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4 Download: 0

부모의 근로시간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근로시간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Working Hours of Parent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Authors
신희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working hour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working hours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data used for an analysis for the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the 1st wav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conducted against 7th grade(1st grade in middle school) student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paternal working hours did not affect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ternal working hours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re were no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y parenting attitudes and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It can be explained that paternal working hours does not affect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ecause there is a noticeably less time of their participation in parent-children interaction or child-rearing regardless of working hours. Fathers showed a tendency not to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rearing compared to mothers. Second, it turned out that in the effect of maternal working hour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It is predictable that even if mothers work for long hours,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can get higher, regardless of working hours or the absolute hours, if children are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the time when they spend with their mothers and the time when they feel that they are nurtured. It is predictable that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can get higher, regardless of the absolute quantity of working hours or rearing hours. Third, maternal working hou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upervisory parenting attitudes, an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y parenting attitudes was verified in the process of the effect of maternal working hour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this process, it turned out that maternal working hours had a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supervisory parenting attitudes. Role performance and excessive work at work disturbed role performance as nurturers, 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directive parenting of children’s daily life, including school life, was not sufficient because of the reduced interaction with them. 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working hours on parenting attitude only in mothers suggests that fathers’ active participation is needed in child-rear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bj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such as parental leave and flexible working to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utilization of this system, to create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ystem is available, and further, to consider the measures for shortening the absolute working hours. Third, in addition to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it is necessary to support for helping them relieve the stress caused by role conflict and time-based conflict and acquir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Fourth,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opera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community child centers or after-school programs, by which supervisory parenting attitude can be provided in a safe environment, instead of working mothers who work for a long time. ;본 연구는 부모의 근로시간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근로시간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 1차년도 자료이며, 중학교 1학년 2,274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부모의 근로시간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근로시간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근로시간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근로시간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 감독적, 애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버지의 근로시간이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은 근로시간에 관계없이 자녀와의 상호작용이나 양육에 참여하는 시간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아버지는 어머니에 비해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경향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어머니의 근로시간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관계에서 애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시간이 많더라도 자녀가 어머니와 함께 지내며 양육 받는다고 인식하는 시간을 질적으로 만족한다면 시간의 절대적인 양과는 무관하게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측 가능하다. 셋째, 어머니의 근로시간은 감독적 양육태도에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근로시간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독적 양육태도의 완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어머니의 근로시간은 감독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에서의 역할수행과 과도한 업무는 양육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방해가 되었고, 자녀와 상호작용이 감소하여 학교생활을 비롯한 일상생활에 대한 감독적 양육이 충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태도에 미치는 근로시간이 어머니에게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것을 토대로 자녀양육에 있어 아버지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맞벌이 부부가 절반에 육박하는 현 시점에서 양육을 비롯한 가사노동의 책임을 어머니에게만 국한하는 가부장적 성 역할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전사회적 인식 개선과 평등육아 실현을 위한 사회문화적·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육아휴직, 유연근무제 등의 일·가정양립지원 제도의 적용 대상을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로 확대하고 이러한 제도 활용에 대한 인식 제고와 사용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나아가 절대적인 업무시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근로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역할갈등, 시간갈등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긍정적 양육태도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소원해진 부모-자녀 간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사회적, 기업적 측면에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장시간 근로하는 취업모를 대신하여 안전한 환경에서 자녀에 대한 감독적 양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지역사회복지관이나 지역아동센터, 방과 후 학교 등의 운영 확대를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방과 후 돌봄서비스가 부모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으므로 단순한 교육, 양육의 기능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부모 스스로도 역할을 충실히 해낼 수 있도록 부모 상담, 부모-자녀 상담 등의 서비스와 병행할 것을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