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1 Download: 0
유아 스마트기기 학습 수용의도 향상을 위한 콘텐츠 연구
- Title
- 유아 스마트기기 학습 수용의도 향상을 위한 콘텐츠 연구
- Other Titles
- The study on Contents for Improvement of Intention to Adopt on Child's smart device education
- Authors
- 강소담
- Issue Date
- 2018
- Department/Major
- 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최유미
- Abstract
- 스마트기기 사용 연령이 점점 낮아짐에 따라 유아용 스마트기기 콘텐츠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 유아 교육에 매우 효과적이었다라는 사실을 증명한 사례가 매우 많음에도, 유아용 스마트 기기 콘텐츠는 부모들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하여 잘 사용되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녀 스마트기기 학습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화하고 수용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인지된 유용성’은 신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먼저,‘인지된 유용성’에 해당하는 요인을 찾고자 이미 스마트기기 학습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대상을 찾아 학습 방법, 선호 이유, 만족도 등에 대해 1차로 인터뷰하였다. 문헌연구와 인터뷰를 통하여 스마트기기 학습의‘인지된 유용성’에 해당하는 요인 세 가지 ‘자기주도학습, 개인화, 자기통제’를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침 또한 함께 마련하였다.
두 번째로, 한국 어머니들의 육아 및 생활 환경, 자녀 교육 등에 대한 견해를 파악하기 위한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사용자 요구사항과 인지된 유용성의 구성요소인 자기주도학습, 개인화, 자기통제 각 요인의 지침을 참고하여, 부모의 수용의도 향상을 위해 유아용 학습 콘텐츠 제작 시 들어가야 할 주요 기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주요 기능들은 학습 콘텐츠 이용 시 쌓이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녀의 학습 유형을 분석하고 장단점 및 적절한 학습 방법을 도출하여 준다. 또한, 유아 본인의 흥미 및 경험에 기반하여 유아가 직접 콘텐츠를 선택하게 하며, 선택에 따른 결과를 통해서 자신의 행동 결과를 추론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주요 기능에 사용자 요구사항과 각 요인의 세부 지침이 잘 표현 되었는지 검증 받고자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를 제작하였다. 전문가 평가를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 및 각 요인의 세부 지침들이 시나리오 및 스토리보드에 잘 표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사용자 평가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주요 기능들이 부모의 스마트기기 학습 수용의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까지 최종적으로 검증하였다.;As the age of using smart devices is getting lower, numerous studies on the contents of smart devices for children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As a result, although there are many cases which reveal that the contents of smart devices are very effective for childhood educations, those have not been well used because of the negative perception of parents. Thus, we conducted this research to relieve the negative perceptions to improve the intention to adopt the smart education using the smart device.
Perceived Usefulness(PU)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a person believes that using a particular system would enhance his or her job performance. At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corresponding to PU on smart devices usage for children, we conducted a first interview to parent who have usefully used a smart device about learning methods, preference reason, and satisfaction.
The three factors corresponding to the PU on the smart devices learning as a ‘self-directed learning’, ‘personalization’ and ‘self-control’ were found out via Interview and literature survey. Moreover, we also established guidelines, which are improving the three factors.
The second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o understand the opinions of Korean mothers about a childcare, living environment, and child’s education.
Based on the interview, we derived the user requirements via needs-analysis.
From the analysis of the derived user requirements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personalization, and self-control from PU, we suggested the main functions for improving the intention to adopt of parent to be involved when you making child-learning contents.
The main features proposed in this study involves an analysis the learning style of a child, and deriving the idealized learning method and its pros and cons based on the cumulative interests and experiences of the child during the device usage.
Also, when children select the content by themselves based on their interest and experience, they can infer their behavior by the result of the selection and it makes them feel accomplishment.
Finally, we created scenarios and storyboards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proposed functions are well expressed the user requirements and detail guidelines of each factor. We confirmed that the requirements and the guidelines of each factor are well expressed in the scenario and storyboards via the evaluation by experts. At last, the user evaluation also confirmed the main func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ffective for the intention to adopt the smart devices learning of parent.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