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1 Download: 0

확장적 극 공간에 관한 연구

Title
확장적 극 공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ansive Theatrical Space : Focusing on
Authors
오은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무대미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극 공간이란 현실의 일상과는 다른 환영적 공간의 창출이 일어나는 곳이다. 이러한 공간에서 우리가 느끼는 환상과 자기 사유는 예술적 경험을 통해 일어난다. 그렇다면 예술적 경험은 무엇이고 예술적 표현이란 무엇일까. 이 두 가지 모두 창조성이 기반이 되어 일어난다는 것은 분명하다. 창조적 표현은 물리적 재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예술적 경험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게 된다. 공연 예술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용자와의 소통에 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대부분의 공연 예술은 극장이라는 공간 안에서 행위자(배우)와 수용자(관객)의 장소와 역할의 분리가 확실했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급속히 성장한 현대 사회는 공연 예술에 대한 수용자의 기대와 인식의 변화를 불러왔고, 이는 창작자에게 있어서도 더욱 창의적인 창작물을 만들고 소통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하게 했다. 창조성은 인간에게 자기 사유와 자기 수용을 통한 성장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창작자와 수용자 모두가 이러한 변화를 자연스럽게 원하고 있는 것일지 모른다. 또한 이와 같은 변화는 기존의 공연 공간(극장), 행위자(배우), 수용자(관객)의 관계에 대한 전통적 연극 미학에 있어 새로운 시각과 해석을 가져오게 했다. 현재 공연 예술계는 수용자의 보다 능동적인 참여를 위해 다양한 실험적인 공연의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공연들은 여전히 극장이라는 무대와 객석이 분리된 공간 안에서 텍스트로부터의 모방과 재현을 통한 전통적인 방식으로 전달되고 있다. 그로인한 수용자의 수용 방식과 수동적인 태도의 변화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공연 예술의 극 공간은 예술적 경험이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경험의 과정을 통한 새로운 극적 공간을 창출하는 공간이기도 하며, 삶이라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예술과 창조성은 곧 삶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삶 속에는 계속해서 창조성의 원천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삶 자체가 창조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극 공간은 삶과 매우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으며 수용자에게 예술을 그저 바라보는 것에서 나아가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주는 곳이다. 열린 공간에서의 공연 장르는 수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지각 방식을 통해 스스로의 극 공간을 만들어 나가게 하는 새로운 공간 미학이 창조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술의 궁극적 목적인 소통에 있어 극 공간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보아야 할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 행위가 실천되고 예술적 경험이 이루어지는 실재의 ‘공간’을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연극은 곧 삶의 이야기라는 것에서 삶의 공간인 일상 공간에 대한 시각과 사고의 확대와 극장이라는 제한된 공간을 벗어난 극 공간 확장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먼저 시대적 흐름을 통한 전통적인 극 공간의 구조를 알아보고 이에 확장으로 본 일상 공간에 대한 개념과 담론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통적인 극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극장을 벗어나려는 시도로서 확장적 극 공간 연출이 이루어진 장르로 장소 특정적 공연과 환경 연극의 개념을 정리하며 특성을 알아보았다. 장소 특정적 공연의 용어를 장소 특정적 미술의 개념으로부터 보며 예술사적으로 미니멀리즘과 해프닝의 영향과 함께 변화/발전되어 왔음을 살펴보았다. 이에 확장된 극 공간을 도시적 의미, 미학적 의미, 공간의 확장으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최근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이머시브 공연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극 공간의 확장으로 발전되어지는 공연 형태의 변화와 특성을 토대로 극 공간의 확장의 필요성과 미학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들이 맞물리는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극장을 벗어나며 ‘일상 공간’을 적극 활용한 공연 사례로 제한을 두었으며, 이에 이머시브 공연 <로드씨어터 대학로 1>(2016), <로드씨어터 대학로 2>(2017)를 분석했다. <로드씨어터 대학로>는 대학로라는 일상 공간이 공연 공간이 되고 장소를 이동하며 체험하는 형식의 공연이다. 공간을 이동해야한다는 점에서 보행을 기반으로 한다. 즉, 수용자들의 움직임, 신체적 수행은 필수적이다. 비주얼적인 표현 양식은 텍스트에 의해 재현되고 창조된 화려한 장식적 세트와 같은 즉, 제작되어진 요소로부터의 허구성 보다는 일상 공간 그 자체에 실제 존재하는 요소들이 그 역할을 대신하며 이들과의 유기적인 상호 작용으로 자신만의 환상(illusion)을 만들어 낸다는 특성을 알 수 있었다. 일상 공간이 지니는 미학적 요소들을 보행을 통해 마주하며 극 공간을 ‘인식 – 자극 – 반응 – 사유’의 과정으로 완성해 나간다. 일상 공간 안에서 수용자는 자신의 감성과 감각으로 새로운 극적 공간을 끊임없이 창출해나가고 스스로의 연극성을 부여하면서 일상 공간은 연극적 공간으로 재탄생되었다. <로드씨어터 대학로>는 실재하는 일상 공간의 현존하는 요소들을 연극적 요소로 활용해 수용자의 자발적인 수행을 이끌어 극적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형태는 공연 예술에서 다양한 장르 확대로 수용자에게 공연을 현실과 나라는 존재 안에서 연결시켜주면서 공연을 더욱 친숙하게 인식하고 향유하게 만든다. 