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한국과 중국의 직장 내 화행 비교연구

Title
한국과 중국의 직장 내 화행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workplace speech act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Verbal communication
Authors
ZHANG, HAIYUN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글로벌 시대로 진입하면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이 많아지면서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구두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중국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한국기업들이 우후죽순처럼 중국시장에 진출하게 되었고 한중 비즈니스의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같은 문화권에 속해 있고 지역적으로도 가까워 유사한 점이 많지만 실제로 커뮤니케이션을 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조직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국인 직장인과 한국 조직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국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 내에서 대상(상사/부하/동급자)과 상황(미팅/팀워크)에 따라 발생하고 있는 구두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사용 정도와 난이도를 파악하여 한국인과 중국인이 상호 조직 내에서의 구두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한국인과 중국인의 직장 내 구두 커뮤니케이션이 대상과 상황에 따라 사용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2. 한국인과 중국인의 직장 내 구두 커뮤니케이션이 대상과 상황에 따라 어렵다고 느끼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직장 내에서 구두 커뮤니케이션을 잘하기 위해 어떠한 교육이 필요 하는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8월 15일부터 11월 5일까지 약 3개월간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는 방식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결과해석을 위해 면대면 인터뷰를 추가로 진행하여 t-검정 및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직장 내 구두 커뮤니케이션이 대상과 상황에 따라 사용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팀워크를 제외한 모든 상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인이 중국인보다 구두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사용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직장 내 구두 커뮤니케이션이 대상과 상황에 따라 어렵다고 느끼는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상사/팀워크/미팅 중 구두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경우에서 한국인이 중국인보다 구두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어렵다고 느끼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 직장인들이 요구하는 구두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교육의 내용은 비슷하나 중요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과 중국인이 앞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서로의 표현방식의 차이점을 인식함으로써 업무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한국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구두 커뮤니케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한중 조직문화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대상을 선정함에 있어서 중국 현지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국인 직원과 한국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국인 직원을 포함하지 못한 점과 자세한 분류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 그리고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해결책 부분 내용이 다소 부족한 점에서 한계점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더욱 세분화하고 특히 교육 프로그램과 이에 따른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As we enter the global era, cultural communication is increasing in frequency, scale, and depth. Naturally with this growth and expansion, we have begun to notice the importance of engaging in communication with people of other cultures. For instance, as Korean companies started entering the rapidly-growing Chinese market, the demand for Korea-China business has been higher than ever before. Although Korea and China share not only a geographic border but also the same cultural dimension, the two countries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use and challenges in verbal communication met by Korean and Chinese employees, each in their native workplace, based on the various conversations that take place between colleagues and with one’s superior or subordinat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carried out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Do Korean and Chinese employees use different degrees of verbal communication when given a similar condition and target audience?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xtent of difficulty Korean and Chinese employees experience, when given a similar condition and target audience? 3. What type of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verbal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and retrieving online questionnaire from Aug. 15 to November 5, 2017, and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via a face to fac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below.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bal communication use in the workplace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ontexts other than for daily teamwork, and Korean employees tended to use more verbal communication than Chinese employees. Second, Korean and Chinese employe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they experienced in verbal communication. When communicating with superiors, during daily teamwork and meetings, Korean employees found it more difficult than did the Chinese. Third, the response of two group is similar,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