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1 Download: 0

병원약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병원약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Authors
김민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연
Abstract
As the central duty of pharmacists has shifted from product-oriented to patient-oriente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hospital pharmacists to participate in patient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that integrate and strengthen clinical competence and capacity of hospital pharmacists.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pharmacist-training program which may be implemented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in Mokdong,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training programs of hospital pharmacists in foreign countries. We also surveyed the training programs at major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in Korea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educational programs for pharmacists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In the United Kingdom, training and experience start in Band 6, but pharmacists do not completely immerse in training and experience until Band 7 and Band 8b-d.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the Board of Pharmacist Specialtie (BPS) certification. We found that training programs exist in th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and Japan.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ining programs in other hospitals in Korea and Mokdong Hospital were the duration and contents for the entry-level pharmacists. (p> 0.05).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training program was greater than three points on the five-point Likert scale in the surve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based on the employment period of pharmacists. In the training program of clinical support work, the pharmacists who were involved in the actual work had high satisfaction levels (p <0.05). The top three items which pharmacists wanted were prescription appropriateness evaluation, patient evaluation and drug information. Thus, we have proposed the trainings such as clinical support for the new pharmacists should be separated into OT (orientation) and concentrate on actual work duty. In order to improve the expertices of hospital pharmacists, they were encouraged to participate the in-house seminar or certify the related field provided by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Moreover, it will be helpful to enhance pharmacists’ competency and it warrants a study regarding a desirable specific training programs for hospital pharmacists.;약사 업무의 중심이 의약품 중심(product-oriented)에서 환자 중심(patient-oriented)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병원 약사의 임상 참여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병원 약사의 제한된 인력에도 불구하고 임상지원업무가 증가하고 있고, 병동 회진 및 다학제 팀으로의 참여 확대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제한적인 환경을 감안하여 병원약사의 임상적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약사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약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로 2019년 개원 예정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서울병원(이대서울병원)에서 양질의 안전한 약료 서비스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약사 면허 취득 이후에 전문적 역량 강화를 위한 타 국가의 병원약사 전문화 과정을 조사하였다. 국내 서울•경기지역 주요 병원의 약사 교육 과정을 조사하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이대목동병원) 약제부 약사 대상의 약제부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영국 병원약사의 경우 Band6에서 시작하여 Band7, Band 8 a-d로 연수와 경력이 단계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병원약사의 인증제도로는 미국의 BPS(Board of Pharmacy Specialties) 인증 제도, 일본의 인정약제사(認定藥劑師) •전문약제사(專門藥劑師), 한국의 전문약사(KBPS: Korea Board of Pharmacy Specialties)제도가 있다. 타 병원의 교육프로그램과 본원의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시 가장 큰 차이는 신입약사의 교육 기간 및 내용이었다. 필수이수학점을 위한 병원약사회 교육, 원내 세미나 등은 유사하였고, 임상지원업무 교육은 업무팀 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모두 ‘보통’인 3점보다는 높았고 재직기간에 따른 업무별 교육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임상지원업무의 경우 실제 업무 수행한 약사가 교육만족도가 높게 나왔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보완 또는 추가 희망하는 교육 중 상위 3항목은 처방의 적절성 평가, 환자 평가, 약품 정보였다. 설문조사와 타 병원 및 다른 나라 약사 교육프로그램 조사를 기반으로 병원약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안)을 제안하였다. 유의한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차이는 실제 업무와 교육의 연관성에 있었으므로 신입 약사 교육 시 임상지원업무 등 기타 교육은 OT(orientation)으로 분리하고 실제 담당할 조제업무 교육에 집중하여 실무교육 강화를 제안하였다. 병원 약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임상지원업무 약사의 경우 기존 교육 프로그램의 원내 세미나, 병원약사회 학술활동 참여, 업무 교육 및 평가를 유지하면서 한국병원약사회의 관련 영역 전문약사를 2년내에 인증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약사 개인 역량 강화 만이 아니라 개인별 역량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업무별 필수 점검 항목을 구성, 교육하고 업무에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병원 전문약사라는 구체적 목표가 설정된 교육의 효과와 업무별 교육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전문성 강화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약료 서비스가 환자를 위한 최적의 의료 결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추후 개선안 시행 후 교육 만족도 연구를 통해 보완점을 찾아야 할 것이며, 병원약사로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비전 연구도 진행된다면 약사의 책임감 증진, 약사 역량 확대에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