무엇보다 일상 공간에서의 열린 환경은 공연을 바라보는 수용자의 태도를 자발적이고 자연스럽게 변화시키며, 쌍방향적인 창조성의 시너지를 불러 공연의 더욱 깊이 있는 소통과 몰입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처럼 일상 공간에서의 체험 형태의 공연은 수용자에게 보다 더 흥미롭고 즐거운 예술적 경험의 기회를 가져다주며 그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확장적 극 공간의 한 형태인 이머시브 공연은 무엇보다 수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현존하는 일상 공간의 활용은 다양한 미학적 요소들로 수용자와의 유기적인 관계에서 끊임없는 자극과 반응을 일으켜 극적 공간의 재창출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일상 공간을 활용한 이동 관극 행위는 수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시각과 사고를 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일상 공간은 더욱 확장된 새로운 미학 창출의 매개이자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극 공간의 확장을 위해 극이 존재하는 일상 공간에 대해 넓은 시각과 사고를 인식해보고자 살펴보면서 궁극적으로 예술은 무엇이고 우리가 예술을 통해 얻고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예술과 일상의 관계를 확인했다. 20세기부터 현재까지 공연 예술의 공연 공간과 수용자에 대한 관심은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본 연구를 통해 극 공간 확장을 통한 가능성을 인식하며, 더욱 창조적인 작업으로 수용자와의 만남을 이루고 예술 향유의 충족으로 삶이 더욱 풍요로워지기를 바란다. 다양한 장르의 확장을 통해 현대 사회의 수용자가 더욱 필요로 하고 원하는 것을 충족할 수 있는 매체로써 공연 예술이 더욱 활성화되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공연 예술계의 꾸준한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 및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atre stage is the place where illusion is created, different from the reality of everyday life. The fantasy and self-reflection that we feel in this space occurs through artistic experience. Then what is an artistic experience and what is artistic expression? It is clear that both are based on creativity. Creative expression is done through physical representation, and it leads us to think about what an artistic experience is. The ultimate goal in performing arts is to communicate with the Spectator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most performing arts have been very clear in the space of the theater that the place and role of Performer (actor) and Spectator (audience) were separated. However, modern society, which has grown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spectator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performing arts, thereby causing many concerns for creators to be more creative and to communicate. It may be that both creators and spectators naturally want these changes because creativity brings growth to humans through self-reflection and self-acceptance. These changes also led to new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in traditional theatrical aesthe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performing spaces (theater), Performer (actors), and Spectators (audience). Currently, the performing arts continue to try various experimental performances in order to draw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spectators, but most of the performances are delivered through traditional way; text representation, in a separated space between the stage and audience, what we call a theatre. There by,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acceptance and the passive attitudes. The theatrical space of the performing arts is a space where artistic experiences are made; a space that creates theatrical space through experience, and it is also a space containing stories about human life. Art and creativity can be called life. Because in life there is always a source of creativity everywhere. Therefore, life itself is based on creativity. This theatrical space is closely associated with life, and it is a place to bring the opportunity for the spectator to experience the art beyond just looking at it. The performance genre in the open space is a result of creating a new spatial aesthetics by allowing the audience to create their own dramatic space through various perceptional methods. In this way, theatrical space becomes a significant element in communication- an ultimate goal in art. In this study, it is viewed that the ‘space’ in which the act is performed, and artistic experience takes place is very important. Moreover, because it is viewed that the theater is the story of a life, there is a necessity to expand the perspective and thoughts of everyday space and to go beyond the limited space and expand the theatrical space to everyday space. Based on this background, I first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space through the epoch, and examined the concepts and discourses of the everyday space. Also, the concept of two genres: Site–specific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Theatre, which attempted to stray away from the theater (traditional space) and expand theatrical space, are summarized and characterized. It