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삼죽금보』중 ‘매화곡’과 현행 ‘매화가’ 1마루의 선율 비교 분석

Title
『삼죽금보』중 ‘매화곡’과 현행 ‘매화가’ 1마루의 선율 비교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a comparative melody of Maehwagok in 『Samjukgeumbo』 and first chapter of contemporary Maehwaga
Authors
손수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우리나라 전통음악 중 정가에 속하는 성악곡에는 가곡, 가사, 시조가 있다. 이들 세 가지 성악곡은 다른 반주 형태를 지닌다. 현행 가곡에는 거문고, 가야금, 대금, 피리, 해금, 양금, 단소, 장구 등의 줄풍류로 편성되고, 가사나 시조의 반주에는 대금, 피리, 해금, 장구가 편성된다. 즉 현행 반주음악에는 가곡에만 거문고가 사용되고 가사나 시조의 음악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19세기 초 거문고 고악보인 『삼죽금보』에는 가사나 시조의 악보가 전해지고 있어서, 그 당시 거문고가 가사나 시조의 음악과 관련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삼죽금보』가 거문고보라는 이유만으로 그 당시의 가사와 시조의 반주음악으로 거문고가 연주되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노래의 고악보는 노랫말을 기록한 악보만이 존재했으므로, 노래선율을 기록하기 위한 용도로 거문고보를 차용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삼죽금보』소재 ‘매화곡’을 현행‘매화가’와 비교 분석하여, 『삼죽금보』악보의 용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화곡’의 악곡구조은 시조시 형식인‘내구·외구’와 가곡 반주형식인‘여음’이 있고, 구(句)와 구(句) 사이에 선율을 넣어 반복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매화가’는 노래사설에서 ‘내구·외구’형식이 있으며, ‘여음’의 형태는 축소·단순화된 형태로 남아있다. 또한 반복되는‘Ⓐ-Ⓑ-Ⓒ’형식의 13마루로 구성되어 반복 구성의 변형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매화곡’은 장단과 빠르기의 표기 없이 규칙적으로 찍혀있는 구점을 통해 그 당시 ‘매화곡’이 3박을 기본으로 하는 노래였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매화가’에서는 6박을 기본으로 하는 빠른 장단형태로 변모하였다. 두 곡의 출현음을 통해 알아본 악조에서 ‘매화곡’은 ‘중려궁평조’이고, ‘매화가’는 ‘임종궁평조’이다. 이는 ‘매화곡’에서 ‘매화가’로 전해지면서 장2도 상행한 악조로 변화되었음을 나타낸다. 셋째, ‘매화곡’은 전주부분과 간주역할의 ‘여음’이 있어 『삼죽금보』에 실린 가사보(譜)가 노래를 기억하기 위해 거문고보를 차용한 악보가 아닌, 가사의 반주를 위한 ‘거문고 반주’선율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매화곡’과 ‘매화가’의 선율 비교분석 결과, 음정과 리듬 모두 같은 동일선율이 14.3%, 유사선율이 57.2%, 음정이 모두 다른 상이선율이 28.6%임을 확인하였다. 유사선율을 음정의 유사 횟수를 통해 동일선율과 가까운 유사선율A와 상이선율과 가까운 유사선율B로 나누어, 동일선율과 유사선율A인 그룹은 42.8%, 유사선율B와 상이선율인 그룹은 57.2%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통계치는 『삼죽금보』에 실린 가사보가 노래선율을 따라가는 수성가락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현행 가곡과 같은 노래의 반주를 위한 선율을 기록한 ‘반주악보’임을 입증한다. 본 연구에서는 ‘매화곡’과 ‘매화가’의 악곡구조, 장단 및 악조 비교 연구를 통해 ‘매화곡’은 ‘내구·외구’와 같은 시조시의 전통형식과 ‘여음’의 가곡 형식을 가진 격조 높은 노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사 악보를 수록한 유일한 거문고 고악보가 『삼죽금보』인 점과 악보에 실린 선율이 반주선율인 점을 확인하여 가사의 반주로써 거문고가 중요한 담당을 하였음을 밝혀냈다.;There are three of vocal music that belong to the Chongga category of Korea traditional music: Kagok, Kasa, and Sijo. These three vocal songs with different accompaniment forms. Current Kagok is composed of Julpungryu(줄풍류) such as geomungo, gayageum, daeum, piri, haegeum, yangeum, danso, and janggu. In the accompaniment of the Kasa or Sijo, daeum, piri, haegeum and janggu are organized. In other words, the current accompaniment music uses geomungo only in Kagok, and it is not used in the music of Kasa and Sijo. However, in the early 19th century, 『Samjukgeumbo』, antique score for geomungo, was passed down with a score of Kasa and Sijo, showing that geomungo was related to the music of Kasa and Sijo.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geomungo was played by the accompaniment music of Kasa and the Sijo at the time, just because of recorded in 『Samjukgeumbo』. As there is only a piece of music recorded the lyrics of song, it is possible that the song was borrowed from geomungo score for recording the song melody. Therefore, in this paper, Maehwagok of 『Samjukgeumbo』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Maehwaga and the use of 『Samjukgeumbo』 music was confirm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al structure of Maehwagok is composed of nae-gu and oe-gu, a structure of Sijo poetry, and Yueum, an interlude, and repeating the melody between a phrase and an other phrase. Maehwaga has the form of nae-gu and oe-gu in song lyrics, and the form of yueum remains in a miniature and simplified form. Als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13 repeats of 'Ⓐ-Ⓑ-Ⓒ' type, which is repeatedly modified. Secondly, Maehwagok was confirmed to be a song based on three beats, which was regularly photographed without the indication of jangdan and tempo. On the other hand, in the Maehwaga, it changed into the form of fast tempo, based on 6 beats. Through the appeared notes of the two musics, mode of Maehwagok is Chungrye pyeongjo and mode of Maehwaga is Imjong pyeongjo. This indicates that Maehwaga were changed from Maehwagok to going up 2 major intervals. Third, Maehwagok has a prelude and yueum which is considered to be a interlude, so it is not the music that was taken from geomungo score for recording the song melody. It is confirmed that it is a geomungo melody for lyrics accompaniment. Fourth, it was confirmed of the same melody in 14.3%, similar melody in 57.2%, and dissimilar melody in 28.6% of comparison between Maehwagok and Maehwaga, respectively. The similar melody was divided by the similar melody A close to the same melody and the similar melody B close to the dissimilar melody. The similarity rate was divided into 42.8% for the same melody and similar melody A, 57.2% for the melodic B and dissimilar melody group. This statistic proves that Kasa score in 『Samjukgeumbo』isn't to be recorded following song melody, but the melody for accompaniment of the same as the current Kagok. In conclusion, through comparing the musical structure, jangdan and mode between Maehwagok and Maehwaga, Maehwagok was composed of the traditional form of Sijo poetry such as nae-gu, oe-gu and an interlude form, yueum.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only score of geomungo that recorded Kasa was 『Samjukgeumbo』 and that the melody in the score was the accompaniment melo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