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Program Annotation

Title
Program Annotation
Other Titles
D. Buxtehude Praeludium fis-moll, BuxWV 146 J. S. Bach Praeludium und Fuge D-Dur, BWV 532 A. G. Ritter Orgelsonate Nr. 3 a-moll, Op. 23 F. Peeters Toccata, fugue et hymne sur 'Ave maris stella', Op. 28 J. Alain Suite pour orgue, Ⅱ. Scherzo, JA 70, Ⅲ. Choral, JA 82
Authors
안민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병석
Abstract
This thesis studies the pieces played by Minjung An, majoring the organ in the Department of Music, performed at the graduation recital at Ewha Womans University on the 7th of June 2017. The pieces included Praeludium fis-moll, BuxWV 146 by Dietrich Buxtehude (1637-1707), Praeludium und Fuge D-Dur, BWV 532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gelsonate Nr. 3 a-moll, Op. 23 by August Gottfried Ritter (1811-1885), Toccata, fugue et hymne sur ‘Ave maris stella’, Op. 28 by Flor Peeters (1903-1986), and Ⅱ. Scherzo, JA 70 and Ⅲ. Choral, JA 82 from Suite pour orgue by Jehan Alain (1911-1940). Dieterich Buxtehude was an organist at Marienkirche in Lübeck, and he highly developed and integrated musical styles of northern Germany. BuxWV 146 uses a f# minor key which had not been allowed to play in the organ using meantone temperament, so we estimate it was composed after 1683, the year of temperament change of Marienkirche. This piece has several contrasting sections alternately; free sections and fugal sections are crossed and repeated. It contains several sections in the order of flourish toccata, chordal passage, first fugue, second fugue, link, closing section. This composition coincides musical rhetorical disposition in the order of exordium, narratio, propositio, confirmatio, confutatio, and peroratio. Opening section is composed a free toccata and chordal passage. First fugue with the theme consisted in dotted rhythm and descending scale in perfect 5th and diminish 7th chord. Second theme is successively appeared immediately after first fugue, and the theme of the second fugue is derived from the theme of first fugue. We can see improvisatory virtuosity in the recitativo-like link, and closing section is finished overall piece with rushed harsh passage, pedal point, virtuosic pedal solo, etc. Registration could be played in order to their characteristics: Toccata-like free section and closing section in organo pleno, fugue which presents the theme and the contrapuntal melodies in consort registration, and link which has a role of recitativo in 8’ stops only. J. S. Bach is the maestro of the Baroque musical era who synthesized musical styles in northern Germany, southern Germany, Italy and France. During the Weimar era, he established the ‘prelude and fugue’ form in organ music. Praeludium und Fuge D-Dur has a brilliant and technical pedal solo and frequent harmonic changes. Prelude is comprised of three parts; splendid introduction, main discourse progressed by sequences in 2/2 meter, and the conclusion with brief rhythm and complex harmonies using diminished 7th chord, borrowing chord, etc. Registration could be played in order to their characteristics: introduction in combination of principal and mixture stops, main discourse in flute stops primarily, and conclusion in minor-color registration based on introduction’s registration. Fugue has a 6-measure-long theme; this theme is successively repeated in original key and transposition. Its responsive answer appears as a real answer, and only one counter-subject is constantly accompanied by subject. Although prelude and fugue have completely separate constructions, the conclusions of fugue is similar to the introduction of prelude and the typical figure in fugue has a similar sequence. Depending on modulations and developments of the theme, registration could be gradually combined flourish and thick texture. August Gottfried Ritter, a noted organ player, as well as a teacher, a composer, and a writer of