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8 Download: 0

인성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가정과 ‘주거와 거주환경’단원에 STAD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ᐧ학습 과정안 개발

Title
인성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가정과 ‘주거와 거주환경’단원에 STAD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ᐧ학습 과정안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 apply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it
Authors
박다온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난숙
Abstract
본 연구는 2009년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ᐧ가정의 주생활 영역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하여 인성교육을 위해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교수ᐧ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성교육을 위해 가정과 교육 교수ᐧ학습 과정안의 개발을 위해 선행 연구들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STAD 협동학습이 인성교육을 적용하는데 있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대해 분석하고 12종의 가정교과서의 ‘주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STAD 협동학습을 선택하여 학습자의 흥미도를 높일 수 있고, 학습 대상자인 중학생들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성요소를 고려하였다. 선정한 인성요소를 활용하여 교수ᐧ학습 과정안의 목표와 내용 구성, 차시별 활동내용, 학생평가자료, 학생용 활동 자료 및 교사용 자료를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설계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수ᐧ학습을 위해 중학교 기술ᐧ가정의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총 8차시의 교수ᐧ학습 과정안, 모둠학습지, 개인학습지(형성평가지) 등을 개발하였다. 수업의 차시 별로 주로 습득 가능한 인성요소를 선정하여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그에 맞게 학습 활동지도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교수ᐧ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의 타당도 평가항목으로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실천적 행동 중심의 가정교과 프로그램 개발: 중학교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개선을 중심으로'(이연숙 외, 2012)의 기준으로 본 연구에 맞게 ‘존중, 배려, 책임, 참여와 협동, 공감과 수용, 대화와 소통능력, 문제와 갈등해결능력, 정의’의 항목으로 재구성하여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평가는 가정교육학 전공 교수 1인과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는 현장교사 2인으로부터 검토와 평가를 위한 1차 타당도 평가를 받았으며, 평가자들에게 타당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ᐧ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1차 타당도 평가 후 수정 및 보완된 교수ᐧ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는 1차 타당도 평가에 참여하지 않은 현직 교사 7인을 선정하여 2차 타당도 평가를 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적인 교수ᐧ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완성하였다. 타당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5점 척도를 기준으로 각 인성요소를 올바르게 반영하였는지에 대한 타당도 점수는 4.4점이며, 수업 차시별 인성교육 요소를 올바르게 반영하였는지에 대한 타당도 점수는 4.1점으로 나타났다. STAD 협동학습 내용과 과정이 올바르게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타당도 점수는 4.1점으로 나타나, 개발된 교수ᐧ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에 대한 타당도가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확보됐음을 나타내며, 이 연구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가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을 향상시키는데 타당하고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검토 내용과 타당도 평가 결과로는 주어진 학습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 내에 모든 학습 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과 학습 방법이 제한적이고, 구체적이지 않고 조직화되지 않아 학생들이 학습 활동지의 문제를 이해하기 힘들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게다가 전혀 다른 단원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거나 적절하지 않은 인성요소가 배치되는 등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의견들을 종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과 관련된 모든 자료들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인성교육만을 연구하거나 협동학습만을 연구한 연구들과는 다르게 인성교육과 STAD 협동학습을 결합하여 교수ᐧ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개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두고 있으며, 후속 연구자들에게 교수·학습 과정안 등의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현장 교사들이 수업을 진행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물인 교수·학습 과정안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되지 못하였으며,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아닌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 한계이다. 다만,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은 단원 내용만 일부 변경되기 때문에 2015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바뀌더라도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선 결과의 타당도 점수로 미루어보아 학습 대상자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인성향상을 위한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이 현장 교사들 및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좋은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plans apply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for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the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it of Home Economic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First, at the analysis stage, preceding research studies were analyzed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STAD cooperative learning for characte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TAD cooperative learning is appropriate regarding its application to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housing life" from 12 Home Economics textbooks published by 12 publishers. At the design stag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TAD cooperative learning was selected to increase the interest degree of the learner, elements of character for improving the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consider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e contents of the activities by class, student evaluation materials, student activity material, and teaching material were designed by utilizing the selected character elements. At the development stage, based on the contents designed at the design stage, a total of 8 classes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 assorted study guidance, personal study guidance (formation evaluation sheet) that could be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Home Economics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it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content of the lesson was selected by the character elements which can be learned mainly by each lesson, and the learning activity guidance was developed accordingly. In the evaluation stage, the items of ‘respect,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empathy and acceptance, dialogue and communication skills, problem and dispute resolution ability, justice’ were reconstructed as selected evaluation items that fit the standard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program development for character education practice: focusing on reconstruction of middle school curriculum’(Lee, et al., 2012) as the validity evaluation item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The primary validity evaluation procedure was done by one professor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ajor and two Home Economics teachers who have obtained doctorate from Home Economics education area,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alidity evaluation. Seven Home Economics teach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imary validity evaluation were selected to perform a secondary validity evalua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complemented with the change after the primary validity evaluation, and the final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secondary evaluation. As for the secondary validity evaluation results, the validity score of all the character elements for the overview was 4.4 on a 5-likert scale, and the validity score for the character element for each individual lesson was 4.1. The validity score for STAD cooperative study content and process was 4.1 points, which means that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ed teaching learning plan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was secured at a moderately high level, and it can be seen that the teaching learning plan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of this research are reasonable and suitable for improving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the opinions from the secondary validity test that it was difficult to conduct all the learning activities within one period, and that the learning method is restrictive, not concrete, and not systematic enough that it can be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oblems provided on the learning activity sheets. In addition, there were opinions from the secondary validity test that contents of completely different unit from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unit and arrangement of inappropriate character elements were included. All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teaching learning plans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by integrating these comments. This research holds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teaching learning plan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were developed with the integration of both character education and STAD cooperation learning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only researched on character education or only on cooperative learning, as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courses to subsequent researchers and can be helpful to teachers for their class practices. However,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that the teaching learning plans developed for this research failed to be taught in classes for students, and that the analyses were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no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the validity scores of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earn the subjects,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teaching learning plans applying STAD collaborative learning for character will be utilized as a helpful source for curriculum developers and in-service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