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배제된 역사의 소환

Title
배제된 역사의 소환
Other Titles
Summon of Excluded History : Painting as Place Memory Work
Authors
강유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All places have a touch of human traces. Human beings transform time into history and space into place as they live. A place where an incident takes place as humans build a direct relationship remains as a 'historic place' and as a tangible relic and intangible memory. The traces left behind in a historic place act as a device for remembering history and plays an essential role for human beings to affirm their real existence. Due to frequent development and rapid social changes, the historicality of the present-day places are being shaken and filled with placelessness. Places are being filled with placelessness and it has become difficult to read the memories of a historic place and to affirm one's existence. Nowadays, it has become difficult to interact with places and with the disappearance of meaningful places, I feel that there is a need for 'Place Memory Work' which discovers historical places and adds new meaning to them. Place Memory Work enriches memories that make up the world by re-defining places. The movement that institutionally remembers places accredited with historicality and importance of memory are activated, sometimes leading to historical places being remembered anew in the form of recovery and redevelopment. However, besides creation and extinction, there are historical places that are consistently excluded from Place Memory Work. Out of historical places, I draw my attention to the 'Excluded Place' that is most alienated. Discovering an excluded place and remembering it signifies attention to excluded history. In case of disinterest in an excluded place in terms of social aspects, an excluded place can always be remembered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demand of the er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laces that are intentionally forgotten. An excluded place is sometimes created even if society doesn't attempt to remember the place and its history intentionally. Due to ideology, a certain place is erased socially and institutionally. Therefore, remembering an excluded place refers to an extension of social discussion as well as a summon of excluded history. Remembering an excluded place and embracing it as one unique place enables one to look at the past from a new perspective, understand the present and to lead the future. I propose art as a mean of remembering an excluded place. Art allows one to discover a new method for reconciling with the past memory and recovering it soundly. By facing a historical incident directly, interpreting with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recreating in a distorted way, it remembers, empathizes and consoles. As such, art enables to take a look at life differently, provides a clue for forming a new relationship with a subject and has the power to instill energy in Place Memory Work. I intended to remember an excluded place through conversation and to reconcile with it. The realistic achromatic colored landscape painting is my own method of remembering an excluded place. My Place Memory Work unfolds in 3 stages: Discovery, criticism and reconciliation. I attempted to reminisce the place by paying attention to a place in every stage, taking a look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building a new relationship. The memory work of an excluded place starts from daily life and involves expanding the denotation of interest, getting to know its memory one by one then finally, reconciling. I hiked up Mt. Inwang, examining the surrounding and started discovering places that existed in the outskirt. Centered