musicological reviews and books on the organ and its music in the 19th century. As a protestant, Ritter focused his attention on church music, especially on organ music. His Orgelsonate Nr. 3 is in single-movement form, which gave organ sonatas a unique style, contrasting to standard classic piano sonatas at the time. After starting with toccata form, recitativo, lyrical theme, and improvisatory counterpoints follows, and dotted-rhythm theme and its 5 variations including choral and fugal texture integrate all stylistic elements in this piece. He emphasizes not only the continuity among parts but also the color using dissonance, diminished 7th chord, and enharmonic transposition. Based on baroque idea, its musical tone and sound change in phase via registration. Various indications helps to get a proper atmospheres and tempi, it makes possible to broad research about diverse expressional style in single piece. Dynamics and nuances could be expressed by registration and keyboard separation. Flor Peeters is Belgian composer, organist and teacher who is rooted in polyphonic tradition in Flanders. He develops his original musical style using French and German contemporary organ music, and music theories in 20thcentury.Toccata,fugueethymnesur‘Ave maris stella’ is composed based upon a Marian hymn ‘Ave maris stella’. For each part, mode and tonality are used in combination. This pieces shows symmetric structure: toccata, fugue and hymn had unity via their same cantus firmus based on the Gregorian chant despite of different texture, meter, and tempo in each section. Its themes develop in imitation through all voices. Toccata is influenced by French romantic toccata; reed tones are added to show the intensity of the florid top voice. In the fugue with gigue rhythm, theme is developed by imitation and repetition in each voice, principal series tones and flute tones are added to create the cheerful and lively atmosphere. Tutti tones are combined in the hymn part, where whole cantus firmus appears; its theme is strongly emphasized through the ornate development of the chord. Jehan Alain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omposers of the 20th century French music. He established his own realm of music with introducing various musical styles from French classic, Gregorian chant to modern music and exotic musical language; he shows highly individual style with unusual tone, rhythm, and linear form. His Suite pour Orgue is the prize-winner in composition of ’Amis d’Orgue’ in 1936. Its 2nd movement, Scherzo, develops in comparison with andante passage and rhythmical allegro peasant passage. Each theme are used in developed and modified form in overall pieces. 3rd movement, Choral, gives an impression of Renaissance church procession using simple melody and rhythm, maestoso atmosphere. Each voice has a different semantic metrical accent, and its heavy texture and dissonance help augmentation of harmonic tension. Based on the highly individual registration, improvisational freedom appears through sound-effective registration and swellbox control in overall piece. This thesis, by exploring the lives of the composers, characteristics of the pieces, playing techniques and tone combinations, suggests tone combination for the Karl Schuke organ, at Kim Young-Ui hall. This thesis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organ music to players and also offer guide to their organ playing. ;본 논문은 2017년 6월 7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전공 안민정의 석사과정 졸업연주회에서 발표된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연주 프로그램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Dieterich Buxtehude, 1637-1707)의 「전주곡 f#단조(Praeludium fis-moll, BuxWV 146)」,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전주곡과 푸가 D장조(Praeludium und Fuge D-Dur, BWV 532)」, 아우구스트 고트프리트 리터(August Gottfried Ritter, 1811-1885)의 「오르간 소나타 3번 (Orgelsonate Nr. 3 a-moll, Op. 23)」, 플로르 피터스(Flor Peeters, 1903-1986)의 「‘아베 마리 스텔라’ 주제에 의한 토카타, 푸가와 찬가(Toccata, fugue et hymne sur ‘Ave maris stella’, Op. 28)」, 장 알랭(Jehan Alain, 1911-1940)의 「오르간을 위한 조곡(Suite pour orgue)」중에서 2악장 스케르초(Scherzo, JA 70)와 3악장 코랄(Choral, JA 82)로 구성하였다. 