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4 Download: 0

색명에 의한 갈색과 Brown, 분홍과 Pink의 색채범주화

Title
색명에 의한 갈색과 Brown, 분홍과 Pink의 색채범주화
Other Titles
Color-Categorization of Galsek and Brown, Bunhong and Pink by Color Name
Authors
허재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Brown and pink are the secondary colors, and the focus color is not clear compared to the primary color, and it is hard to imagine what colors are mixed, which leads to confusion in the category. In terms of language, Brown and Pink need a lot of modifiers in order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Brown and pink in Korean are Galsek and Bunhong. Galsek and Bunhong, Brown and Pink are used in similar proportions in Korean color express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Galsek and Brown, Bunhong and Pink categorize differently according to linguistic differences. The first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Koreans use Korean and English at a similar rate in expressing color. In order to reveal the first hypothesis, we conducted a color naming experiment without clues. The frequency of language use was 48.4% in Korean, 46.8% in English, and 4.8% in English and Korean. In order to reveal the first hypothesis, we conducted a color naming experiment without clues. The frequency of language use was 48.4% in Korean, 46.8% in English, and 4.8% in English and Korean.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the experimenter recognizes different categories of Galsek, Brown, Bunhong, and Pink according to language differences. In order to reveal the second hypothesis, 'Test of Selecting Color Name' according to color and ‘Test of Selecting Color' according to color name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the categories of Galsek, Brown, Bunhong, and Pink differed according to language differences. In hue, Galsek showed characteristics of R series and Y series compared to Brown in both experiments. In 'Test of Selecting Color Name', Pink showed R characteristic compared to Bunhong. In 'Test of Selecting Color', Pink was dominant in the R and B series compared to Bunhong. In Tone, both Galsek and Brown had a difference in saturation than lightness and Galsek had a higher saturation than Brown. Buhong has higherlightness than Pink and Pink has higher saturation than Bunhong. Experiments have shown that Korean people recognize different categories of Galsek, Brown, Bunhong, and Pink according to language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identify color categories based on color diversity resulting from language diversity and recognize the categories of Galsek, Brown, Bunhong, and Pink through color naming to improve the clarity and efficiency of color planning.;갈색 그리고 분홍은 1차색에 비해 초점색이 명확하지 않은 2차색으로, 어떤 색들이 혼합되어 있는지 연상이 어렵기 때문에 범주에 혼동이 온다. 갈색과 분홍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수식어를 사용한 색명들이 존재하고, 한국인의 색채표현에 있어 한국어인 갈색과 분홍, 영어인 Brown(브라운)과 Pink(핑크)가 유사한 비율로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의 다양성에서 비롯된 색명 차이에 따라 갈색과 Brown(브라운), 분홍과 Pink(핑크)가 어떤 형태로 범주화되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가설1은 한국인이 색채를 표현에 있어서 한국어와 영어를 유사한 비율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가설1을 밝히기 위해, 단서 없는 색채명명실험을 진행하였고 언어 사용의 빈도수 비율은 한국어가 48.4%, 영어가 46.8%, 영어+한국어는 4.8%였다. 가설2는 피험자들이 언어차이에 따라 갈색, Brown(브라운), 분홍, Pink(핑크)의 범주를 다르게 인식한다는 것이다. 가설2를 밝히기 위한 실험으로 색채에 따른 색명선택실험과 색명에 따른 색채선택실험을 진행하였고, 언어차이에 따라 갈색, Brown(브라운), 분홍, Pink(핑크)의 범주가 다르게 도출되었다. 색상에서 두 실험 모두 Brown(브라운)에 비해 갈색이 R계열과 Y계열의 특징을 보였고, 색명선택실험에서는 분홍에 비해 Pink(핑크)가 R계열의 특징을 보였으며 색채선택실험에서는 분홍에 비해 Pink(핑크)가 R계열과 B계열의 특징이 우세하였다. 색조에서 두 실험 모두 갈색과 Brown(브라운)은 명도보다 채도 차이가 있었고 갈색의 채도가 더 높았으며, 분홍과 Pink(핑크)는 분홍의 명도가 더 높고 Pink(핑크)의 채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실험을 통해 한국 사람들은 언어차이에 따라 갈색, Brown(브라운), 분홍, Pink(핑크)의 범주를 다르게 인식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언어의 다양성으로부터 비롯된 색명 차에 의한 색채범주를 파악하고, 산업체에서 현 시대의 특징을 반영하여 사람들의 인식을 고려한 색명제시를 통해 갈색과 Brown(브라운), 분홍과 Pink(핑크)의 범주에 대한 인식의 명확성을 높이고 색채계획에 효율성을 도모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