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Using Switch on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uthors
서현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최근 특수교육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전반적 기능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의 보편성을 강조하면서, 일반학생과 동일한 교육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으로서 교과교육의 본질을 점차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와 함께 장애 학생의 수업참여에 대한 고려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장애학생들은 기질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에 참여하기 어려우며, 특히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경우, 제한된 의사소통 능력과 운동 기능상의 문제로 인해 수업에 스스로 참여하기 어려워 학교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수동적인 역할을 하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에서 소외되어 충분한 학습 경험을 갖지 못하는 등 학교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업 활동에 참여하는 데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지체·중복장애학생은 학습능력이 지체되거나, 반복되는 수업 참여 실패로 인해 낮은 자존감과 학습된 무기력이 초래된 경우가 많으며, 이것은 수업참여를 더욱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체·중복장애학생의 수업참여를 지원하는 방법으로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는 지체·중복장애학생이 갖는 의사소통 문제와 운동 기능상의 문제를 모두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지체·중복장애학생 개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적합한 스위치를 선정하고, 이를 스위치 스캐닝이 가능한 AAC 프로그램인 마이토키 윈도우를 사용하는 데 활용하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국립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3명의 지체·중복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사전 평가 및 예비관찰,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연구 참여 학생이 소속된 해당 학급의 수업시간에 실시되었으며, 기초선 자료를 수집한 후 주 3~5회 중재를 실시하였고 학생3의 중재가 종료된 시점에서 약 3주 후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유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세 명의 지체·중복장애 고등학생 모두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에 참여한 이후, 반응하기 행동 발생 빈도, 주의집중하기 행동 발생 빈도, 수업참여행동 총 발생 빈도 모두 기초선 기간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세 명의 지체·중복장애 고등학생 모두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에 참여한 이후, 몸짓이나 발화를 통한 수업참여행동 발생 빈도는 기초선과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나, 스위치를 활용한 수업참여 행동의 발생빈도는 기초선 기간에 비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세 명의 지체·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증가된 수업참여행동 발생 빈도는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빈도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수업참여행동 빈도를 유지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실시된 대부분의 AAC 연구가 학령 전,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분리된 공간에서 이루어졌던 것과는 달리, 고등학교 학령기의 지체·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자연스러운 수업 장면에서 AAC를 활용하여 수업참여행동에 대한 AAC의 효과를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AAC 중재에 스위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지체·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수업참여행동 증진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on the class partic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using switc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with verbal communication and movement.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AC intervention using switch on the frequency of high school students’participation in clas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Each step was taken the classrooms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Prior to the collection of baseline data, the students’information for intervention was collected by parents, teachers, researcher, and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frequency of students’participation in the class and no prompts were made during this period.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teaching vocabulary-symbol matching, and training in how to control the switch.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3-5 times per week during class time. In order to examine the maintenance effect, three follow-up sessions were conducted after three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frequency of all students’class participation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baseline levels. Secondly, the frequency of all students’class participation using switch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baseline levels. Lastly, the increased in the frequency of students’class participation was maintained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AC intervention using switch is effective in increasing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his research i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and determine AAC intervention effects using switch on class partic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applicability of AAC intervention by use of assistive technology to increase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 methods by which AAC intervention can be implem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