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임다래의 작품 연구

Title
임다래의 작품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four compositions by Lim, Darae.: 1. The Road Not Taken for Clarinet in Bb and Piano (2017) 2. Trio for Clarinet in Bb, Violoncello, and Piano (2017) 3. Menari-tory for Violoncello and Piano (2017) 4. The Road Not Taken for Soprano and Chamber Ensemble (2017)
Authors
임다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승현
Abstract
This thesis is an analytic study of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structural devices and pitch materials of Da-rae Lim’s recent works. These were performed on her graduate recital on May 30th, 2017 at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and included the following: The Road Not Taken for Clarinet in Bb and Piano, Trio for Clarinet in Bb, Violoncello, and Piano, Menari-tory for Violoncello and Piano, The Road Not Taken for Soprano and Chamber Ensembl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background of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musical materials. The Road Not Taken for Clarinet in Bb and Piano, in single movement form, is inspired by American poet Robert Frost. The clarinet’s pastoral timbre was specially selected as the instrumentation to express the poetry’s sensibilities. The figural regularity on piano expresses a feeling of expectation and desire, whereas the clarinet’s freer passages expresses possibility. The form of the piece (ABCA’DE)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poem, which has only few repetition in stanza. The study of this work also focuses on the details of its non-functional pitch centricity based on a series of trichords. The Trio for Clarinet in Bb, Violoncello, and Piano is inspired by the novel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by Milan Kundera. In his novel, he expresses that “the crystallized surface is a mendacious matter, but the covered truth is a labyrinth.” which is used to form the musical narrative. The contrasting words of “truth” and “untruth” becomes the body of expression for each movement. The first movement, inspired by Mozart’s Kegelstatt k. 498, is a “Prelude” containing “a deep truth of humaness” based on a series of Set-Class prime forms derived from (014). The second movement, inspired by John Harbison’s String Quartet no. 2, focuses on four different thematic sources (as a “fragmental mobile”) and symbolizes “a mendacious matter” through the expression of leggiero in the strings. The third piece, Menari-tory for Violoncello and Piano contains a folk-like tune from the Eastern province of Korea. The name, Menari-tory refers to a musical tradition of Korea. This composition’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folk music and how it influences the musical materials of Lim’s Menari-tory. Based on a “germ motif,“ this piece is analyzed into seven different sections (A-B-A’-Codetta-C-D-A’’), where this motif prevails the almost entirely. The pitch material employed in Menari-tory has several characters, such as the prevailence of major 3rds and perfect 5ths, which is in reference to the intervallic content of the soource material. Furthermore, the signature ornamentations from the traditional music are incorporated into Lim’s music, with some transfiguration. Within this discussion, the paper also demonstrates the relevancy between new and tradition. For the fourth piece, The Road Not Taken for Soprano and Chamber Ensemble, is also a citation of The Road Not Taken by Frost. While the prior composition is a narrative through (non-vocal) instrumental music, this is a vocal text setting. The structure of the piece reflects the form of the poetry, being divided into four parts (A-B-C-D.) The “quasi-appoggiatura,“ a type of dramatic motive from the introduction, prevails nearly the entire piece. Even though this music is composed on the basis of atonality, several parts employ emotionally quasi-tonal lyric sentences based on the 4th and 5th intervals. This study details the structure, manner, characteristics, and word painting tendencies, while demonstrating its relationship through non-functional pitch centricity. In conclusion,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various textural ideas from literature, Korean tradition and personal experience shape the creative ideas of the compositions. Outlining the overall concept, while characterizing each piece, the musical atmospheric signature is explained. These elements define the purpose and personal style of the composer.;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작곡과 임다래의 석사 졸업 연주회를 위한 네 개의 작품에 관한 연구다. 대상은 Bb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 (2017), B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2017),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메나리토리> (2017), 그리고 소프라노와 실내앙상블을 위한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 (2017)이며, 이화여자대학교 국악연주홀에서 2017년 5월 30일 초연되었다. 이 논문을 통해 각 작품의 창작 배경과 의도를 밝히고 형식과 구조, 작품의 재료로 사용된 소리의 원리 등 작품에 적용된 중요 요소들을 분석했다. Bb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가지 않은 길>은 로버트 프로스트(Robert Frost, 1874-1963)의 <가지 않은 길>을 읽은 뒤 얻은 개인적 심상을 음악으로 작곡한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 이 작품은 프로스트의 시어가 제공하는 관조와 더불어, 개인적 사유, 즉 내 삶을 지배하던 순수한 열정도 담고 있다. 이 작품의 피아노에 등장하는 규칙성, 즉 같은 음과 유사한 음정의 반복은 지나온 날들의 내 순수함을 의미하는 반면, 클라리넷의 자유로운 패시지들은 내가 아직 가보지 못한 새로운 길을 향한 희구를 표현한다. 한편 이 작품의 기본적인 구조는 시의 구조와 닮아있다. A-B-C-A’-D-E라는, 회귀하는 법이 드문 구조를 가지게 된 이유를 밝힌 후, 각 부분을 형성하는 음악적 요소들을 분석했다. B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는 밀란 쿤데라(Milan Kundera, 1929- )의 텍스트와 존 H. 하비슨(John H. Harbison, 1938- )의 음악에서 영향을 받았다.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 나오는 “앞은 파악할 수 있는 거짓이고, 뒤는 이해할 수 없는 진리” Milan Kundera,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이재룡 역 (서울: 민음사), 114쪽. 라는 문장에 담긴 진실과 허위의 상반되는 의미를 두 악장을 통해 표현했다. 반대되는 두 개념처럼 두 악장의 형식, 소리의 원리 등이 대조적이다. ‘프렐류드’라는 부제를 가지는 첫 악장이 ‘수수께끼 같은 내면’에 담긴 ‘진실’을 노래하는데, 이 진실이란 음형 속 014의 모양으로 발견된다. ‘명징한 외면’을 가장한 ‘가벼운 거짓’을 나타내는 2악장은 존 하비슨의 에서 ‘레지에라멘테(leggeramente, 빠르고 가벼운)’ 부분의 재현을 의도한 것이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메나리토리>는 한반도 동부 민요 메나리토리의 요소를 담고 있다. 메나리토리는 상행 선율과 하행 선율이 서로 다른 것과 ‘레·도’ 장식음이 많은 것이 특징인데 이 작품도 같은 특징을 갖는다. 메나리토리의 시김새를 작품에서는 3도와 4도의 음정으로 노래하고 있는데 이 음정은 곡의 전개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민요의 특징인 선창, 후창의 형태를 이 작품에서는 첼로와 피아노가 따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작품의 구조와 음악적 소재, 음과 음정의 사용 방법과 더불어 한국 전통 음악인 ‘메나리조’에 관해 알아본 후, 이 작품에 전통 음악이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프로스트의 기악적 인용이 Bb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가지 않은 길>이었다면 소프라노와 실내앙상블을 위한 <가지 않은 길>은 이 시의 성악적 인용이다. 시의 4연 구도를 따라 작품도 네 개의 부분으로 구분했으며, 관조적이면서도 목가적인 시의 텍스트가 작품의 전반적 분위기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작품의 구조를 밝히고 각 부분을 특징짓는 음악적 요소를 분석했으며, 시어가 의미하는 맥락과 이미지를 어떻게 음악화 하였는지 그 과정을 분석했다. 또한 이 작품의 소리는 음향의 면에서 불협화와 협화가 혼재되어 있는데 이에 담긴 의도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위 연구를 통하여 네 개 작품의 작곡 배경 및 의도를 알아보고 각 작품이 무엇으로부터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각 곡의 부분들을 구성하는 중요한 음악 요소와 그 특징에 관해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