on the mountain, non-daily situations such as outwatch took place in excluded places discovered here and there and inconvenience under control existed, too. Discomfort found in excluded places extended as interest with regards to the history of suffering arising from alienation. From the center of Jeju Island, I was faced with an outskirt of immense history. After discovering that there was an excluded place and history that existed as a isolated island, separated from the center, it ends with consoling and reconciling. By remembering the excluded place, I aimed to bring light to the place and its isolated history existing as an outskirt as the center. This is an act of reconciling with the place, attempting to remember the memory of it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through the past. Through Place Memory Work, I was able to turn my eyes to the world that didn't draw my interest and by reflecting the present on the history,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world surrounding me. This paper, as a study on as well as a result of the method of remembering a place, will become a methodical standard for me for discovering and remembering a new place and history in the future.;모든 장소에는 인간의 흔적이 깃들어 있다. 인간은 시간을 역사로, 공간을 장소로 만들며 살아간다. 인간과 직접 관계를 맺으며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는 ‘역사적 장소’로, 유형의 유물과 무형의 기억으로 흔적이 남는다. 역사적 장소에 남은 흔적은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장치가 되어, 인간이 자신의 실존을 확인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잦은 개발과 빠른 사회적 변화로, 오늘날 장소는 역사성이 흔들리고 무장소성으로 채워진다. 장소가 무장소성으로 가득해지며 역사적 장소에서 기억을 읽어내고 자신의 실존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장소와의 상호작용이 어려워지며 의미 있는 장소가 사라지는 오늘날, 본인은 역사적 장소를 발견하고 그것을 새롭게 의미화하는 ‘장소 기억 작업’이 필요함을 느낀다. 장소 기억 작업은 장소의 재의미화를 통해 세계를 형성하는 기억을 풍부하게 한다. 오늘날 역사성과 기억의 중요성을 인정받은 장소를 제도적으로 기억하는 움직임이 활발하여, 복원과 재개발의 형태로 역사적 장소들이 새롭게 기억되기도 한다. 그러나 생성과 소멸뿐만 아니라 장소 기억 작업에서도 꾸준히 배제되는 역사적 장소들이 있다. 본인은 역사적 장소 중에서도 가장 소외된 ‘배제된 장소’에 주목한다. 배제된 장소를 발견하고 기억한다는 것은 곧 배제된 역사에의 주목을 의미한다. 배제된 장소에 사회적으로 무관심한 경우, 시대의 요구에 따라 배제된 장소는 언제든지 기억될 수 있다. 반면에 의도적으로 잊히는 장소도 있다. 배제된 장소는 사회가 장소와 그것의 역사를 의도적으로 기억하지 않으려고 하므로 생겨나기도 한다. 이데올로기에 의해 사회적, 제도적으로 특정 장소가 지워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배제된 장소를 기억하는 것은 사회 담론의 확장이자 배제된 역사의 소환을 의미한다. 배제된 장소를 기억하여 하나의 고유한 장소로 끌어안는 것은 과거를 새롭게 바라보고 현재를 이해하며 미래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본인은 배제된 장소를 기억하는 방법으로 예술을 제시한다. 예술은 과거의 기억과 화해하고 온전하게 되찾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게 한다. 역사적 사건을 직접 대면하며 비판적 시각으로 해석하고 왜곡의 방식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기억하고 공감하며 위로하는 것이다. 이처럼 예술은 삶을 다르게 바라보게 하고 대상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실마리를 제공하여, 장소 기억 작업에 힘을 불어넣을 수 있다. 본인은 회화를 통해 배제된 장소를 기억하고 그것과 화해하고자 하였다. 사실적인 무채색의 풍경화는 배제된 장소를 기억하는 본인만의 방법이다. 본인의 장소 기억 작업은 발견, 비판, 화해의 세 단계로 전개된다. 본인은 각 단계마다 장소에 주목하고 그것을 다르게 바라보며 새롭게 관계를 맺으며 장소를 기억하고자 하였다. 배제된 장소의 기억 작업은 가까운 일상에서 시작하여 관심의 외연을 확장하고 그것의 기억을 하나씩 알아가고 화해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본인은 인왕산에 올라 주변을 살펴보며 변두리로 존재하는 장소를 발견하기 시작하였다. 산을 중심으로 곳곳에서 발견한 배제된 장소에는 감시와 같은 비일상적인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으며, 통제를 받는 부자유함이 존재하기도 했다. 배제된 장소에서 발견한 불편함은 곧 소외된 아픔의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었다. 본인은 제주도에서 거대한 역사의 변두리와 마주하였다. 중심으로부터 분리되어 외딴 섬으로 존재하는 소외된 장소와 역사가 있음을 발견하고 그것을 위로하고 화해하려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본인은 배제된 장소를 기억함으로써 변두리로 존재하는 장소와 그것의 소외된 역사를 중심으로 끌어올리고자 하였다. 이것은 장소와 화해하고 그곳의 기억을 회복하려는 노력이자,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는 행위이다. 본인은 장소 기억 작업을 통해 관심 두지 못했던 세계에 눈을 돌리고 역사에 현재를 비추어 본인을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장소를 기억하는 방법의 연구인 동시에 결과로, 본인이 앞으로도 새로운 장소와 역사를 발견하고 기억하는 데에 있어 방법적 기준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