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6 Download: 0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구내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

Title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구내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Oral Cryotherapy on Oral Mucositis, Reactive Oxygen Seri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Oral Comfor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uthors
신나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구내염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40%정도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즉각적인 간호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구내염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 제공은 필수적이다. 구강 냉요법은 구강 내 저온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국소적 혈관 수축을 일으키고, 항암제나 방사선으로 인하여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가 발생되는 과정을 차단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활성산소의 발생으로 인하여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킴으로써 항암제의 독성 노출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예측하여 볼 수 있는 간호 중재이다.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해 유발되는 구내염은 항암제 용량 감량이나 암 치료 기간이 연장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며 타액 변화, 작열감, 통증, 연하 곤란의 불편감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중재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냉요법을 적용하고 시점별로 구강 사정을 함으로써, 구강 냉요법이 구내염, 활성 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효과적인 간호 중재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냉요법을 6주의 기간 동안 2주 간격으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당일 약물 투여 시간동안 적용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부인암 진단을 받고 처음 Cisplatin, Gemcitabine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만 20세 이상 65세 미만인 여성으로 구내염 측정도구(Oral Assessment Guide) 8점의 구내염 정상 범위에 있는 대상자 이다. 등록된 대상자는 총 57명이며, 이 중 7명이 중도 탈락되어 최종 모집된 대상자는 실험군 25명, 대조군 25명이었다. 구강 냉요법의 적용기간은 Cisplatin과 Gemcitabine 각각의 항암화학요법 시작 5분전부터 항암화학요법 주입 30분, 항암화학요법 종료 30분의 총 65분 동안 생수 얼음을 중재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입안에 녹이게 하여 구강 내 저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항암화학요법의 주기 맞추어서 2주 간격으로 6주 동안 총 3차례(1차, 2차, 3차)의 항암화학요법이 진행되는 시간에 맞추어 1일 2회씩 적용되었다. 실험군은 일반적인 항암 환자 구강 간호와 항암화학요법 당일 구강 냉요법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항암 환자 구강 간호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효과 변수 측정은 사전, Cisplatin과 Gemcitabine 항암화학요법 1차 후, 2차 후, 3차 후에 시행되었다. 구내염은 Oral Assessment Guide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구강 안위감은 Oral Perception Guide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활성 산소는 Total Oxidant Stress 혈액검사로 측정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 alpha 혈액검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구강 건강 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구강 건강 관 련 특성의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와 Independent t- test로 분석하였고,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의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정규성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의 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 t-test, Mann 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시점에 따른 구내염, 활성산소, TNF-α, 구강 안위감의 변화량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 냉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내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연구 결과 구내염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차 항암화학요법 후, 2차 항암화학요법 후, 3차 항암화학요법 후 시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시간과 집단의 상호 작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강 냉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활성 산소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연구 결과 활성 산소는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전, 1차 항암화학요법 후, 2차 항암화학요법 후, 3 차 항암화학요법 후 시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시간과 집단의 상호 작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구강 냉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일부 지지되었다. 연구 결과 IL-6의 변화량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전, 1차 항암화학 요법 후, 2차 항암화학요법 후, 3차 항암화학요법 후 시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 또한 시점간 시간과 집단의 상호 작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NF-α의 변화량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전, 1 차 항암화학요법 후, 2차 항암화학요법 후, 3차 항암화학요법 후 시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시간과 집단의 상호 작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강 냉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 안위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구강 안위감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전, 1차 항암화학요법 후, 2차 항암화학요법 후, 3차 항암화학요법 후 시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시간과 집단의 상호 작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구강 냉요법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구내염 완화 및 구강 안위감을 향상시키고, 생리적 지표인 활성산소, TNF-α을 유의하게 변화시킴을 확인함으로써, 구강 냉요법이 구내염 완화, 구강 안위감 증진,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TNF-α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구강 냉요법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구내염 완화, 구강 안위감 증진, 활성산소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에 효과가 검증된 간호 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al cryotherapy on oral mucositis, reactive oxygen seri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oral comfort induced by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gynecology cancer. Using a randomized control group, a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oral cryotherapy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Oral mucositis was assessed with Oral Assessment Guide(OAG) and oral comfort was assessed with the Oral Perception Guide. Reactive oxygen series was measured with total oxidant stress(TOS) and two inflammatory markers interleukin-6 (IL- 6)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were examined. Fifty eligib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intervention group or non intervention group.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oral cryotherapy during chemotherapy, whereas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sual care consisted of normal saline gargles 3 times before meals. Data collection was initiated at the onset of oral mucositis after chemotherap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4.0. Baseline group differences in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chi-square test, and Mann-Whitney U-test. Group differences changes over time and the group by time interactions for oral mucositis score, reactive oxygen series, inflammato- ry cytokines, and oral comfort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for oral mucositis scores, reactive oxygen seri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oral comfort according to time interval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mucositis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F=5.512, p=.022). Similarly,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F=7.324, p=.003) and the group by time interactions (F=2.722 p=.015).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ve oxygen series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F=60.901, p<.001). Similarly,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F=28.170, p<.001) and the group by time interactions (F=10.942, p<.001). Moreover, the reactive oxygen series was according to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2nd and 3rd chemotherapy.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leukin-6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F=4.911, p=.019). But, there were neither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F=1.640, p=.207) nor the group by time interactions (F=0.711, p=.064).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umor necrosis factor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F=11.151, p=.002). Similarly,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F=26.921, p<.001) and the group by time interactions(F=7.411, p=.009). Moreover, the tumor necrosis factor was according to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1st chemotherapy, 2nd and 3rd chemotherapy.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comfort score between the two groups(F=4.519, p=.039). Similarly,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F=32.878, p<.001) and the group by time interactions (F=11.549, p<.001). Moreover, the oral comfort was according to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2nd and 3rd chemotherapy.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oral cryotherapy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urrent usual care with normal saline gargle in reducing oral mucositis, reactive oxygen series, inflammatory cytokine, and improving oral comfort in the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