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재구성된 이미지를 통한 지각의 불확실성 표현

Title
재구성된 이미지를 통한 지각의 불확실성 표현
Other Titles
Representing uncertainty through reconstructed images
Authors
권소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경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For humans, time and all the interconnected constant events all occupy the same space. For instance, we become aware of a circumstance as it happens, and all the events within that circumstance are perceived and designated as the present, thus creating a sense of consciousness at the very same time. The most direct and immediate act as an observer in this process is ‘to see’ the imagery in the circumstance. However, we see through our experiences and personal tendencies in a subjective lens rather than from an objective eye. Therefore, as observers, one wonders what else is added to our perception of the events we witness. This thesis will explore how one’s individual experiences and judgement affects how one perceives and reconstructs the circumstances one ‘witnesses’ into an unreliable image. This will be followed by further investigation into influential new media and developments that interfere and intersect within these temporal experiences, while also referencing the ways time, movement, and imagination affect and cloud perception. That is where an individual’s experiences are understood and revelations manifested, through a lens that combines personal experience, memories, and emotions in space and time. At this point, one’s head, filled to the brim with recollections, and experiences draws ‘images in the mind.’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simulation.’ While this ‘simulation’ is triggered by a real seen event, a difference that occurs between what is actually seen what is perceived. While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vague and indistinct, and clear and lucid, when someone witnesses an event that leads to a personal revelation, those perception of the actual event can differ due to the individual emotions and judgements that can interfere with one’s sensibilities. This unreliable sensibility does not hinder understanding of actual events, instead ha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n inspiration and driving force that stimulates one’s imagination and artistic creativity. Due to issues arising from these ‘habits of viewing,’ one’s realization that their memories may differ from objective reality, whether images or video reconnects and reinvents these circumstances are of interest in development and experimentation in this thes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work is triggered by a specific incident or situation. This can be an image captured in a photograph, or initially it may be not be related to true events, but an unknown situation that can only be described with words. These chosen instances aren’t out of the ordinary or surreal circumstances. Instead, they are everyday, routine experiences. The audience can infer from the titles of each piece what kind of circumstance the work is based on, and transpose that understanding onto the image on the picture plane. These work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or contradict experienced events. Rather, they are links and connections between gaps, like the video elements stealthily placed to equip one with a perspective to answer the viewer’s expectations. The details placed in ‘between-spaces’ are not unrealistic or unimaginable, but have plausible reasons to appear, if they disappear in the setting they will still be involved somehow or reappear in the image.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se circumstances reveal the dormant and subconscious sensibilities in our perception, and this cannot be depicted chronologically or in a superficial illustrative manner. Instead they are expressed more effectively through with ambiguous indefinite imagery. ;우리는 언제나 시간과 맞물려 지속되는 사건들, 그 한 가운데에 있다. 이처럼 상황을 인식하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지각하는 것은 현재라고 칭하는 의식 속에서 동시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본다는 것’은 사건의 이미지를 바라보는 관찰자의 역할에서 가장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우리가 객관적인 눈이라 여기는 카메라의 시선조차도 이미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태도로서 본다는 것을 부정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관찰자로서, 혹은 사건에 포함된 한 부분으로써 일어남을 본다는 것은 무엇일까.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경험과 판단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고 재구성되는 어떤 사건을 ‘바라보는’ 불확실한 본인의 시각과 태도에 관해 설명한다. 나아가 이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매체의 발달과 이로 인해 교차되고 혼재되는 시간성에 대해 논하면서, 본인이 바라본 이미지 너머의 보이지 않는 요소들인 시간과 운동, 그리고 상상력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다. 여기서 본인이 인지한 사건들은 사적인 경험과 기억, 그리고 감각이 더해져 혼재된 시공간 속에서 이해되며 실재와는 또 다른 이미지로 발현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자신만의 경험과 기억으로 채워진 ‘머릿속에 그리듯’ 시뮬레이션(simulation)된 사건은 실제 바라본 어떤 장면에서 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것과 보지 못한 것들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희미하고 불분명한 것, 뚜렷하고 선명한 것의 정도로 구분 지어지는데, 결국 어떤 사건을 바라보고 지각하는 과정에서 가장 차이를 가지게 되는 것은 개인이 느끼는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선택과 판단, 그리고 유추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확실한 지각의 과정은 사건을 이해하는 측면에서 방해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상력을 자극하고 예술적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때문에 ‘사건을 바라보는 태도’에 관한 문제에서 본인의 지각이 어떠한 지점을 실재와 다르게 기억하고 인식하는지, 혹은 어떠한 이미지가 연상되고 이것들이 재-연결되어 상황을 만들어 가는지에 대한 호기심에서 실험적인 작업으로 발전된다. 본인의 작업은 특정 사건을 제시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것은 포착한 하나의 사진 이미지일수도 있고, 혹은 실체가 없이 언어로만 설명되는 미지수의 사건인 경우도 있다. 이렇게 선택된 사건은 특별하거나 초현실적인 상황에서 벌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이고 평범한 이미지로 느껴지는 것들이다. 작품의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사건의 정보와 화면의 이미지는 서로 치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긴장감 있게 유지한다. 이는 경험한 사건과 그려진 사건의 일치나 불일치와 같은 반전을 주고자 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틈새의 연결고리 사이에서 연상되는 요소들을 은근슬쩍 삽입하면서 예상과 기대에 부응하면서도 시선을 끄는 장치들을 넣고자 한 것이다. 이처럼 ‘사이-공간’에 놓인 부수적 요소들은 마찬가지로 비현실적이거나 상상도 못할 것이 아닌, 있을 법한 상황 속에서 등장하거나 사라지며 사건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데에 있어 깊게 관여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건의 연대기적 흐름을 묘사하면서 삽화적인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욱 불확실하고 모호한 이미지를 통해 사건의 표면적 이미지보다는 그 이면에 잠재된 시간과 운동을 표현하고자 한 것임을 밝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