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9 Download: 0

중국 유수아동(留守兒童)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Title
중국 유수아동(留守兒童)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Other Titl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Left-Behin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 Based On Statistics Of Anshan, Liaoning Province, China.
Authors
GE, XIAOTONG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left-behind children in Statistics Of Anshan, Liaoning Province from five variable factors in demographic sociology, individuals, families, schools and the society. It also studies the essential reasons for problematic behaviors of left-behind children, so as to seek for preventative plans. The research has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First of all, it is found out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ime of living apart from the parents and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family leads to different the behaviors of the probl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Secondly, when the correlativity is examined, the higher the sense of self respect in the individual elements, the less the problem of the left behind children will be. In a family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the contact with the parents and the behavior of the problem are in negative. And also, the burden of housework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problem. The be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ft behind and the parents, the more contact with their parents, the less their problem behavior will be. And the more the burden of housework is, the more problems the left behind children remain. Among the school factors, friendship, school adaptability and teacher relationship are negatively related to problem behavior. That is, the better the relationship, as well as the school adaptation and the teacher's relationship, the less the problem behavior remain in the left behind children. And, in social factors, this behavior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ety.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regional society, the less the problem behavior will be. Moreover, i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peripheral variables affecting the melancholy are gender, school adap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ety. The girls who have low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ety are more likely to be melancholy. Also, the main variables that affect the unrest of the left behind children are the school adapt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ety. That is, those left behind children who have poor adaptation to schools and lower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ety are more vulnerable. Combined with the regression analysis of melancholy and restless internal problems, the results show that gender, school adaptation, and regional social awareness will all have the impact. That is, the girls who have poor adaptation to the school and low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ety are more likely to have internal behavior problems will be. Besides, the time of living apart from their parents, the sense of self respect,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adjustmen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ety will have an impact on one's aggressive behavior also. That is, the longer they live apart from their parents, the lower their sense of self respect, the worse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e poorer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 lower their cognition to the regional society is, the more they are prone to attack. What’s more, the time to live apart from their parents, the sense of self respect,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adjustmen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ety will affect the problem behavior of the left behind children. Those who lives apart from their parents longer, has lower sense of self respect, gains worse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s poorer school adjustment and lower understanding of regional society are easier to have problem behavior will be. Regression analysis of extroverted behavior combined with aggressive behavior and bad behavior shows that the time to live apart from their parents, the sense of self respect, the contact with their parent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adjustmen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ety will affect the outward problem behaviors of the left behind children. That is, the longer time they live apart from their parents, the worse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e less contact with their parents, the lower the sense of self respect, the poorer the school adjustment, the lower the cognition for the regional society, the easier the left behind children are to behave bad in the outward manner.