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사진 리얼리티의 회화적 변용

Title
사진 리얼리티의 회화적 변용
Other Titles
The Pictorial Transformation of Photographic Reality : Revealing and Concealing Images
Authors
송수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사진은 19세기 중반에 발명된 이후 사람들의 지각작용을 확장하고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20세기 중반까지는 사진의 객관성에 근거하여 사진이 리얼리티를 반영한다는 믿음이 강했으나 1960년대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사진이 대중화되면서 사진이미지에 대한 리얼리티에 회의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론가들은 사진을 분석하며 담론을 확산시켰고, 회화는 사진을 직접 차용하거나 더욱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리얼리티에 대한 회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1990년대 들어서면서 사진은 디지털화되고, 그동안 객관성에 근거했던 사진이미지는 불확정적이고 유동적이며 비물질적인 이미지로 변화하였다. 본인의 작품은 이러한 변화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 사진이미지가 과잉 공급되고 소비되는 사회현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아내고자 한다.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여러 매체가 자유롭게 복합적으로 융합하는 컨버전스 문화 속에서 사진, 영화 등 여러 매체로부터 유래한 이미지들은 자유자재로 혼용되거나 혼합되는 역동적인 모습으로 변했다. 본인은 인터넷 포털을 통해 수집한 사건 현장의 리얼리티를 전달하는 보도사진 이미지 중 감정적으로 무덤덤하게 느껴지는 사진이미지를 가져와 재해석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이미지의 특성과 사진이미지의 코드화 과정에 주목하여 본래의 이미지가 가졌던 의미가 맥락을 달리하면서 새로운 것과 만나게 되는 과정에 집중하였다. 그래서 사진이 담고 있는 리얼리티가 변용되는 과정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회화적 표현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 보도사진을 가져오고 인식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19세기 사진의 발명 이후 사진과 순수예술의 접점과 이후 차용을 바탕으로 한 현대미술에서 리얼리티를 인식하는 방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피고 보도사진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해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보도사진을 그들의 작품에 반영하고 재맥락화시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해 낸 작가들의 작품에 관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본인의 작업에서 사용된 미학적 전략이나 예술적 의도와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인의 작업은 사진이미지를 수집하면서 느끼는 감정으로부터 시작해 해석하고 재전유하는 과정을 통해 이미지를 해체시킨다. 그다음 묘하고 독특한 정서적 반응, 정확한 메시지로 귀결되지 않는 부분에 관심을 가지며 화폭으로 이미지를 가져와 변형을 가하는 단계로 나아간다. 보도사진을 사실주의적으로 재현하지만 동시에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감추고, 드러내고, 병치하는 작업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보도사진이 담고 있는 사진의 리얼리티는 다의적인 의미를 지니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진에 충실한 재현이기는 하지만 회화적 변용으로 인하여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닌, 새로운 풍경화가 되어간다. 결국, 본인의 작업은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변형하면서 궁극적으로 내용 또한 변화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용의 결과로 사실적 리얼리티를 해체하고 사진이 전달하는 진실 그 자체를 새롭게 고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세 가지로 분류한 작품 분석 첫 번째는 다른 맥락의 이미지를 중첩시켜 새로운 풍경을 생성해내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사건이미지를 배치하고, 축소, 확대, 시점의 변화를 통하여 내러티브를 생성해 내었다. 두 번째는 도형을 삽입함으로써 이미지를 감추는 동시에 관심을 집중시키며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여는 작품이다. 캔버스를 나누어 불연속적인 화면을 만들어내는 시도, 표면을 갈면서 질감의 변화를 통해 내용을 전달하거나 변형시킨 도형을 이용해 핵심을 감추는 시도 등 다양한 형식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는 전혀 다른 내용을 내포하고 있는 이미지들을 함께 병치시키는 작업에 관한 것이다. 요소들은 한 화면에서 조화를 이루는 것 같지만 묘하게 충돌하며 그 안에 내포된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업분석을 통하여 사진 속 리얼리티의 변용에 대해 탐구하며 그것의 본질에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Photography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expanding people's percep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ld ever since its invention in the mid-19th century, and an unshakable belief on the objectivity of it was shared among people until the mid-20th century. However, since the 1960's - when photography became generaliz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 the reality captured by photographs was challenged by a rising skepticism against it. Theorists from the era created and diffused discourses on photography, while painters demonstrated the distrust by appropriating photographs on canvas or depicting the reality in a more 'realistic' manner. Entering the 1990's, photographed images became ever more indeterminate, fluid and immaterial as the photography when through digitalization. With my artworks, I aim to focus and critically view on a social phenomenon of this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 on how photographic images are oversupplied and consumed. In this epoch of ‘convergence culture’where different media are freely hybridized, images produced by such media as photographs and films are intermixed and thus look more dynamic in their appearances. As for my works, I collect from online websites some news photos that are to deliver the reality of certain incidents, and I select affectless images among them for visual reinterpretations. In doing so, I concentrate on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as well as the process of codification through which the original meaning of a photographic image is re-contextualized when met with new image-signs. In analyz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people select and perceive of a news photo, I first researched on how the notion and procedure of cognizing the reality has changed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rtworld - to which both the fine arts and photography have been subsumed since the advent of photography in the 19th century, and where appropriation is habitually employed as one favored technic - and then inquire how the photo has to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thesis includes case studies on a number of artists who, upon utilizing news photos in their works, re-contextualize the images and create new meanings. It also contains comparative analyses on aesthetic strategies and artistic intentions reflected in those artists' and my own. Starting from examining my emotions felt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photographic images, my artworks deconstruct the images by reinterpreting and re-appropriating them. Then, I move on to transforming the images while concentrating on the odd and peculiar emotions, or on inexpressible and indefinable messages I feel from them. Despite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a news photo, I aim to derive multifaceted meanings from it through by means of reinterpreting, concealing, revealing, and juxtaposing. This pictorial transfiguration, as a result, demonstrates a new landscape that is at the same time substantially realistic, yet elicits new meanings different from its original image. Along with the visual transformation, my works are to transfigure the contents - in the ultimate sense. With the outcomes of transfigurations, I hope to deconstruct the ‘realist' reality and give the audience a chance to re-ponder on the notion of reality that photography displays. One representational strategy, out of three, that I employ in my artworks is to create a new landscape by overlaying some images of different contexts. In arranging, reducing, and magnifying the images or changing viewpoints reflected in them, new narratives are expected to be created as well. One other strategy is of concealing some parts of the original image by adding figures onto it. This is to readily catch the audience’s eyes and to open up rooms for diverse interpretations. Such formal experimentations include creating discontinuous scenes by partitioning the canvas, changing the texture of images by grinding the surface, and covering the core contents of an image with transformed figures. The other strategy is about juxtaposing some images, each of which contains a total different sense from one another. The apparent harmony on the screen is only to belie subtle collisions among formal elements which, when captured, leads a revisit to the manifoldness of implications. In applying these three representational methods to my artworks, I explore my notion on the pictorial transformation of photographic reality, as well as the essence of the reality it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