년 미만이 51명(11.6%), 15년 이상이 30명(6.8%)였으며 2개월에서 360개월의 범위에서 평균 임상경력은 62.32±59.67(개월)이었다. 지난 1년간 주삿바늘이나 날카로운 찔림 사고를 경험한 사람은 121명(27.6%), 눈, 코, 입 점막에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을 경험한 사람은 88명(20%), 손상된 피부에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 노출을 경험한 사람은 92명(21%)이었다. 이로 인해 노출보고서를 작성한 사람은 87명(51.5%)이 있었으며, 노출보고서를 작성하지 않은 사람은 82명(48.5%)이었다. 노출보고서를 작성하지 않은 이유로는 바빠서 50명(61.0%), 귀찮아서 16명(19.5%)순이었다. B형간염 항체를 가지고 있다고 대답한 사람은 383명(87.2%), 없다고 대답한 사람은 21명(4.8%), 모른다고 대답한 사람은 35명(8.0%)이었다. 2. 문항의 변별력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와 왜도, 첨도를 검토한 결과 정규분포의 가정이 성립되었다. KMO 검정 값은 .819,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은 p<.001로 유의하여 요인분석에 적합한 자료임을 확인하였다. 요인분석 방법은 공통요인분석을 사용하였고, 추정방법으로는 측정변수들이 다변량 정규분포를 이루었으므로 최대우도법을 적용하였다. 추출된 요인구조의 해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가정하는 사각회전(oblique rotation)인 Geomin 방법을 사용하였고, Kaiser 방식에 따라 고유치(eigenvalue)가 1이상인 경우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세 차례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이 4개로 추출되었고, 최종 19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감염노출 후 보고 및 추후관리이행’요인은 4개 문항, ‘표준주의지침 행위이행’요인은 8개 문항, ‘기구 사용시 감염노출 예방행위 이행’요인은 3개 문항, ‘감염노출 후 응급처치이행’요인은 3개 문항이 적재되었다. 3.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도출된 19개 문항이 4개 요인의 혈액매개감염 예방행위이행 구성요인에 따라 적합하게 도출되었는지 평가하기 위해 4개 요인구조를 가설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추정 방법은 최대우도추정법을 사용하였으며, 적합도 지수를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였다. 1개의 문항이 표준화된 추정치가 낮아 문항을 삭제하고 18개 문항으로 다시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적합도 지수는 CFI(Comparative Fit Index)는 .911,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은 .072, SRMR(Standardized Root Mean Residual)은 .062로 양호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4.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도출된 최종 18개 문항의 도구를 이용해 준거타당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은 표준주의 수행도 도구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개발된 도구와 표준주의 수행도 도구와의 Pearson 상관계수는 -.80 (p<.001)으로 나타나 개발된 측정도구가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s α 계수는 .88로 도구의 일관성이 확보되었다. 5.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규준을 마련하였다. 규준표는 전체도구의 합산 T점수와 원점수, 각 하위영역의 합산 T점수와 원점수를 활용하여 백분위로 나타내었다. 도구를 활용하여 도출된 점수별로 ‘이행정도가 높다’, ‘보통이다’, ‘이행정도가 낮다’로 해석할 수 있도록 점수를 구분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혈액매개감염 예방행위 이행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의 근거가 제시되었으며 모든 문항이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혈액매개감염 예방행위 이행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혈액매개감염 예방행위 이행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혈액매개감염 예방행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