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참여가 도덕적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참여가 도덕적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their Moral Value Reasoning
Authors
김인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도덕적 가치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4개 지역 즉, 강동, 강서, 강남, 강북지역의 고등학교 690명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자가 표집대상 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연구협조자에게 연구의 목적, 유의사항, 기재요령 등을 충분히 설명한 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고,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경우, 사후검정을 위해 Scheffe tset를 실시하였다. 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도덕적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 차이에서 성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정규체육수업만 참여하는 고등학생과 정규체육수업과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고등학생 그룹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지는 않으며 정규체육수업과 그 외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고등학생 그룹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정규체육수업만 참여하는 고등학생 그룹의 경우 1학년, 2학년, 3학년 순으로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정규체육수업과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고등학생 그룹의 경우 1학년, 2학년, 3학년 순으로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지는 않으며 정규체육수업과 그 외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고등학생 그룹의 경우 1, 2학년이 3학년보다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규체육수업과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참여정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 차이에서 참여종목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은 단체종목에 참여하는 학생보다 개인종목에 참여하는 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참여빈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은 주1회, 주4회, 기타(주5회 이상), 주2회, 주3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참여시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은 주1~2시간, 기타(주5시간 이상), 주4~5시간, 주2~3시간, 주3~4시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기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은 1년 미만, 2년 미만, 3년 미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지 않으며 정규체육수업과 그 외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참여정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 차이에서 참여종목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은 단체종목보다 개인종목에 참여하는 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빈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은 주3회, 주1회, 기타(주5회 이상)=주2회, 주4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참여시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은 주3~4시간, 기타(주5시간 이상), 주4~5시간, 주1~2시간, 주2~3시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기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은 경우 3년 이상, 2년 미만, 1년 미만, 3년 미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그룹 간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 차이에서 정규체육수업과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고등학생, 정규체육수업만 참여하는 고등학생,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지는 않으며 정규체육수업과 그 외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고등학생 순으로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학교스포츠클럽이 고등학생의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친다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their moral value reasoning, thereby proposing the through an empirical investig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690 students from 4 schools located in Seoul. Among the gathered data, data in which the response were considered poor or lacking reliability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tud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The overall summary of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their Moral Value Reasoning were as follows. First, in moral value reasoning by stud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irls showed higher grades than boys, and the lower grades showed higher standards of moral value. Second, in the difference of moral value reasoning standard by participation degre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chool sports clubs, the moral value reasoning standard based on the events appeared to be higher to students who participate in individual event than who participate in group event, and based on the participation frequency, the more frequent except once a week, and based on the participation time the longer students spend except one to two hours a week, the higher moral value reasoning was appear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duration, less than one year, less than two years and less than three years showed higher level of moral value reasoning. Third, in difference of the moral value reasoning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degree who took part in only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not in school sports club, in participation event it was higher in individual event than in group event, and it had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Also, based on the engagement time, the higher, the more positive moral value reasoning was, and there also was no significant effect. Fourth, based on difference of moral value reasoning degree between groups,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sports clubs,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onl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only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not in school sports club showed high levels of moral value reasoning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values. This can be seen the school sports club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moral value reasoning of high school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