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5 Download: 0

예술 장에서의 아마추어 예술가

Title
예술 장에서의 아마추어 예술가
Other Titles
A study on amateur artists in the field of art : art practice in everyday life and symbolic struggle
Authors
김보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천혜정
Abstract
예술 시장에서 예술 생산자와 소비자의 정체성이 중첩되거나 역할이 모호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더 이상 예술 소비자들은 누군가에 의해 완성된 형태로 공급되는 예술 상품의 수동적 소비자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으로 창작 과정에 참여하거나 나아가 스스로가 생산자 역할을 하고 있다. 예술 시장에서 수동적 예술 소비자가 아마추어 예술가로 등장하면서 이제까지 생산자로서의 프로페셔널 예술가와 소비자로서의 대중으로 구분해온 시각은 변화하였으며 더 이상 생산자와 소비자, 혹은 창작자와 향유자라는 이분법적 도식으로는 아마추어 예술가의 역할과 활동의 변화를 설명하기 어려워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술시장의 변화 흐름에 착안하여 아마추어 예술실천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고 나아가 예술 장에서의 아마추어 예술과 프로페셔널 예술의 상징투쟁의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아마추어 예술실천에 관한 연구이다. 페더스톤(Featherstone)이 주장한 ‘일상생활의 심미화(The 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이론을 중심으로 아마추어 예술가는 예술실천의 과정에서 어떠한 것을 경험하며 그러한 경험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두 번째는 예술 장에서의 아마추어 예술가와 프로페셔널 예술가의 상징투쟁에 관한 연구이다. 예술 장에서 ‘누가 예술가인가’라는 상징권력을 획득하기 위해 프로페셔널 예술가와 아마추어 예술가 간에 발생하는 상징투쟁의 양상을 부르디외(Bourdieu)의 ‘장(場, Field)’ 이론과 ‘상징투쟁’ 이론으로 살펴보았다. 아마추어 예술가가 예술실천을 시작하게 되는 계기는 각기 다르다. 유년기나 청소년기의 예술경험이 근원적인 계기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성인기에 느끼게 된 사회생활이나 대인관계 측면에서의 필요성 등 실용적인 동기로 예술실천을 시작한 경우도 있다. 아마추어 예술가는 예술실천을 통해 예술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예술적 성취감을 경험함으로써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다. 또한 예술실천의 과정에서 아마추어 예술가는 시간과 자원의 배분과 같은 어려움과 갈등을 겪기도 한다. 하지만 예술실천을 통한 삶의 변화가 직업과 일상생활 그리고 장래의 인생 등 다양한 삶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침으로써 예술은 이들의 삶의 일부로 자리 잡는다. 페더스톤(Featherstone)은 포스트모던 소비문화와 관련하여 다다(Dada), 댄디즘(Dandyism), 과잉 생산된 이미지와 기호(produced a surfeit of images and signs) 등의 영향으로 일상생활이 심미화 되어가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아마추어 예술가의 예술실천을 통한 삶의 변화는 페더스톤이 주장한 일상생활의 심미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아마추어 예술가의 예술실천은 21세기의 새로운 댄디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예술실천의 과정에서 아마추어 예술가는 프로페셔널 예술가로부터 영향을 받고 이들을 모방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자신만의 예술을 표현해내고자 하는 지점에 이르고자 한다. 반면 프로페셔널 예술가는 아마추어 예술가의 예술실천이 갖고 있는 긍정적 역할은 인정하지만 아마추어 예술가의 예술실천을 자신들이 해온 예술적 활동과는 다른 것으로 인식한다. 이 지점에서 ‘누가 예술가인가’하는 상징권력을 둘러싸고 아마추어 예술가와 프로페셔널 예술가 간의 상징투쟁이 발생한다. 상징투쟁의 결과 아마추어 예술가도 일상에서의 예술실천을 통해 예술 장 안에서 예술생산의 주체로서 프로페셔널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예술가의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다만 상징투쟁의 결과로 아마추어 예술가가 획득한 예술가로서의 지위는 기존의 프로페셔널 예술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르디외(Bourdieu)의 ‘제한생산의 하위장(small-scale production)’의 논리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간생산의 하위장(mid-scale production)󰡑이라는 새로운 하위장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중간생산의 하위장은 기존의 제한생산의 하위장을 포괄하면서 아마추어 예술가라고 하는 새로운 영역이 추가된 하위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중간생산의 하위장에서 아마추어 예술가는 경제적 측면에서는 자신의 다른 직업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자율성을 확보하는 반면, 예술적 측면에서는 기존의 프로페셔널 예술가가 형성해온 예술적 규범과 권위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중간생산의 하위장에서 아마추어 예술가는 프로페셔널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예술을 생산하는 주체적 역할을 해내며 ‘정당화 가능한 영역’에서 ‘정당성의 영역’에 다가가려는 ‘중간예술’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마추어 예술실천이 일상의 삶 전반을 변화시키고 심미화시켜 나가는 중요한 요인이며, 비록 아마추어 예술가의 지위나 역할이 기존의 예술 장 안에서 프로페셔널 예술가의 것과는 다를지라도 아마추어 예술가가 예술 장을 구성하는 중요한 주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시장이 프로페셔널 예술가에 의해 생산되는 예술작품과 그러한 예술작품을 소비하는 수동적 소비자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협소한 시각에서 벗어나 아마추어 예술가를 예술시장의 새로운 생산자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아마추어 예술가는 예술실천을 통해 수동적 소비에서 머물지 않고 가장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형태의 소비를 함으로써 기존의 프로페셔널 예술가의 영역과는 다른 새로운 의미의 예술생산을 담당한다. 아마추어 예술가에게 예술은 단순히 자신의 삶을 장식하고 유희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내보이기 위한 과시의 요소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이미 해당 예술 분야의 소비자였던 아마추어 예술가는 예술실천을 통해 얻게 된 학습과 경험을 통해 좀 더 심화된 예술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해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예술시장에는 프로페셔널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진 예술상품이 단순히 향유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소비되는 방식만이 아니라 향유자 스스로 만들어낸 예술상품을 스스로 혹은 또 다른 향유자들이 소비하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구조가 나타나게 된다. 