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3 Download: 0

학령기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

Title
학령기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ory of mind and Executive Function during Middle Childhood
Authors
이가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마음이론과 실행기능에서의 발달적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기에 확인된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간 관계가 학령기에도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7-8세 아동 35명, 만 9-10세 아동 30명으로, 아동의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과제 수행과 어머니가 자녀의 마음이론과 실행기능에 대해 평가한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먼저, 과제 수행에서 마음이론의 경우 이차순위 틀린 믿음(Perner & Wimmer, 1985), 헛디딤말(Baron-Cohen, O’Riordan, Stone, Jones, & Plaisted, 1999), 이상한 이야기(Happe, 1994), 사회적 이해(Bosacki & Astington, 1999; O’Connor & Hirsch, 1999)의 네 가지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행기능의 경우에도 행복/슬픔(Lagattuta, Sayfan, & Monsour, 2011), 차원 변경 카드 분류(Zelazo, Frye, & Rapus, 1996), 숫자 외우기(Wechsler, 1949), 하노이의 탑(Borys, Spitz, & Dorans, 1982)의 네 가지 과제가 사용되었다. 또한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모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언어능력을 통제하기 위해 수용 어휘력 검사(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를 실시하였다. 어머니가 보고하는 아동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음이론의 경우 사회적 이해 척도(Children’s Social Understanding Scale [CSUS])를 사용하였고(Tahiroglu et al., 2014), 실행기능의 경우 만 7-8세에게는 Gioia, Espy와 Isquith(2003)가 개발한 유아용 행동 평정 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 Preschool version [BREIF-P])를, 만 9-10세에게는 박주리와 송현주(2012)가 개발한 아동용 실행 기능 결함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SPSS 23을 이용하여, 아동의 마음이론과 실행기능의 수행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의 과제 수행과 질문지 간 상관을 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각 변인의 하위 요인이 적합한지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편상관분석을 통해 언어 능력을 통제한 후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아동은 연령이 높을수록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과제를 더 잘 수행하였다. 마음이론의 경우 만 9-10세 아동의 경우 약 65%, 만 7-8세는 약 46%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행기능의 경우 만 9-10세의 아동은 77%를 만 7-8세는 약 69%의 성공률을 보였다. 과제 종류에 있어서는 모든 연령 집단에서 헛디딤말 수행이 가장 높았고 이차순위 틀린 믿음의 수행이 가장 낮았다. 실행기능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만 7-8세 아동은 행복/슬픔, 차원 변경 카드 분류, 하노이의 탑, 숫자 외우기 순으로, 만 9-10세 아동은 차원 변경 카드 분류, 행복/슬픔, 하노이의 탑, 숫자 외우기 순으로 수행을 잘 하였다. 둘째,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각각에서 과제를 사용한 측정과 어머니 보고를 통한 측정 간 관련성은 낮았다. 마음이론의 경우 과제와 질문지 하위 영역 간 상관이 나타나긴 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두 측정 방법 간 관련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능력을 통제한 후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만 7-8세의 경우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간 상관이 과제 수행과 어머니 보고 모두에서 유의하였다. 반면 만 9-10세의 경우 어머니 보고를 통한 마음이론과 실행기능의 경우 상관이 나타났지만, 아동이 직접 수행한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간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기에도 마음이론이 지속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제안하며, 아동이 직접 수행한 마음이론과 실행기능뿐 아니라 어머니 보고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아동이 보이는 마음이론과 실행기능을 측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틀린 믿음에만 초점을 둔 기존의 마음이론 연구를 확장하여 다양한 마음상태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The two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relations with performance-based measures and mother reports measures of theory of mind (ToM) and executive function (EF)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oM and EF during middle childhood. Thirty five 7- and 8-years olds and thirty 8- and 9-years old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were tested on a battery of ToM (i.e., second-order false belief, faux pas, strange stories, social understanding) and EF (i.e., happy-sad,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igit span, Tower of Hanoi) tasks as well as verbal ability task. Furthermor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comprising of Children’s Social Scale (CSUS), Behavioral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s – Preschool version (BRIEF-P).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peated-measure analysis of varianc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and partial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task type was not significant for theory of mind. However, main effects of age and task type were significant. More specifically, 9-10-year-olds outperformed 7-8-year-olds on ToM and EF tests. Second, correlations between performance-based measures and maternal ratings of ToM and EF, indicating that each method evaluates different aspects of ToM and EF. Finally, after controlling effects of verbal ability, 7-8-year-olds’ performance-based ToM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formance-based EF scores. On the other hand, 9-10-year-olds’ ToM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F. However, in rating measure, association between ToM and EF were significant for both 7-8 and 8-9 group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oM and EF continue to develop during the middle childhood and that association between ToM and EF decreases with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