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5 Download: 0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의 탄력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의 탄력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in a Family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hors
박나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이 탄력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자폐스펙트럼장애 2급을 진단받은 아동과 부모, 초등학교 4학년과 2학년 여자 아동 2명으로 구성된 가족이다. 사례는 2017년 7월 19일부터 2017년 10월 21일까지 주 1-2회, 회기당 60-90분 동안 진행하여 총 20회기의 탄력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가족미술치료와 개인별로 진행한 3회의 심층면접 및 개인 미술작업의 전 회기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미술작업 및 작품 사진과 연구자의 임상일지, 그림일기를 참고하였다. 자료 분석은 자료 수집과 상호보완적으로 질적사례연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가족미술치료의 경험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경험분석은 가족들이 경험한 것은 무엇인지 가족미술치료 회기를 가족역동 중심으로 파악하려고 노력하였다. 의미분석 과정은 전사한 내용을 반복하여 정독하였고, 메모 작업, 주제 선택과 개념화를 위한 코딩 과정의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주제를 발견하고 범주화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상위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탄력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의 경험의 범주는 <의구심과 낮은 기대감으로 시작한 가족미술치료>, <수면 위로 떠오른 드러내고 싶지 않은 고민들을 마주함>, <한 지붕 아래 서로 다른 생각을 하는 우리>, <미술작업을 통해 드러난 가족의 정서적 단절을 깨달음>, <미술이 우리 가족의 화합을 이끄는 새로운 소통의 수단으로 자리함>, <그림으로 교감하며 미술과정에서 힘을 얻음>, <힘든 일도 함께라면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희망을 가짐>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탄력성을 위한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의 가족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인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은 가족미술치료 과정에서 가족의 강점을 파악하며 장애아동 가족으로서의 역경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가졌다. 연구 참여 이전에, 부모는 자녀에 대한 낮은 기대와 미술치료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자녀들은 장애형제의 존재에 회피하고 무시하는 등 장애아동을 부정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미술작업 과정에서 서로의 장점을 발견하고 칭찬하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가족은 장애아동으로 인한 어려움에 집중하지 않고, 가족의 고유한 강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가족의 가능성과 희망을 공유하며 가족의 미래상을 함께 그려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작업과 작품을 통해 개방적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명료화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가족미술치료 초기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적대감, 불만, 오해가 가족 역동에서 자주 목격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연구 참여자들은 창조적 과정을 통해 감정을 표출하며 정화와 몰입을 경험하였고 개인적인 자기표현이 증가하였다. 공동작업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서로 친밀해지고 존중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지지를 통하여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부모 참여자들의 바쁜 일상, 양육으로 인한 정서적·신체적 어려움으로 인해 자녀들은 소외감, 부담감 등을 겪었으며 이로 인하여 불안정한 가족 구조가 형성되었음을 파악하였다. 자녀들 또한 가족 내에서 장애아동과 부모를 향한 적대감을 보이며 모에게는 과도한 애착문제를 보였다. 회기가 거듭될수록 연구 참여자들은 균형 잡힌 가족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가족 내 규칙을 형성하였다. 미술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이 서로 조력하고 협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은 탄력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과정을 통하여 강점을 파악하고 역경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며, 안정된 가족구조와 개방적 자기표현, 의사소통을 명료화하는 기회를 경험하였다. 또한 자신과 가족의 역기능적 문제를 파악하여 문제해결의 필요성을 발견하여 역경에 적응하고자 하는 힘을 발견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experiences a family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d through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and what they meant.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exploration. A family consisting of a child diagnosed with the second grad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parents, and two girls―fourth- and second-graders, respectively―participated in this study.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was given in a total of 20 sessions―1-2 sessions weekly, 60-90 minutes per session―from July 19 to October 21, 2017. Data were collected from family art therapy, three in-depth personal interviews, records of all the personal art-making sessions and their abbreviated transcripts, photos of art-making and works, the researcher’s clinical journal, and picture diaries. The collected data complemented by the qualitative case study were analyzed for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family art therapy. Efforts were made to determine what the family experienced in those sessions of family art therapy on the basis of family dynamics. To analyze the meanings, the transcripts were repetitively read intensively, and the themes were found and categorized through in-depth analysis of coding to choose and conceptualize them as well as to take notes. When the data were analyzed, a total of 7 themes and 18 sub-themes were extracted. The categories of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included ‘family art therapy initiated with doubts and low expectation,’ ‘faced with surfaced distress I am unwilling to reveal,’ ‘we have different thoughts under the same roof,’ ‘emotional disconnection found to be remarkable through art-making,’ ‘art as a new means of communication has united my family,’ ‘we have got strength during the course of art through sympathy based on drawing,’ and ‘we have realized that we can overcome any hardship and have a hop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the experiences of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in the family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drawn: First, the family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dentified the strengths of the family and got positive views of hardships for the family of a disabled child. Before the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parents had low expectation of the child and doubts about art therapy. The other children avoided and neglected the presence of a disabled sibling and regarded him as a negative being. The participants discovered the strengths of the others and gave positive feedbacks during the course of art-making. The family identified the strengths specific to the family, instead of focusing on the hardships caused by the disabled child. In addition, they shared the possibility and hopes in the family and drew the future image of the family all together.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enabled to understand the need to make open self-expression and clarify communication through art-making and works. They were often found to have antagonism, dissatisfaction, and misunderstanding in family dynamics at the initial stage of family art therapy. They gradually expressed their emotions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experienced purification and commitment, and were more likely to make personal self-expression. They became intimate and respected one another during joint work. Third, the participants established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s through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support during the course of art. The children experienced a sense of alienation and burden due to the parents’ emotional and physical problems caused by busy routines and childcare, which led to the unstable family structure. They were also hostile to the disabled child and parents and were excessively attached to the mother. The participants understood the need for a balanced family system and made rules within family over sessions. They cooperated with one another through the process of art. To put these conclusions together, the family of the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given chances to identify the strengths through the process of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get positive views of hardships, stabilize the family structure, make open self-expression, and clarify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They also identified the problem of dysfunction in the family and each of them, found the need to solve the problem, and discovered the will to cope with hard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