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4 Download: 0

청소년의 학교관계 및 지역사회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소년의 학교관계 및 지역사회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dolescent's School and Community Relationship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Authors
김주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최근 국내에서 다문화수용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성인에 대한 연구에 비해 자아정체감 및 가치관을 확립하는 시기인 청소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고,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의 실질적 함양을 위한 논의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관계, 지역사회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공동체의식이 청소년의 학교관계, 지역사회관계와 다문화 수용성의 사이에서 다문화수용성 증진에 기여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더불어 성별에 따른 차이,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거주 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여 다각적으로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접근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사회복지적 실천적 근거를 제공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의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6차년도 자료, 즉 조사가 수행된 2015년 당시 중학교 3학년 1,92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자료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 상관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였고, AMOS 24.0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고 연구모형의 적합성과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 하였다. 더불어 성별에 따른, 다문화 가정 밀집지역 거주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관계, 공동체의식은 다문화수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지역사회관계는 다문화수용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교관계인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긍정적일수록, 공동체 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지역사회관계가 긍정적일수록 다문화수용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관계, 지역사회관계는 공동체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교관계인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긍정적 일수록 공동체의식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학교관계, 지역사회관계와 다문화수용성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교관계, 지역사회관계, 공동체 의식, 다문화수용성 간의 모든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거주 여부에 따른 두 집단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교관계가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으로 가는 경로에 있어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거주하지 않은 학생들이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결론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가정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인 학교 안에서의 교우관계와 교사와의 관계 향상을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청소년기는 또래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 발달이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 할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며 교사와의 관계의 경우 교사의 타인에 대한 태도나 가치관을 청소년이 수용하게 됨으로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개입과 교사 자체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는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관계가 좋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증진될 것이라 예상 하였으나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 관계가 좋을수록,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폐쇄적이거나 밀접히 응집되어 있어 타인종과 타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수용하는 것에 있어 어려움을 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하여 특정 인종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의 범죄 발생 등에 대한 부정적인 지역 인식을 줄 수 있음에 따라 나타난 결과 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지역사회관계가 응집되어 있을수록 다문화 가정 배경의 청소년이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청소년이 속해 있는 지역 사회의 분위기, 지역 사회 구성원들 전체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개입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학교관계, 지역사회관계,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의 관계가 다문화 가정 밀집지역 거주 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 하였을 때, 다문화가정 밀집지역에 거주하지 않은 청소년의 학교관계가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더 높게 나타남에 따라 다문화 가정 밀집지역 거주 여부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일반 청소년들이 다문화가정 청소년들과 더 많은 접촉을 경험 하더라도 다문화수용성과 직결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순히 접촉하는 것이 아닌 일반 청소년들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알아갈 수 있도록 함께하는 활동 및 프로그램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lthough researches related to the recen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country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and interests are increasing as Korea enters as a multi-cultural society, researches on adolescence, which is the time to establish self-identity and values, are lacking compared to researches on adults, and the discussion for practic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 also needed. Meanwhil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effect of school and local community relation of adolescent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revealing whether a community spirit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school and local community relation of adolescent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oreover, the research plans to provide practical evidence of social welfare by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gender of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y live in a dense area with multi-cultural families to seek an approach to promot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in various way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6th year data of grade 4 panel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 Survey (KCYPS), that is, 1,923 grade 9 students in 2015.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research data used SPSS 22.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MOS 24.0 and the hypothesis on the suitability of research model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In addition,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ender and whether they live in a dense area with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comes higher as adolescents’ school relationships, which are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more positive and as the level of community spirit is higher.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comes lower as local community relation is positiv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is likely to increase as adolescents’ school relationships, which are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student relationship, is more positiv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ty spirit has a meaningful mediation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relationship,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urth,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in all routes among school relationship,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whether they live in a dense area with multi-cultural families, it was shown that the school relationship based on community spirit influenced students who do not live in a dense area with multi-cultural families more in the route toward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conclusion and implications for promo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are as follows. First, to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school, where they spend more time than at home. Since adolescents form sociability development or positive self-esteem through peer interaction, the intervention to form positive peer relation is necessary. In the case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intervention to establish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to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the teachers themselves are needed as adolescents accept the attitude or value of the teachers Second,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ould increase as local community relation becomes better, it showed that it gives negative influences. This implies that, it is difficult to accept people of other races and other cultures as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is better because the relationships between local community members are exclusive or coherent. In this regard, as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is more coherent and as there are difficulties for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to coexist and live together, the education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local community atmosphere, in which the adolescents belong to, and the entire local community members is needed and an effective intervention ways are required. Third, when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school relationships, local community relationships,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differed according to whether they live in a dense area with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seemed a need of differentiated inter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y live in a dense area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school relationships of students who do not live in such had greater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ased on the community spiri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more experiences of contact with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ence, there seems a need of intervention of activities and programs that allow ordinary adolescents an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to understand each other rather than them simply contacting each o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