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죽음수용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Title
죽음수용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Authors
정하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30-50대 성인을 대상으로 죽음수용과 영성 그리고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성이 죽음수용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죽음수용은 세 가지 유형이 있는데,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중립적 수용, 내세에 대한 기대로 죽음을 수용하는 접근적 수용, 죽음을 고통스러운 삶의 도피처로 여기는 탈출적 수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죽음의 중립적 수용, 접근적 수용, 탈출적 수용과 영성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전국의 30-50대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선별된 215명의 데이터를 가지고 성별, 연령, 종교유무에 따라 죽음수용, 영성, 삶의 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죽음수용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접근적 수용은 탈출적 수용, 영성 전체 평균, 삶의 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탈출적 수용은 접근적 수용, 영성의 초월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삶의 만족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중립적 수용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 변인이 없었다. 이렇게 죽음의 접근적 수용, 탈출적 수용, 중립적 수용에 따라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난 결과는 죽음수용의 세 가지 유형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죽음수용의 전체 평균이 하위요인들을 대표하는 점수로 사용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주요 변인의 차이 검증 결과, 먼저 성별에 따른 죽음수용의 차이를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탈출적수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영성의 차이를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삶의 의미 목적, 내적자원, 자각, 그리고 영성의 전체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연령에 따른 죽음수용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영성의 차이를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자비심, 초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령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에 따른 차이를 보면, 종교인이 비종교인보다 접근적 수용이 높고, 삶의 의미 목적, 자비심, 연결성, 초월성, 영성 전체 평균이 높으며,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죽음수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접근적 수용과 삶의 만족 사이에서 영성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접근적 수용이 높아질수록 영성이 높아지고, 영성이 높아짐으로서 삶의 만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우리 삶에서 영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인간의 내적 성장과 자아실현을 돕고 삶의 만족을 높이는 영성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영성을 확장하기 위해 상담과 심리치료 분야에서도 영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cceptance, spiritual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dults aged 30 to 59 years and to examine whether spiritua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Death acceptanc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Neutral acceptance is the natural acceptance of death. Approach acceptance is the acceptance of death as the expectation of the afterlife. Escape acceptance is to regard death as a refuge for a painful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types of death acceptance, spirituality, and life satisfaction.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Korean adults aged 30 to 59 years. With 215 valid data, the t-test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ath acceptance, spirituality,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lig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results showed that approach acceptance ha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escape acceptance, life satisfaction, and mean of the whole spirituality. Escape acceptance ha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approach acceptance and transcendence and had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Neutral acceptance were not relationship with variables. The results of different correlations among the main variables according to the approach acceptance, escape acceptance, and neutral acceptance of death are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types of death acceptance.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overall mean of death acceptance can not be used as a representative of sub-factors.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ath acceptance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Women were more accepting of death as an escape from life than m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ity according to gender. Men were reported greater the meaning/purpose of life, innerresource, awareness, mean of the whole spirituality than women.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ath acceptance according to 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ity according to age. The higher age, the higher service and transcendence.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age, the lower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ath acceptance according to religion. Persons with religion were reported higher approach acceptance, the meaning/purpose of life, service, connectedness, transcendence, mean of the whole spirituality, life satisfaction than persons without relig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spirituality plays a perfect mediating role between approach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approach acceptance, the higher spirituality and high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our lives. It should pay attention to spirituality that helps human internal growth and self-realization and enhances life satisfaction.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spirituality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o expand spiritu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