북스테후데는 독일 뤼벡 마리아 교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선대 작곡가들의 작곡기법을 종합하여 북독일 오르간 음악을 가장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전주곡 f#단조」는 북독일 전주곡의 환상적 양식(stylus phantasticus)이 효과적으로 표현된 곡으로 자유로운 부분과 대위법적인 부분이 교대로 나타나는데, 자유로운 토카타, 화음 패시지, 제1푸가, 제2푸가, 연결구, 종결부 구성은 당대에 활발히 연구되었던 음악수사학적인 배열 방법인 도입-서술-주제제시-확증-반론-종결과 일치한다. 도입부는 자유로운 토카타적 부분과 호모포닉한 화음 패시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점리듬과 완전5도, 감7도로 하행하는 주제선율의 제1푸가와 제1푸가의 주제선율에서 파생된 주제로 진행되는 제2푸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레치타티보풍의 연결부에서는 즉흥연주적 기교를 엿볼 수 있으며, 종결부에서는 빠른 패시지, 지속저음, 기교적인 페달링 등이 종합적으로 사용된다. 토카타적인 도입부와 종결부는 플레눔으로 연주하고, 주제와 대위적 선율이 제시되는 푸가는 전통적인 콘소트 음색 위주의 음색을 사용하며 레치타티보적인 연결구는 8′ 음색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흐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음악을 종합하여 발전시킨 바로크 음악의 거장으로, 그는 오르간 작품을 활발히 작곡했던 바이마르 시기에 ‘전주곡과 푸가’ 형식을 확립하였다. 「전주곡과 푸가 D장조」는 화려함과 기교적인 페달 솔로, 그리고 극적인 화성의 변화가 특징적인 곡이다. 전주곡은 전체 곡의 서주 역할을 하는 화려한 도입부, 동형진행을 통해 2/2박자로 진행되는 발전부, 감7화음과 차용화음 등 복잡한 화성과 16분음표, 32분음표의 짧은 리듬을 자주 사용한 종결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주곡의 도입부는 프린시팔과 믹스처 음색을 포함하고, 발전부는 플루트 계열 위주로 음색을 구성할 수 있으며, 종결부는 도입부의 음색에서 단조의 색채감이 느껴지도록 음색을 조합할 수 있다. 푸가는 6마디의 주제를 가지며 주제가 전체 곡에서 전조되면서 반복되면서 간단하고 규칙적으로 진행되고, 응답은 진정응답으로 나타나며 하나의 대주제가 거의 처음부터 끝까지 주제에 동반되어 나타난다. 주제가 전조되고 발전됨에 따라 점차 화려하고 두꺼운 텍스처로 음색을 조합하여 연주할 수 있다. 리터는 19세기 독일에서 유명한 연주자이자 작곡가로서 음악 리뷰와 평론, 음악학 논설, 다수의 저작으로 명성을 떨쳤던 인물로, 19세기 말의 시대적 흐름과 무관하게 교회음악과 오르간 음악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의 「오르간 소나타 3번」은 정형화된 고전적인 피아노 소나타 양식에서 벗어나 단일악장으로 구성된 소나타 양식을 사용하였다. 리터의 오르간 소나타는 토카타 양식으로 시작되며, 레치타티보적인 부분, 서정적인 성격의 주제들과 즉흥적이며 대위법적인 부분들이 병치되며 주제와 다섯 번의 변주를 통해 코랄적 요소, 푸가적 부분들이 모여 유기적인 전체로서 합쳐지면서 웅장하게 마무리된다. 그는 이 곡에서 부분과 단락 간의 연결성을 강조하면서 불협화음과 감7화음, 이명동음을 통한 전조 등으로 소나타에 색채감을 부여하였다. 바로크적 음향관으로 음색조합의 변화를 통해 음색과 음향에 단계적으로 변화를 주었으며, 다양한 지시어로 분위기와 템포를 지시하였다. 스웰박스 사용을 지양하고 음색조합과 건반 분리를 통해 셈여림과 분위기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다. 피터스는 벨기에의 작곡가이자 연주자, 교육자로서 플랑드르 지방의 다성음악과 프랑스, 독일의 20세기 오르간 음악 및 현대 음악이론을 접목시켜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발전시켜 나갔다. 그의 「‘아베 마리 스텔라’ 주제에 의한 토카타, 푸가와 찬가」는 가톨릭의 성모 마리아 찬미가 선율을 가지고 작곡한 작품으로 각 부분마다 선법과 조성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곡은 피터스가 대칭적 구조를 마스터했음을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곡으로, 토카타, 푸가, 찬가가 각기 다른 텍스처와 박자, 빠르기로 제시되면서도 공통적으로 사용한 그레고리오 성가 선율로 인해 통일성을 느낄 수 있다. 토카타에서는 프랑스 낭만 토카타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프린시팔과 리드 음색이 주로 사용된다. 지그풍의 푸가에서는 주제가 각 성부에서 연속적으로 제시되면서 변박과 전조를 통해 점차 모든 성부에서 모방 발전된다. 마지막 찬가는 찬미가의 선율이 모두 사용되며 주제를 화성적으로 진행하면서 화성적 찬가로 마무리된다. 푸가에서는 쾌활하고 밝은 분위기의 플루트 계열의 음색을, 주제가 화성진행을 통해 강조되는 찬가는 풀 스탑으로 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알랭은 20세기 프랑스 음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작곡가로 프랑스 고전 음악과 그레고리오 성가, 낭만주의 및 신고전주의, 이국적 음악요소 등을 받아들여 자기화하였으며, 독특한 음색과 리듬, 선적인 구조를 통해 개성적인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그의 ⌜오르간을 위한 조곡⌟은 1936년에 ‘오르간의 친구’ 협회 콩쿠르의 작곡부문 1등 수상작으로, 총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2악장 ‘스케르초(Scherzo)’는 느린 안단테(andante) 부분과 리드미컬한 알레그로 페잔테(allegro pesante) 부분이 대조되며 두 부분의 주제가 곡 전체에서 변형 발전되어 나타난다. 슬픔과 기쁨이 뒤섞여 나타나는 곡의 특징이 잘 드러나도록 레가토와 스타카토를 대비시켜 연주할 수 있다. 3악장 ‘코랄(Choral)’은 리듬과 선율을 단순하게 처리한 대신 두꺼운 텍스처와 불협화 진행을 통해 화성의 긴장도를 높이고 각 성부별로 의미적인 강박의 위치를 다르게 두어 곡을 구성하였다. 작곡가가 제시한 개성적인 음색에 기초하여 스웰박스와 음색배치로 음향효과를 높이고, 즉흥연주와 같은 자유로움을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곡가들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 작품분석, 연주법과 음색조합에 대해 살펴보면서, 연주자가 연주했던 이화여자대학교 음악관 김영의홀 슈케(Karl Schuke) 오르간을 기준으로 한 음색조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연주자들이 오르간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로 작품을 연주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