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57 Download: 0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Title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uthors
최서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UN장애인권리협약은 장애의 개념을 손상을 가진 개인과 그 개인을 둘러싼 태도적 환경적 장벽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정의하였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더 이상 장애를 개인의 문제로 국한하여 보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많은 비장애인과 장애인당사자 까지도 장애를 개인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장애인들은 여전히 많은 편견과 차별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정신장애인은 이러한 사회적 편견 등으로 인해 높은 치료 거부율을 보이는데 이는 장애인 당사자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과 그를 둘러싼 환경 모두에게 부담을 주며 결국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사회문제의 예방과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과 사회통합을 위한 선결조건으로서 장애수용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과 사회통합을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인 자아존중감, 일상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과 환경적 요인인 사회참여, 차별경험으로 설정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16년도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자아존중감, 일상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 사회참여, 차별경험이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 수준은 M = 2.71(SD = .48)로 보통 이상의 장애수용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독립변수는 종속변수인 장애수용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정신장애인의 개인적 요인인 자아존중감, 일상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은 모두 장애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요인 중 차별경험은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지만 사회참여는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장애수용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수는 자기효능감이었으며, 뒤를 이어 자아존중감, 일상생활만족도, 차별경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는 장애수용을 39.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정신장애인의 개인적 요인인 자아존중감, 일상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은 장애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 향상을 위하여 이러한 개인적 요인에 대한 개입을 꾸준히 실시하여야 하며 동시에 위 프로그램과 장애수용과의 연결고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접점을 발견해야 한다. 이 접점을 기반으로 향후 실천현장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한다면 각 요인에 대한 단편적인 개입을 넘어서 정신장애인 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인 장애인의 사회 적응과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장애수용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자기효능감은 성공경험을 통해 향상될 수 있는데 전문가들은 다양한 프로그램 과정마다 크고 작은 성공경험 기회를 제공하여 생활과 치료 전반의 과정에서 꾸준한 성공경험을 통한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도모해야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를 통한 정신 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는 정신장애인에게 지속적으로 지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조집단을 활용하여 동료지지 교류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정신장애인이 자조집단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야할 것이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일상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우리 사회가 정신장애인의 생활 전반을 대상으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사회 전반의 영역에서 정신장애인에게 소비자로서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선택에 대한 책임감을 동시에 요구함으로서 본인 진정한 삶의 주체자가 되는 경험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신장애인은 본인이 선택한 생활의 여러 영역에 대해서 보다 높은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결과에서 정신장애인의 사회참여는 장애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에 근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사회참여 척도는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단체나 모임 등과 결혼식, 장례식, 졸업식, 종교행사 등의 의식 참여 등 포괄적이고 전반적인 사회활동에 대한 단순한 참여 정도를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받았다. 즉, 본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사회참여 항목의 결과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참여 유형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단순화된 척도 때문임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후속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정교한 척도 개발을 통해 보다 유의한 연구결과를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참여가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지만 기존의 사회참여와 장애수용의 선행연구결과와는 다른 방향을 나타낸 것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다른 유형의 장애인보다 정신장애인의 차별 정도가 더 높다는 장애인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타 유형의 장애인들은 사회참여를 통해서 얻는 새로운 관계망이나 사회적 지지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 반면, 본 연구의 대상자인 정신장애인들은 사회에 참여를 하면서 겪는 부정적인 차별경험 등을 통해 오히려 장애수용에 부적인 영향을 받았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아래 본 연구의 차별경험의 결과와 더하여 제언을 더하고자 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정신장애인의 차별경험은 장애수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특히 정신장애인들이 느끼는 사회적 편견이나 차별이 다른 유형의 장애인들보다 더 높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전문가는 정신장애인의 차별경험을 낮추기 위해서 비장애인들을 위한 정신장애 인식개선의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를 실행해야 할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차별금지교육 의무화 등의 구체적인 장애인 정책과 제도를 재정비해야 할 것이며 전문가가 일방적으로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단순 주입식 교육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교육전달방법 개발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를 도와야 할 것이다. 이렇듯 우리사회는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 향상을 위하여서 정신장애인 당사자, 전문가, 사회구성원 모두가 본인의 위치에서 각자의 노력과 책임을 다할 때,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을 넘어서 적응과 사회통합의 목적을 달성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by focusing on the personal factors(self-esteem, daliy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social participation, experienced discrimination). The sample is compose of 175 mentally disabled people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The analyse us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personal factors affect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of mentally disabled people. Therefore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individual factors. An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find 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personal factors and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improve them comprehensively. Second, experienced discrimination in environmental factor affects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of mentally disabled people. But, social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factor doesn't affect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of mentally disabled people. So We must strive to eliminat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in our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main significance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ade the first attempt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the disability for the mentally disabled.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disability acceptance of disability in detail by dividing the factors influenci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ield of practice, the personal factors of the mentally disabled persons who a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disability acceptance in this study should be noted. It is meaningful to use it as the theoretical basis data to simultaneously improve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the disabled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as the ultimate purpose.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social particip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cceptance and disability acceptance, as opposed to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sability acceptance. This can be expected 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proposed a new viewpoint on this variable. Fourth,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fforts to reduce the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which is the only environmental factor tha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Fif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 - efficacy has a higher level of influence than self - 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f - efficacy is the most powerful and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disability acceptance. It is important because it sets the priority of intervention and suggests an efficient way to achieve a higher effect within a limited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