예술시장의 새로운 생산자이자 소비자인 아마추어 예술가들의 예술실천은 정책적 관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아마추어 예술실천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은 예술정책이 ‘문화의 민주화(democratization of culture)’즉 고급예술에 대한 향유의 확대에서, ‘문화 민주주의(cultural democracy)’ 즉 창작과정에 대한 향유자의 참여 확대와 참여 자체의 가치에 대한 재인식의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공공영역의 예술지원의 무게가 예술가보다는 향유자를 중심으로 옮겨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아마추어 예술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지원체계 확립은 기존의 예술에 대한 수요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새로운 예술시장을 창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예술시장 전반의 활성화를 통해 프로페셔널 예술가의 경제적 기반 확충에도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 예술 장르별로 예술실천의 기간이나 수준, 발전 정도에 편차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아마추어 예술가의 예술실천 기간이나 시작 계기 혹은 예술 장르별 차이가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좀 더 체계적인 심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최근 들어 대중문화 분야에서도 아마추어 예술가의 활동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고급예술과 대중문화 영역에서 아마추어 예술가의 역할이 어떠한 차이를 보여주며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가에 대해 비교연구를 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아마추어 예술실천이 일반적인 여가활동과 더불어 은퇴 후 노년기 활동의 관점에서도 유의미한 대안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여가나 노령사회 연구와 연계한 복합적인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그 동안 예술산업에 관한 연구가 주로 프로페셔널 예술가의 활동에만 치중되어온 점을 감안할 때 아마추어 예술가를 포함한 좀 더 거시적이고 포괄적인 예술 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rt industry, the identity of art producers and consumers is increasingly overlapping so much so that their individual roles are becoming harder to determine. Art consumers no longer remain the passive consumers of art goods that they once were, where they were supplied in a single form having been completed by someone else first. Instead, art consumer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reative process or becoming producers themselves. With passive art consumers developing into amateur artists within the art industry, the division separating professional artists as producers and the public as consumers has changed. Furthermore, the binary diagram of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or the creator and the user can no longer explain the changes in role and activity of amateur artis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amateur art practice based on such changes in the art industry. The study also aims to identify aspects of symbolic struggle in the field of art.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presents the research concerning the art practices of amateur artists. For the research, the study identified what amateur artists experience during their art practice process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based on the 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as suggested by Featherstone.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symbolic struggle as presented by amateur artists and professional artists within the field of ar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lements of symbolic struggle occurring between professional artists and amateur artists striving to obtain the symbolic power associated with 'Who is the artists" in the field of art. The study researched symbolic struggle with the theory of the field and the theory of symbolic struggle as suggested by Bourdieu. The amateur artists each started their art practices for different reasons. It is common for amateur artists to create their identity as an artist by experiencing various artistic achievements, which further develops as their awareness and life experiences also change and evolve. In terms of the art practice process, amateur artists will experience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time and resources that they can allocate to their art. However, it is clear that art is central to the lives of amateur artists and influences all aspects of their lives even away from their art. The changes in life of amateur artists through art practice can be explained by the 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as claimed by Featherstone. Regarding post-modern consumer culture, Featherstone analyzed how contemporary ordinary life changes by dada, dandyism, and excessively produced images and signs. Featherstone referred to the amateur artist who is practicing art as the new dandy in the 21st century. In terms of the process of art practice, amateur artists are influenced by professional artists to the extent that amateur artists imitate them. Eventually, however, amateur artists aim to express their own art. On the other hand, although professional artists recognize the positive role of amateur artists' art practice, professional artists perceive the art practice of amateur artists differently from their 'professional' artistic activities. At this point, symbolic struggle occurs between the amateur artist and the professional artist, where a symbolic power struggle appears over 'Who is the artist' in the field of art. The study feels that amateur artists have achieved artist status in the same way as the professional artist by acting as the subject of art production through art practice in ordinary life.