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4 Download: 0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발견학습이 고등학생의 영어 문법 규칙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발견학습이 고등학생의 영어 문법 규칙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scovery Learning Utilizing Level-Differentiated Corpu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Grammar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코퍼스 문법 학습 자료를 통한 발견학습이 문법규칙에 한 이해력과 표현력 및 정의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문법 학습은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는 외국어 학습에서는 소홀히 여겨졌지만, 입시위주의 영 어 교육 현장에서 문법 학습은 간과할 수 없기에 여전히 교사중심으로 전통적인 문법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확성과 유창성을 동시에 갖추도록 하는 언어학습 에서 문법 지도의 최근 경향은 의사소통이 중심인 수업에서 언어의 형태에 주목하도록 유도하고, 문맥과 명시적 지도법을 강조하는 형태초점 교수법에 초점을 둔 다(Ellis, 2001; Long & Robinson, 1998).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의식상승 기법을 활용하여, 목표 문법 항목에 주목을 주고, 학습자가 규칙을 이끌어내도록 하 는 발견학습을 하도록 하였다. 즉, 실제적 언어의 집합체인 코퍼스를 활용하여 문법 규칙을 스스로 찾을 수 있는 발견학습(Date-driven Learning)이 가능하였다. 그 동안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어휘학습은 교육학적으로 효과가 있으며, 학습자 수준별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다(김유정, 윤현숙, 2011; 이진우, 2007; 임수영, 2012; 정다혜, 2009; 홍선이, 오선영, 2008). 그러나 코퍼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교육적인 자료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약점이 있고, 코퍼스를 교실에서 사용할 경우 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수준별로 제작된 코퍼스 학습 자료를 활용한 문법학습의 효과를 연구한 사례는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를 상으로 한 발견학습 수업 효과의 검증이었고(Boulton, 2009; Chun, 2014; Vyatkina, 2016), 수준별 코퍼스의 효과, 하위권 학습자에게 코퍼스 활용 유 도 발견학습 효과에 한 검증(오정은, 2017; Vyatkina, 2013)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사용한 발견학습이 우리나라의 고등학생의 상위 학 습자와 하위 학습자의 문법 점수의 사전·사후의 점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이 목표 문법을 주목하여 규칙을 찾도록 하는 계획적인 접근 법(planned focus on form)의 형태인 의식상승 과업(consciousness-raising task)을 사용하였으며, 유도된 추론 접근법(guided induction approach)을 사용한 학습지 기 반(paper-based) 코퍼스 자료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도된 추론의 차이를 두고 수준별로 제작된 코퍼스를 활용한 발견학습과 전통적 명시적 문법학습을 한 고등학생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 간에 문법 이해력과 표현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2학년 총 4학급을 선정하였고, 총 140명을 연구 상으로 삼아 총 2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방법으 로는 상위 코퍼스 자료를 활용하여 귀납적 문법지도를 한 실험집단 1반, 하위 코퍼스 자료를 활용하여 귀납적 문법지도를 한 실험집단 1반, 공통 코퍼스 자료를 활용하여 귀납적 문법지도를 한 실험집단 1반, 전통적 문법지도를 한 통제집단 1개 반 이렇게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수준별 코퍼스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준별 코퍼스 자료는 발견학습의 발전된 형태인 유도된 귀납적 학습(guided induction)정도의 차이로 두고 상위, 공통, 하위 코퍼스로 나누었다. 하위 코퍼스는 입력 강화를 사용하여 의식상승 수준을 높였다. 또한, 규칙을 발견하도록 이끄 는 질문은 단계별로 세세하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규칙을 찾는데 용이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어와 지문의 수준은 쉽게 하였다. 상위 코퍼스는 입력 강화의 기법을 최소로 하였다. 또한, 규칙을 발견하도록 이끄는 질문은 최소한으로 생략하여 학습자 스스로 규칙을 찾도록 하였다. 단어와 지문의 난이도는 어렵게 하였 다. 반면, 공통 코퍼스는 상위 코퍼스와 하위 코퍼스의 중간 수준으로 입력 강화를 사용한 의식상승은 중간으로 하고, 규칙을 유도하는 질문은 상위 코퍼스, 하위 코퍼스의 질문들을 반반 섞도록 하였다. 단어와 지문의 난이도 역시 상위 코퍼스와 하위 코퍼스의 중간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목표 문법 항목 들이 포함된 사전평가 및 사전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에게는 가공된 코퍼스를 활용한 발견학습 수업을 하고, 통제집단에게는 명시적인 문법 수업을 했 다. 이후 실험 수업이 종료된 후 사후설문과 사후평가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때, 목표 문법 항목은 주어-동사 수일치, 자동사 타동사, it의 용법, 도치 로 하였고 4차시에 걸쳐 문법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코퍼스 자료와 공통 코 퍼스 자료를 활용한 수업활동은 모두 전반적인 문법 학습, 문법규칙 이해도, 문법규칙 표현도에서 학습 효과가 있었다.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활용하여 상·하위 학습자의 수준별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상위권 학습자의 경우 상위 코퍼스를 사용한 학습결과 가장 큰 학습 효과가 있었지만 하위권 학습자의 경우 하위 코퍼스보다 공통 코퍼스를 사용한 경우 문법규칙 이해도, 문법규칙 표현 도에서 모두 높은 효과를 보였다. 수준에 맞는 코퍼스를 제공하면 학습의 효과가 더욱 좋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던 기존의 연구들의 주장과 상위권 학습자들은 일치 하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하위권 학습자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학습 수준에 맞는 하위 코퍼스보다 공통 코퍼스를 사용한 경우 좋은 성과를 보인다는 점이 기존 의 연구들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발견학습이 정의적 태도에 있어서 코퍼스 자 료를 이용한 실험집단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사후검사 점수변화에 있어 실험 전 수준이 유사하였던 네 집단의 학습자들이 코퍼스를 활용하였을 때 문법 흥미 도가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학습이 학습자들의 흥미도를 높였다는 시사점을 준다. 