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3 Download: 0

한글소설『제마무전』글자체 분석

Title
한글소설『제마무전』글자체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Font anaysis of Hangeul nove ‘JeMaMuJeon’ : Focusing on BangGakBon AnSeongPanBon
Authors
백장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방각본(坊刻本)’은 민간에서 상업적으로 판매를 목적으로 하여 이윤을 취하기 위해 간행한 출판물을 말하는데, 조선 후기 한글소설 방각본을 통해 사대부 계층에 국한되었던 서적을 민간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민간에 의한 상업출판으로서 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방각본 출판지로는 서울 지역, 전주 지역, 안성 지역이 가장 활발하였고, 서울 경판본(京板本), 전주 완판본(完板本), 안성 안성판본(安城板本)이라고 불렀다. 그 중에서도 서울 경판본은 판본의 종류나 규모에서 가장 큰 지역이었다. 전주시는 전주 완판본『열녀춘향수절가』를 토대로 ‘완판본 마당체’를 제작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방각본 3대 출판지로 불리는 안성은 서울, 전주 다음으로 성행하였던 방각본 출판지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연구는 서울의 경판본과 전주의 완판본에만 집중되어 왔다. 또한 안성판본의 역사적 가치나 문학적인 내용에 관한 연구는 지속되었지만 독자적인 연구의 대상으로서 콘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성판본『제마무전』에 나타난 글자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글자체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연구대상인 안성판본『제마무전』의 글자체의 전반적인 시각적인 형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 기준과 요소에 따라 글자꼴의 모습을 고찰하고자 닿자와 홀자의 조합에 따라 가로모임(ㅏ/ㅐ/ㅑ/ㅒ/ㅓ/ㅔ/ㅕ/ㅖ/ㅣ), 세로모임(ㅗ/ㅛ/ㅜ/ㅠ/ㅡ), 섞임모임(ㅘ/ㅙ/ㅚ/ㅝ/ㅞ/ㅟ/ㅢ)으로 나누고 글자꼴의 전체적인 어울림과 형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원전의 형태는 보존하는 방향으로 현대의 미감을 더해 399자를 개발하며 부분 글자체를 제작하였다. 글자체를 디자인하는 방법론에는 옛날에 만들어진 고서를 원전으로 두고 개발하는 사례가 많다. 이러한 연구들은 한글 글자꼴이 풍부해지도록 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으며, 본 연구 역시 옛것에서 모티브를 착안하여 현대적인 미감을 더해 새로운 시각으로 소개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원전에 나타난 글자체의 형태를 해치지 않고 최대한 반영하는 방향으로 글자체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원전에 나타난 고유의 특징들을 중점적으로 전체적인 균형감과 어울림을 고려하여 작업하는 방향을 두고 디자인 하였다. 글자체를 개발할 때 글자의 구조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줄기에 중점을 두었다. 세로줄기는 한글에서 글자의 중심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기준점이 되는 것 외에도 가로줄기와 함께 글자꼴의 특징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홀자를 기준으로 첫닿자, 홀자와 겹홀자까지 추가한 확장 반절표를 토대로 숫자와 기본적인 문장부호를 더하여 399자를 개발하였다. 그 후 20~30자 정도의 문장을 구성하여 같은 닿자와 홀자를 활용하여 변형과 응용을 통해 글자의 구조를 완성해가도록 한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물을 통해 향후 연구에서 역사에 발상을 둔 글자체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방각본 글자체에 대한 연구에도 본 연구가 다양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BangGakBon(坊刻本)’ refers to a publication published in order to make profits for commercial purposes by the private sector.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book was confined to the upper class, but it changed into a commercial publication by the civilian through the novel book of Hangeul. Seoul, Jeonju and Anseong were the most active publishing regions. Seoul is known for GyeongPanBon, Jeonju is known for WanPanBon, and Anseong is known for AnseongPanBon. Among them, GyeongPanBon of Seoul was the largest of its kind or size. Jeonju produced the font called ‘WanPanBon MaDangChe’ based on the Jeonju WanPanBon 『YeolNyeoChunHyangSuJeolGa』. However, although Anseong, called the third largest publisher of the book, was the Third most popular release after Seoul and Jeonju, the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the GyeongPanBon of Seoul and WanPanBon of Jeonju. I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the study on the historical value or literary content of the AnseongPanBon continued, but that the study on content creation was insufficient as an object of independent stud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fonts in the AnseongPanBon "JeMaMuJeon" and proposes them by developing them based on them. To do this, the report looked at the overall visual form of the text in the book, AnseongPanBon "JeMaMuJeon". In addition, the graphic shapes wer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analysis criteria and element.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horizontal group(ㅏ/ㅐ/ㅑ/ㅒ/ㅓ/ㅔ/ㅖ/ㅣ), vertical group(ㅗ/ㅛ/ㅜ/ㅠ/ㅡ), and mixed group (ㅘ/ㅙ/ㅚ/ㅝ/ㅞ/ㅟ/ㅢ)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and analyzed the overall harmony and form of the group. Based on these analyses, 399 letters were developed with modern aesthetics to preserve the original shape, and partial fonts were created. In the method of designing fonts, there are many cases where reports made in the past have been developed on nuclear power plants. These studies are sometimes the basis for enriching Hangeul's font, and this research is also an intention to focus on motifs from ancient times and to introduce contemporary aesthetic and introduce them from a new perspective.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develop a font in a direction that maximally reflects the shape of the font shown in the original drawing without loss, and considers the overall balance and harmony, focusing on the inherent features shown in the circle I was design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I was designing.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stem of Hangeul, which is the most basic structure of the character when developing fonts. The vertical stem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ming the center of the letter in Hangeul, plays the role of the transverse stem and the font in addition to becoming the reference point. In this study, 399 characters were developed based on a table of Hangeul added as consonants, vowels, double vowels. After that, construct a sentence of about 20 to 30 letters and make use of the same consonants and vowels to complete the character structure through deformation and application. Through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I hope to be useful in researching fonts that were inspired by history in future research and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for research on BangGakBon fo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