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status of an amateur artist especially when the artist has obtained this from symbolic struggle with small-scale production theory which is composed of elements drawn from existing professional artis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new sub-concept of ‘mid-scale production’ to explain the status the amateur artist has as the art production subject. Such ‘mid-scale production’ includes existing small-scale production, additionally a new type of the field of art called 'amateur artist' is added to the mid-scale production model. With regards to the economic aspects of mid-scale production, amateur artists develop an autonomy based on their job activity.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however, amateur artists depend upon artistic regulation and authority formed by existing professional artists. On the contrary, amateur artists play an independent role in producing art as professional artists in mid-scale production. Such amateur art has features associated with middle-brow art as claimed by Bourdieu. Amateur art can be explained as being a form of middle-brow art which has the feature of approaching "legitimacy area" at "area available for legitimating" through art practice. Hence,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art practice of an amateur artist is important for changing overall ordinary life and the aestheticization of life. The study also highlights how amateur artists are crucial when it comes to forming the field of art, even when their status or role as an amateur artist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artists in the existing field of art.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get away from the narrow perspective that the art industry is composed only of art works produced by professional artists and passive consumers. In addition, amateur artists should be recognized as the new producers within the art industry. Amateur artists do not stay as passive consumers. Instead, they engage in the most independent and active form of consumption through art practice, and are responsible for art production in a new meaning distinguished from that of existing professional artists. Furthermore, amateur artists are playing a role as a new consumer. For the amateur artist, art is more than just an element to decorate and enjoy life or to show off to others. Amateur artists, who have already been consumers in the field of art, play a role as more elaborated arts consumer through learning and experience gained through art practice. As a result, amateur artists establish a new type of industry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industry, that is composed of existing professional artists and amateur artists both playing multiple roles as consumers and producers of art. Accordingly, the artistic product created by the professional artist is not solely consumed by people who enjoy art. Instead, a varied and complex structure appears where people who enjoy consume art made by themselves or have other people to consume the product they have made. The art practice of amateur artists who are new producers and consumers of the art industry has significance from a policy point of view. The promotion of amateur art practice through publicly funded support symbolically demonstrates a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the expansion of high art, it also involves a form of cultural democracy, which involves a new understanding of the expanded participation and the value of participation of people who enjoy art and the creative process. The above examples show how artistic support focuses more on people who enjoy art rather than the artist who creates it. Establishing a new awareness and support system for amateur artists will increase the need for existing art and will create a new art industry. Thus, it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economic base of professional artists and in so doing revitalize the overall art industry.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duration, level, and development degree for art practice differed by each art genre. Therefore, a more systematic deepening of research on the art practice duration of amateur artists is also needed. Furthermore, a study of the reasons why amateur artists started art practice and a study of the differences by art genre is also necessary. Furthermore, the activities of amateur artists are gradually expanding in the field of popular culture. Regarding such phenomenon, it would be meaningful to show the differences in the amateur artist role in high art and popular culture in the future and show how the role is changing. Also, amateur art practice can be a significant activity for those in retirement. Hence, complex research combined with aging society research should also be conducted. In addition, previous art industry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activity of professional artists. Therefo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a macroscopic level as well as across the comprehensive field of art that includes amateur arti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