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Title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of a child in a single-parent family
Authors
김언화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한부모가정 아동으로서 부모에 의한 적절한 돌봄을 받지 못하고, 주변관계에서 적절한 자기표현을 하지 못해 가정이나 사회적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11세 여학생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2016년 10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주1회 회기 당 50분에서 70분씩 26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표현 향상을 위해 초기단계(1-4회기)에는 연구자와 아동간의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매체 탐색을 통해 미술표현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흥미를 갖도록 하였다, 중기1단계(5-11회기)에는 자유로운 표현 활동으로 자기 탐색의 시간을 가지고, 중기2단계(12-20회기)에는 긴장을 이완하면서 아동의 감정표출과 연구자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종결기(21-26회기)에는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감정이나 정서 등의 자기 표현력을 향상시키며, 긍정적 자아상을 가지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표현 검사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언어나 음성, 비언어적표현 등 하위영역을 관찰하고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더불어 투사그림검사로 동적 나무-집-사람(K-HTP) 검사와 동적 가족화(KFD)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하였고, 아동의 일상생활이나 정서적 측면의 내용은 담당복지사 선생님의 면담과 어머니의견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 검사의 사전·사후 수치를 분석한 결과 총점 68점에서 80점으로 상승하였다. 하위요인인 말한 내용에 대한 부분과 음성적인 부분에서 아동의 감정이나 정서에 대한 다양한 표현이 많아졌고, 비언어적인 부분에서도 감정 등의 표현이 풍부해졌다. 미술치료가 대상아동의 자기표현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HTP 그림검사에서는 강박적이고 불안해 보이는 표현이 균형 있고 안정적인 그림으로 변화되었고, KFD 그림검사에서도 사전검사와 다르게 편안하고 안정된 가족의 일상을 표현함으로써 가족에 대한 아동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동은 지지하고 공감해주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억압되어 있던 감정을 표출하여 정서적 이완을 경험하고, 자기 탐색 과정을 거쳐서 자기표현에 좀 더 자유로워졌다. 나아가 연구자와 안정된 상호작용을 통하여 또래집단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미래에 대한 꿈과 소망을 표현하는 등 정서적⋅감정적 안정감을 갖게 되어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부모가정 아동의 정서·심리적인 문제요인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자기를 표현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관련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 임상현장에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art therapy affected self-expression of a child in a single-parent family. A 11-year-old girl in a single-parent family―a fourth-grader who failed to receive good care from her parents and to make good self-expression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had difficulty at home or in social relations―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collect data, art therapy was given in 26 sessions―a session weekly, 50-70 minutes per session―from October 2016 to July 2017. To enable the child in a single-parent family to make better self-expression, she was allowed to establish trust-based relationships with the researcher and to feel less pressure about and take interest in art expression through exploration of media at the early stage (Sessions 1-4). She was given time for self-exploration with free expression activity at the former part of the middle stage (Sessions 5-11) and was allowed to relieve stress and make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at the latter part of the middle stage (Sessions 12-20). She was allowed to feel a sense of achievement, improve her self-expression based on her feelings or emotion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get a positive self-image through the course of art therapy at the consolidation stage (Sessions 21-26) A self-expression scale was used to observe such sub-areas of verbal, voc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f the child and mak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cores. Such projective drawing tests as Kinetic House-Tree-Person (KHTP) test and Kinetic Family Drawing (KFD) test were performed to mak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nd the child’s daily life and emotions were summarized on the basis of the interview with the social worker and the mother’s opinion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he scored higher for self-expression: a total of 68 in the pretest and 80 in the posttest. Such sub-factors as what she said and the vocal part involved more diverse expressions of her feelings or emotions, and the nonverbal part also involved more expressions of her feelings. It was confirmed tha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xpression of the child. K-HTP test showed that she gradually made balanced and stable drawings, instead of obsessive and unstable expressions, and KFD test also showed that she gradually expressed comfortable and stable family routines on the basis of positive awareness of her family. Second, the child was enabled to express her suppressed emotions, experience emotional relief, and make self-expression more freely through self-exploration by the art therapy program, which gave her support and empathy. She had her peer relationships affected positively by stable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became emotionally and affectively stable through expression of her dreams and hopes for the future, and made better self-expression. On the basis of these conclusions, art therapy can enable a child in a single-parent family who has difficulty with self-expression to solve his/he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and overcome the fear of self-expres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clinical practice of art therapy for relevant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