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근대 “복합 문화공간”의 탄생과 “취미”의 이중연출

Title
근대 “복합 문화공간”의 탄생과 “취미”의 이중연출
Other Titles
The Birth of the Modern Complex Cultural Space, Bumingwan(1935~1945) and the introduction of discourse on hobby.
Authors
공애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채현경
Abstract
본 연구는 1935년부터 1945년까지 경성의 대표 연주회장이었던 부민관의 흥행과 성공을 근대화 과정의 중요한 문화 매체이자 일보의 식민통치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등장한 취미담론의 시각에서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취미담론의 도입 과정을 확인하고, 한반도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파악한다. 이는 식민지 상황에서 대규모의 연주회장이 등장하게 되고 청중들이 선호하게 된 배경과 이유를 탐구하기 위함으로 당시 일본의 식민정책의 아래에 있던 교육과 문화, 사회제도에서 나타난 취미와 조선인들의 취미 수용의 이중연출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취미의 시각화로 나타난 취미의 시각화로 나타난 1930년대 초 주요 연주장회장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당시 경성의 주요 실내 문화공간 중 황성기독교 청년회관 (YMCA, 1903)과 경성공회당(1920~1950), 대구공회당(KG, 1931~)을 다양한 측면, 즉 규모와 연주자, 관객의 특성을 분석하여 초기 연주공간에서의 음악문화 현황을 먼저 알아본다. 이는 기존의 연주회장과 부민관과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당시 연주자와 관객들의 의식의 성장으로 점차 자리잡혀가는 연주회문화를 파악하는 것은 필수이다. 본 연구자는 『동아일보』와 『매일신보』의 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부민관의 무대, 기획, 연주자, 관객으로 구분지어 집중적으로 비교분석한다. 이는 부민관의 의의를 탐구하는 과정으로 일제강점기 도시개발과 40만 부민들을 위한 취미문화 공간의 필요성에 따라 탄생한 부민관의 역할과 의미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1930년 중반부터 해방 전까지 경성의 연주회를 독점했으며, 당시 연주자들과 관객들의 높은 관심과 성황을 이끈 공간으로 부민관은 취미의 이중연출로 인한 식민자의 억압 속에 피어나는 식민지인의 잠재성이 담겨있는 곳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의 연주회장 문화 성장의 전환점을 제시했으며, 현존하는 근대건축물로 중요한 부민관에 대한 음악적·역사적 의의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success and significance of Bumingwan, a representative concert hall of Kyungsung from 1935 to 1945, accroding to the viewpoint of the discourse on hobby, which was adroitly introduced by the colonial Japan as a means of modernizing and manipulating Koreans under the colonial rule I first examine the emergence of the hobby discourse and traced its us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i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explore the background and reasons behind the appearance of large concert hall in the colonial situation and the preferences of audiences, this study discuss the dual presentation of hobbies within the contexts of education, culture, and social systems under Japanese colonial policy and reception of hobby by the Koreans. In order to undestand the major concert halls in the early 1930s as the visualization of hobbies, Hwangseong Christian Youth Center (YMCA, 1903), Kyungsung Public Hall (1920-1950), Daegu Public Hall (KG, 1931 ~)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cope, performers and audiences and the distinct attributes of the Bumingwan can be compared to the early performance spaces. The growing awareness of performers and spectators on the nature of performing arts at the time led the concert culture to gradually become established. Focusing on the daily newspaper articles from <> and <>, this studyanalyze the role of the stages, projects, performers and audiences of the public halls. According to my observation, Bumingwan was available due to the necessity of the hobby culture space for 400,000 populations and urban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monopolizing Kyungsung's cultural activities from mid-1930s up to the time of liberation, Bumingwan, the space that attracted both the performers and audiences at that time, carried the dual roles, one is to manipulate Koreans undrer the colonizing regime. and the other is to modernize Koreans through spreading modern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argues a new point of view that Bumingwan as one of the modern building of the time not only provides a new space for modern music and culture for Koreans but also ironically carried a role of manipulating Korean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due to the introduction of discourses on hobb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