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1 Download: 0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Title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Healing Education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Authors
윤소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수언
Abstract
청소년들은 삶의 문제에 당면했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하면서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 청소년들은 입시 위주의 환경 속에서 건강한 사회화를 경험하지 못하고 정서적 발달에서 소외된 채 개인주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스스로를 치유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청소년들이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치유를 위해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의 항구적 문제를 설정하여,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과 교수·학습과정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가정과 교육과정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치유의 항구적 관심사와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한국과 미국의 교육적 사례 분석하여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세 행동체계를 기반으로 실천적 추론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치유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과정안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항구적 문제 ‘치유를 위해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의 항구적 관심사를 자기이해, 자아형성, 자기보호, 관계형성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항구적 관심사와 관련된 실천적 문제를 ‘나를 이해하기 위해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 ‘자아형성을 위해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 ‘나를 보호하기 위해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 ‘가족과 사회구성원과의 관계를 위해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로 설정하였다. 둘째, 치유교육에 대한 항구적 관심사를 기준으로 한국과 미국의 치유 교육적 사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구적 관심사인 자기이해, 자아형성의 학습 내용 요소가 자기보호, 관계형성에 비해 적게 다루고 있었다. 특히 한국의 교육적 사례의 경우 자기이해, 자아형성의 학습 내용 요소가 가장 적었으며 주로 이론과 지식수준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각 항구적 관심사의 학습 내용 요소를 고루 다루며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셋째,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의 구조와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실천적 문제의 구조는 항구적문제-항구적관심사-실천적문제-하위 관심사-가치를 둔 목표이며 이를 통해 치유교육의 목표와 가정과 교육의 목표 나아가 가정과 교육의 인간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4가지의 실천적 문제를 각각 단원으로 구성하여 각각 3차시로 총 12차시의 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하위 관심사에 따라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내용 요소의 양과 학습상황에 따라 2차시분의 블록 수업과 1차시분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설계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을 토대로 각 실천적 문제의 학습 내용 요소와 세 행동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실천적 추론 과정을 구성하고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평가를 통해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과정안의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본 연구는 치유라는 새로운 관점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헌과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통해 청소년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자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청소년이 속한 가족과 사회를 치유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과 사회의 근간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개발된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과정안을 통해 청소년이 자신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자아를 형성하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뿐 아니라 건강한 관계형성을 통하여 개인과 타인 간의 삶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개인의 치유와 성장을 도모하고 가족, 사회의 긍정적 발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eenager can grow by solving and overcoming problems in life when they face them. However, teenagers in modern society tend to fail to experience healthy socializing in an entrance exam centered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be alienated from emotional development and unable to healing themselves in an individualism ideology. Therefore this study set a perennial problem of “what should we do to healing?”so that teenagers can build the ability to healing themselves at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healing education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is study, perennial concern and practical problem of healing relat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set through the literature of the Korea and United States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cas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was designed for healing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has been developed for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based on the designed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and three systems of action. Finally, expert evaluated about the developed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healing education.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paper. First,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perennial problems “what should we do to healing?”related perennial concern was set as self-understanding, self-formation, self-care and relationships. And practical problem related to each perennial concern were set: ‘What should I do to self-understanding?’, ‘what should I do to self-formation?’, ‘what should I do to self-care?’, ‘what should I do to relationships?’. Second,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of healing education in Korea and United States, the elements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formation were treated less than those of self-care and relationship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al cases in Korea had very few elements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formation, and consisted mainly of theory and knowledge levels. Third, the structure of practical problems and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for healing education were designed. The structure of practical problems is as a follows. perennial problem - perennial concern - practical problems - related concern - value ends. The structure of practical problem for healing education was designed to achieve the goals of healing educatio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ddition,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for healing education were designed base on the structure of practical problems. The four practical problems were composed of three times class in each unit so total twelve times class. Set each education goal according to the related concern, based on the elements of learning contents, it consisted of the class for the two times class and the class for the one time class. Fourth, based on the designed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the contents of learning contents and the three systems of action for each practical problem were constructed to develop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ifth, the feasibility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heal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recognized through expert assessment.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heal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y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and curriculum of Korea and United States by applying a new perspective of healing. Above all, through heal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elping to grow into an autonomous teenager with the ability to healing themselves. Healing education is essential education for healthy teenager of families and society to build foundations of happy and health families and society by healing future socie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