is viewed that the terms of Site–specific performances from the concept of Site–specific arts, and looked into how they have been changed / developed with the influence of minimalism and happe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art. The theatrical expansion is classified into urban significance, aesthetic significance, and space expansion, and delve into its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concept of immersive performance, which is actively being attempted lately. Based on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s that have been developed as theatrical expansion, I have examined the necessity of theatrical expansion and aesthetic changes. Based on these interlocking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has restricted the performance cases to the shows that actively uses the ‘everyday space’. In addition to this, the immersive performances (2016) and (2017) were analyzed. is a type of performance in which the daily space called ‘Daehak-ro’ becomes a performance space and the experiences is made by moving to locations. The performance is based on walking so there is a space movement. In other words, movement of the Spectators and physical performance is essential. It can be characterized that the elements from the everyday space are interacting organically, creating one’s own illusion; in other words, different from the fictiveness where modes of representation are reproduced by texts and fancy decorative sets. The aesthetic elements of everyday space are encountered through walking and the theatrical space is completed as a process of ‘recognition – stimulation – reaction – reason’. In the daily space, the spectator constantly creates a new dramatic space with one’s own sensibility and sense, and the everyday space is reborn into a theatrical space while giving one’s own theatricality. uses the existing elements of actual everyday space as a theatrical factor,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spectator to experience the dramatic experience of voluntary performance. This form of performing arts is an extension of various genre, making the performance smore recognizable and enjoyable by linking reality and one’s being. Above all, the open environment in everyday space changes spectator’s attitude voluntary and spontaneously, and brings synergy of interactive creativity, enabling the deeper communication and immersion of the performances. It is confirmed that this kind of performance in everyday space gave the spectator more opportunities in artistic experiences and enriched their lives. The immersive performance, which is a form of expanded theatrical space, is based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pectator. It is found that the use of the current daily space regenerate dramatic space through a continuous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tators and various aesthetic stimuli and reaction. In other words, moving acts that use everyday space will enable the spectators to have diverse perspectives and thoughts. Through these poin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veryday space is the medium / factor of the new aesthetic creation.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he wider perspectives and thoughts about the existence of everyday space for theatrical space expansion. It confirmed the relationship by looking between the art and everyday life and think about what ultimately art is and what we want to get from art. From th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attention has been constantly being given to performing arts spaces and spectators. Through this interest and our research, we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theatrical space. I hope that by meeting spectators through creative works and appreciating art can enrich one’s life. Through the expansion of various genres, the performing arts will be more activated and developed as a media that can meet the needs and desires of the audience in the modern society. To this end, there should be constant interest and continuous research and trial from the performing arts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무대미술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