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9 Download: 0

경력단절 후 재취업 여성근로자의 고용보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Title
경력단절 후 재취업 여성근로자의 고용보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uthors
문은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 임금근로자들이 고용보험 제도의 적용상 당연가입 대상에 포함되어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저조한 가입률을 보이고 있어 고용보험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2/3의 여성근로자가 경험하는 경력단절과 그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더욱 열악한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여성근로자의 고용보험 배제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사회는 사회구조적으로 임신, 출산, 육아의 책임이 오롯이 여성들에게 지워지고 있고 노동시장의 구조와 관행상 일·가정 양립이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때문에 결혼 및 출산으로 야기되는 경력단절은 대다수의 여성들에게 필연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하였을 때는 그들의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망마저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력단절 후 재취업 여성근로자들이 어떤 이유로 고용보험에서 배제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이들의 개인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을 중심으로 고용보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2016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의 원자료를활용하였으며, 경력단절 후 고용보험 적용대상인 임금근로자로 재취업한 25~54세 기혼여성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403명의 연구 대상자들의 고용보험 배제수준은 고용보험 가입자가 240명으로 59.6%, 고용보험 미가입자가 163명으로40.4%를 차지하여 고용보험 당연가입자인 임금근로자임에도 약 40%의 재취업 여성이 고용보험에서 배제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후 실시한 고용보험 배제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력단절 후 재취업 여성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분석에서는 전문대졸 보다학력이 낮은 고졸 이하의 경우, 가구주보다 배우자일 경우, 경력단절 이전 종사상 지위가 상용직이었던 경우 보다 임시·일용직 종사자였던 경우 고용보험에서 배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후 재취업 여성근로자의일자리 특성에 대한 분석에서는 종사자 수가 5인 미만인 소규모 기업체의 경우, 종사상 지위가 상용직인 경우보다 임시·일용직인 경우, 전일제 근로자보다 시간제 근로자일 경우 고용보험에서 배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을 함께 분석한 연구모형에서는 가구주인 경우보다 배우자인 경우, 종사자 수가 5인 미만인 소규모 기업체의 경우, 종사상 지위가 상용직인 경우보다 임시·일용직인 경우, 전일제 근로자보다 시간제 근로자일 경우 고용보험에서 배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매우 열악한 위치에 있는 경력단절 후 재취업 여성근로자들의 고용보험 배제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이들이 고용보험이라는 사회적 안전망에서 배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함의를 가진다. 그러나 고용보험 가입여부만을 중심으로 고용보험 배제 여부를 논하여 실질적인 고용보험 배제를 확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고용보험 가입여부와 실제 실업급여 수급여부를 모두 고려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is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although under the current employment insurance system all wage and salary workers are automatically included as insurance members, the actual female wage and salary workers included in the employment insurance are very low, unable to receive insurance and benefits. The study will especially focus on the career breaks nearly two-thirds of female workers experience as well as being excluded in the insurance program once they return to the labor market. In reality, the Korean society systematically places the responsibly on pregnancy, birth and parenting solely on women, making it very hard for women to have a compatibl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Even though it is a constant inevitability that due to marriage and pregnancy women have to leave their jobs, not even a minimal social protection program is given to them once they return to the labor market. Therefore, this study is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reason why female workers are being excluded in the employment insurance after returning from their career breaks, by analyzing what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affects the exclusion.The analysis is based on the original data of ‘2016 Survey on Economic Activities of Career-break Women’, with the subject of the analysis being married women returning from career breaks from the age 25-54. SPSS 18.0 is used for the analysis with frequency analysis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being applied.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Among 403 subjects researched, 240(59.4%) of them were included in the employment insurance while 163(40.4%) were excluded, showing that 40% of the women returning from their career breaks were excluded from employment insurance. According to a study done afterwards, the reasons for the exclusion is as follows: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 analysis, those who had academic degrees lower than college education, those who were a housewife rather than householder, those who were a temporary or daily employee rather than permanent employee prior to career break had a higher possibility of being excluded in the insurance. Based on the job character analysis, those who work for a small business with 5 employees or lower, those who were a temporary or daily employee rather than permanent employee, those who worked hourly rather than full-time had a higher possibility of being excluded in the insurance. Based on the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analysis done together, those who were a housewife rather than householder, those who work for a small business with 5 employees or lower, those who were a temporary or daily employee rather than permanent employee, those who worked hourly rather than full-time had a higher possibility of being excluded in the insurance. This study analyzed the poor working conditions female workers face after returning from their career breaks to prevent further exclusions from employment insurance.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effectively identifying the exclusions of the insurance just by analyzing the membership of the insuranc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hat includes the actual of unemployment benefits received as well as the inclusion of the employment insur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