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과 일반계고등학교 학생의 일반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및 진로성숙도 차이

Title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과 일반계고등학교 학생의 일반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및 진로성숙도 차이
Other Titl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at school of arts majoring in dancing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learn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Authors
장보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일반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및 진로성숙도 차이를 규명하는 것 이다. 연구대상은 충청지역에 소재하는 A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 79명, B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 63명, C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 39명으로 181명과 A일반계고등학교 학생 65명, B일반계고등학교 학생 70명, C일반계고등학교 학생 72명으로 207명으로 전체 388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자가 표집 대상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연구협조자에게 연구의 목적, 유의사항, 기재요령을 충분히 설명한 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고,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23.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증(Scheffe’s test),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일반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및 진로성숙도 차이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과에 대한 학습태도는 성별에 따라 학습태도 전체, 주의집중, 학습방법, 자율학습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평균값의 경우 학습태도 전체, 주의집중은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이 높게 나타났고, 학습방법, 자율학습은 3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은 모든 영역에서 1학년, 2학년, 3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숙도는 남학생은 진로성숙도 전체, 일에 대한 태도, 계획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독립성, 일에 대한 태도, 계획성은 2학년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평균값의 경우 진로성숙도 전체, 독립성, 일에 대한 태도는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독립성은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이 2학년보다 유의하게 높고, 일에 대한 태도는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2학년이 1학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과 학생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일반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습태도는 진로성숙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at school of arts majoring in dancing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learn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The total of 388 students from school of arts and general high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 Province, have been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research visited target schools and provided full comprehension of the purpose, special notice, and instructions of the study to the group. SPSS 23.0 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f the research. The result of the study, the differences regarding learn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between target students, i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study prov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 depending on gender – of overall learning attitude including attentiveness, learning style, and self-learning as learning general subjects. On the average, the 10th grader in general high school had higher value on overall learning attitude and attentiveness. Meanwhile, the 12th grader in general high school had higher value on learning style and self-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of each category was correlated to the grades of students at school of arts - higher grader, the higher average. Secondly, it was proved that the male students at the both target schools significantly had the higher average of career maturity. work attitude, and planning. Nevertheless, the female students had the higher average of independency. In terms of grades, the 11th grader had the higher average value of overall career maturity, independency, work attitude, and planning, The averages of overall career maturity, independency, and work attitude were high in the order of the 10th grader, 12th grader, and 11th grader. The 10th grader at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independency than the 11th grader, meanwhile, the 11th grader at school of arts had better work attitude than the 10th grader. Lastly, through the study,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of learn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between the students at school of arts majoring in dance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