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behavior of the overall problem are as follows: time to live apart from parents, self respect, school adaptation and understanding of regional society. That is, the longer the time to live apart from their parents, the lower their sense of self respect, the poorer their school adjustment, the lower their understanding of regional society, and the more likely left behind children are having problem behaviors will be.;본 연구는 중국 요녕성 안산시 거주하고 있는 유수아동(留守兒童)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 요인, 가족 요인, 학교 요인, 사회적 요인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유수아동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현재 중국 요녕성 안산시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2,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유수아동으로 총 200명 학생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문제행동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와 떨어져 사는 시간과 가정 경제 상황에 따라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개인 요인 중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유수아동의 문제행동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요인 중 부모와의 관계, 부모와 접촉은 문제행동과 부(-)적 상관성을 나타났다. 가사 노동 부담은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즉 부모와의 관계, 부모와 접촉이 높을수록 유수아동의 문제행동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 노동 부담은 높을수록 유수아동의 문제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요인 중 친구 관계, 학교 적응, 교사 관계는 문제행동과 부(-)적 상관성을 나타나, 친구 관계, 학교 적응, 교사 관계가 좋을수록 유수아동의 문제행동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다났다. 또 사회적 요인 중 지역 사회에 대한 인식은 부(-)적 상관성을 나타나고 지역 사회에 인식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 분석 결과 우울의 주요영향변수는 성별, 학교 적응, 지역사회의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즉, 여자이면서, 학교 적응이 낮고,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이 낮은 유수아동이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수아동의 불안의 주요영향변수는 학교적응,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 적응이 낮고, 지역사회의 다한 인식이 낮은 유수아동이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불안을 결합한 내재화 문제의 회귀분석 결과는 성별, 학교 적응, 지역 사회에 대한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이면서, 학교 적응이 낮고,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이 낮은 유수아동이 내재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와 떨어져 사는 시간, 자아존중감, 교사와의 관계, 학교 적응,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은 공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떨어져 사는 시간이 많고 자아존중감이 낮고, 교사와의 관계가 나쁘고 , 학교 적응이 낮고,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이 낮은 유수아동이 공격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와 떨어져 사는 시간, 교사와의 관계, 자아존중감, 학교 적응, 지역사화에 대한 인식은 유수아동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떨어져 사는 시간이 길고, 교사와의 관계가 나쁘고, 자아존중감이 낮고, 학교 적응이 낮고, 지역사화에 대한 인식이 낮은 유수아동이 비행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과 비행을 결합한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부모와 떨어져 사는 시간,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접촉, 교사와의 관계, 학교적응,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은 유수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떨어져 사는 시간이 길고, 교사와의 관계가 나쁘고, 부모와의 접촉이 많고, 자아존중감이 낮고, 학교 적응이 낮고, 지역사화에 대한 인식이 낮은 유수아동이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부모와 떨어져 사는 시간, 자아존중감, 학교 적응,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떨어져 사는 시간이 길고, 자아존중감이 낮고, 학교 적응이 낮고, 지역사화에 대한 인식이 낮은 유수아동이 문제행동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예방해서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유수아동은 우울 및 내재화문제와 같은 문제행동을 겪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여자 유수아동을 위한 우울 및 내재화 문제에 대한 개입필요성이 제기된다. 여자 유수아동들의 문제 행동을 낮추기 위해 사회복지사들이 농촌의 유수아동을 대상으로 내면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기회를 넓힐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복지사가여자 유수아동이 있는 농촌 지역의 방문을 늘려 심리 상담 횟수와 심리 치료 시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적응은 유수아동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주요변수이며 그 영향력도 가장 크다. 유수아동은 부모와 떨어져 있는 관계로 학교수업준비 및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부모의 지도감독을 받지 못하기 때문으로 추측되는데, 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높여 주기 위하여 학교에서 유수아동을 위한 다양한 오락 활동, 스포츠, 음악 등 다양한 수업을 늘리고 친구들 간의 교류를 늘려 학교적응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내재화 문제행동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낮추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유수아동은 부모와의 떨어짐으로 인해 자아존중감이 낮을 가능성이 높다. 유수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자아 인식과 자아 보호 등의 프로그램을 많이 운영해야 한다. 특히 자아존중감 변수는 비행 및 공격과 같은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남에 따라 학교와 지역사회 기관에서 유수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비행 및 공격과 같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완화해야 한다. 넷째. 유수아동은 부모와 떨어져 살아서 부모와 자주 만날 수 없다. 부모와의 떨어져 있는 시간은 문제행동의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수아동들이 부모와의 접촉 시간을 늘리기 위해 학교는 미디어 룸과 미디어 시간을 설정하여 정해진 시간 안에 학교의 유수아동을 대상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곳에 유수아동은 디지털 멀티를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부모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모들은 수시로 유수아동에게 관심을 갖게 될 수도 있고 아이들의 문제를 발견하고 실시간으로 지도와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유수아동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은 문제행동의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수아동들이 현재의 생활 지역의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는 공공시설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면 헬스 기구와 공원 설치 등이다. 또한 CCTV를 점차 늘려 농촌 지역의 안전을 높이고, 농촌 지역의 유수아동을 위한 다양한 과외 생활을 통해 이들의 즐거움을 증가시켜 문제행동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