학습자의 상·하위 수준별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하위권 학습자의 경우 코퍼스 활용에 한 태도에서 공통 코퍼스 집단에서 코퍼스 활용에 한 태도에서 가장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고, 상위권 학습자의 경우 상위 코퍼스 집단에서 정의적 영역의 모든 항목이 가장 높은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상위권 학습자의 경우 상위 코퍼스를 활용한 수업이 효과적이었고, 하위권 학습자의 경우는 다소 다른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학습의 효용도에 있어 전체적으로 상위 코퍼스와 공통 코퍼스에서 학습의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위 집단별로 살펴보면 상위권 학습자의 경우 집단 간 효용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권 학습자의 경우 공통 코 퍼스 집단이 하위 코퍼스 집단에 비해 효용도에 있어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추가 사후 설문의 결과를 함께 보았을 때 실험집단의 학 생들 다수가 코퍼스 문법 학습에 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반응하였다. 이는 기존의 설명식 문법 학습 방법에 비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규칙을 발견하는 문법 학습법이 성취감과 학습동기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하위권 학습자들의 답변을 보면 너무 쉬운 학습 자료를 제공할 경우 오히려 학 습 동기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에 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사용한 문법 학습은 문법 이해력, 표현력, 정의적 측면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고등학교 학습자에게 코퍼스에서 추 출한 예문을 가지고 규칙을 찾아내는 의식상승 과업을 학습자 수준에 맞춰 재구성할 경우, 긍정적인 문법 교육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코퍼스 자체를 어려워하는 학습자에게 규칙도출을 위한 재구성된 코퍼스를 통해 나이가 어리거나 영어 문법을 처음 배우는 학습자에게도 효과적일 수 있음 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양한 조작적 정의를 통해 코퍼스의 수준을 나눈 수업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하고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코퍼스 자료를 학습자 수준에 맞도록 효과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위권 학습자에게는 상위 코퍼스가 전반적인 문법 학습과 이해 력, 표현력에서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하위권 학습자에게는 공통 코퍼스가 전반 적인 문법학습과 이해력, 표현력에서 하위 코퍼스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즉, 너무 쉬운 학습 자료를 제공할 경우 오히려 학습 동기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너무 쉬운 코퍼스 학습 자료보다 약간은 어려운 공통 코퍼스 학 습 자료에 만족하고 있음은 학습자들이 규칙을 찾도록 하는 적절한 수준별 코퍼스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언어 형태 교수에 다양하게 활용한 교육과정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코퍼스의 내용을 접하는 것은 실제적인 자료를 사용하 기에 학생들은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코퍼스를 학생들이 느끼기에 너무 어렵지 않도록 제공할 경우 흥미로운 학습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현 우리나라 영어 교육이 의사소통 위주의 학습에 초점을 둔다. 그러나 입시위주의 환경에서 교과서 중심의 문법수업을 경시할 수 없다. 따라서 실제적 학습 자료로서 코퍼스 를 재구성하여 언어 형태를 찾는 학습법은 문법 영역 뿐 아니라 어휘, 쓰기 등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준별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교수 방법은 장기적으로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방향이라고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discovery learning utilizing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grammar comprehension, expression, and attitude changes of learners toward the use of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Grammar studies have been neglected in language learning, but traditional grammatical studies are still being taught as teacher-centered grammar lessons. Recent trends in grammar learning, in which grammar studies focus on integration of accuracy and fluency, induce the focus on form while attending the meaning in communication context(Ellis, 2001). This study uses the discovery learning through Consciousness-raising tasks, which help learners induce the grammar rule while noticing the target items. To be specific, this discovery learning utilizing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compares the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high and low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raising tasks were used as a form of planned focus on form, which lead to discover the grammatical rule attending to form of the examples. In addition, learner-centered paper-based corpus materials are designed based on guided induction approach.