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aternal Autonomy Support on Children’s Flow in Academic Domain :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Authors
서혜윤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성동기 및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기본심리욕구와 자기결정성동기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안양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335명(남아 165명, 여아 17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한 자기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Mageau 등(2015)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P-PASS]) 중 자율성 지지에 대한 12문항을 연구자가 직접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기본심리욕구는 Ryan과 Deci(2002)가 개발한 기본심리욕구 척도(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BPNS])를 이명희와 김아영(2008)이 번안하고,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타당화한 한국형 기본심리욕구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결정성동기는 Kim(2002)이 Ryan과 Connell(1989)의 자기조절설문지-학업(Self-Regulation Questionnaire-Academic [SRQ-A])척도를 기초로 하여 일반적 학업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한국판 학업적 자기조절 설문지’로 개발한 척도를 김아영(2002)이 타당성을 검증하고, 개정한 것(김아영, 2008b)을 통해 측정하였고, 학습몰입은 Csikzentmihalyi(1990)가 제안한 몰입의 9가지 구성요인을 토대로, 석임복(2007)이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하고 타당화한 학습몰입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에서 성별과 학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기결정성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Preacher와 Hayes(2008)가 개발한 SPSS 매크로 프로그램인 PROCESS의 2.16.3 버전을 사용하여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이 학습에 깊게 몰입하였다. 둘째, 어머니가 자율성을 지지할수록 아동의 기본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에 대한 만족이 높았다. 셋째, 아동이 기본심리욕구에 대해 만족할수록 보다 자율적인 자기결정성동기를 형성하였다. 넷째, 아동이 자율적인 자기결정성동기를 가질수록 학습에 깊게 몰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아동의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기본심리욕구와 자기결정성동기의 단순매개 및 순차적 매개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자율성을 지지한다고 지각할수록 기본심리욕구에 대한 아동의 만족이 높았고, 이는 보다 자율성이 높은 자기결정성동기를 형성하게 하여 학습에 더 깊게 몰입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심리적 요인인 기본심리욕구, 동기적 요인인 자기결정성동기가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인 학습몰입에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학습몰입을 위해서는 환경과 심리, 동기적 요인이 모두 요구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학습몰입을 증진하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자발적이고 즐거운 학습을 통해 아동의 학업 성취와 행복이 증진되고, 나아가 경쟁 위주의 교육 환경 개선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maternal autonomy support,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flow in academic domain and to examine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between maternal autonomy support and children’s flow in academic domain. A total of 335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concerning maternal autonomy support,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flow in academic domain.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ANOVAs, correlations and by means of a Hayes’s PROCESS program to identify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and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autonomy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flow in academic domain. Second, maternal autonomy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Third,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determined motivation. Fourth, children’s self-determined mot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flow in academic domain. Lastly, maternal autonomy support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flow in academic domai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That is, maternal autonomy support affects children’s flow in academic domai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autonomy support,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are all important for children to experience flow in academic domain, and parents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children’s flow in academic domain.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source i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and contribute to enhance children’s well-being by creating conditions enabling them to experience flow in study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