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ifferences of the grammar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between the high and low level high school students in discovery learning utilizing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based on the differences of the guided induc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four classes of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nd conducted a total of 140 students for two weeks. For this experiment, we classified 4 groups: high-level of corpus material, low-level of corpus material, mid-level of corpus material, and the traditional grammar material. And the level-difference is based on the level of the improved form of guided induction: Low-level of corpus data increased the level of consciousness raised by using mnemonic, in bold, underlining the target items. Further, the questions that lead to the discovery of rules have been presented in detail by the reader, making them easier to find the rules. Lastly, the level of vocabulary and sentence structure was easy. High-level of corpus data minimizes the level of consciousness raising. Also, the questions that led to the discovery of rules were relegated to a minimum, allowing the learners to seek the rules by themselves. The difficulty of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wa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the mid-level corpus is structured using the middle of those technique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of all, level-differentiated and common corpus data are effective in learning effect on grammar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To be specific, the high-level students are benefited by the high-level of corpus materials. On the other hand, the low-level of students are affected by the low-level of corpus materials the most in grammar learning. Second, attitudes toward the discovery learning utilizing the level-differentiated corpu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experimental groups. All of the experientia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erest in grammar. This suggests that learning English using Corpus has increased the attractiveness of learners.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different level of learners on the attitude of Corpus, high-level of students have shown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s in high-level of corpus. However, the low-level of students have shown the great effectiveness on the mid-level of corpus. Third, in overall grammar learning, high level and common corpus have shown the great improvement. Looking at the sub groups, low-level of students show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mon corpus, which indicates that too easy learning material is likely to reduc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The questions to find the grammatical rules are too specific so that it causes the learners to distract finding the rules. The followings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grammar education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First, grammar learning using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grammar comprehension, expression, and attitude. That is, reconstructed corpus materials tailored to the students' level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grammar learning. So level-differentiated corpus materials can be developed and studied in various ways focusing on the different definition of level-differentiated corpus data for the learners who are struggling to learn the grammar rul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Corpus efficiently to fit the level of the learn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op performers were effective in the overall grammar learning, comprehension, and presentation of grammar skills by using the high-level corpus materials. However, for the low-level students, it was in the common Corpus materials. It indicates that if the teacher provided too easy learning materials, it cannot promot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erefore, designing the right level of corpus materials is needed for the level of students. Third, it needs to be developed as a curriculum for teaching various ways of corpus data. Authentic material, Corpus, can be difficult for students to use. However, it can be used as an interesting learning material if provided not too much difficulty for the students. Therefore, various uses of the corpus data for English instructions, such as vocabulary, writing, as well as grammar, seem to be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high school English educational curriculum where practical use of language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