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9 Download: 0

일 대학 병원에서 최초로 부인과 암을 진단받은 환자의 초기 디스트레스 평가

Title
일 대학 병원에서 최초로 부인과 암을 진단받은 환자의 초기 디스트레스 평가
Other Titles
Early evaluation of insomnia, anxiety, and depressed mood in patients first diagnosed as having gynecologic cancer
Authors
김성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원정
Abstract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부인과 암 환자의 초기 디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해, 일 대학병원 여성암 센터에서 부인과 암을 최초로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외래 첫 방문 시에 디스트레스를 측정하여, 항암 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가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고, 암을 진단만으로 받을 수 있는 초기 디스트레스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디스트레스는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인 불면, 불안, 우울감에 대해 각각 평가하였고,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 및 임상 변수를 평가하였다. 또, 디스트레스의 각 증상에 대해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원하는 정도와 증상도 평가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1년 9월 7일부터 2015년 7월 14일까지 일 대학병원 여성암 센터에서 부인과 암을 최초로 진단받은 17세에서 90세 까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239명의 환자 중 중복 암이 있는 16명을 제외한 223명의 환자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중 자궁경부암은 105명, 자궁내막암은 59명, 난소암은 59명이었다. 대상자의 디스트레스는 수술 후 외래 첫 방문 시에 자가 보고식의 국립암센터 심리증상 평가지 (National Cancer Center Psychological Symptom inventory, 이하 NCC-PS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CC-PSI는 불면, 불안, 우울감의 세 가지 항목에 대해 각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수정된 디스트레스 온도계 (Modified Distress Thermometer, 이하 MDT)와 각 증상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수정된 영향력 온도계 (Modified Impact Thermometer, 이하 MIT) 및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원하는 증상이 있는지를 스스로 표시하는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항목별 MDT와 MIT의 총 6개의 하위 항목 중 1개 이상의 항목에서 4점 이상일 경우에 유의한 디스트레스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부인과 암 환자의 15.7%가 디스트레스를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스트레스의 하위 항목을 살펴보면 NCC-PSI MDT가 4점 이상으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디스트레스는 불면 항목(10.8%)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우울감(9.0%), 불안(7.2%)의 순서로 나타났다. 디스트레스의 하위 항목 중 NCC-PSI MIT가 4점 이상으로 일상생활에 유의한 정도의 지장을 주는 디스트레스는 불안 항목(9.0%)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우울감(8.1%), 불면(7.2%) 순서로 나타났다.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 및 임상 변수로는 학력에 따라서는 중졸 이하 환자군의 9.9%, 고졸 환자군의 18.8%, 대졸 이상 환자군의 19.3%가 디스트레스를 호소하였는데, 특히, 대졸 이상 환자군에서 불안 항목의 NCC-PSI MIT 점수가 높아 대졸 이상 환자군이 불안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더 많은 지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직업 유무에 따라서는 직업이 없는 환자군의 13.6%, 직업이 있는 환자군의 20.3%가 디스트레스를 호소하였는데, 직업이 있는 환자군에서 불안 항목의 NCC-PSI MDT 점수, NCC-PSI MIT 점수, 우울감 항목의 NCC-PSI MDT 점수가 직업이 없는 환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직업이 있는 환자군이 불안 증상의 심각도, 불안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영향을 받는 정도, 그리고 우울감의 심각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불면 항목에서는 NCC-PSI MDT가 4점 이상으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증상이 있는 경우는 직업이 없는 환자군에서 7.8%, 직업이 있는 환자군에서 17.4%로 나타나 직업이 있는 환자군이 불면 증상을 더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혼 유무에 따라서는 미혼 환자군의 22.7%, 기혼 환자군의 14.9%가 디스트레스를 호소하였고, 미혼 환자군에서 불안과 우울감 항목의 NCC-PSI MDT, NCC-PSI MIT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미혼 환자군이 기혼 환자군에 비해 불안과 우울감의 심각도가 높고, 불안과 우울감으로 일상생활에 더 많은 지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의 진단에 따라서는 자궁경부암 환자군의 10.5%, 자궁내막암 환자군의 13.6%, 난소암 환자군의 27.1%에서 디스트레스를 호소하여 난소암 환자군의 디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난소암 환자군에서는 불면 항목의 NCC-PSI MDT, NCC-PSI MIT 점수도 가장 높아 난소암 환자군이 불면 증상을 심하게 느끼며, 불면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더 많은 지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불면 항목에서는 NCC-PSI의 MDT가 4점 이상으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증상이 있는 경우는 자궁경부암 환자군에서 6.7%, 자궁내막암 환자군에서 6.8%, 난소암 환자군에서 22.0%로 난소암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부인과 암 중 유의한 디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보이는 난소암 환자에 대해 추가적으로 암의 병기에 따른 디스트레스 차이를 비교해 보았는데, NCC-PSI의 불면, 불안, 우울감 증상의 MDT, MIT 점수와 유의한 정도의 불면, 불안, 우울감을 호소하는 환자의 비율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의학적 과거력 유무에 따라서는 의학적 과거력이 없는 환자군의 16.9%, 의학적 과거력이 있는 환자군의 14.3%에서 각각 디스트레스를 호소하였고, 의학적 과거력이 없는 환자군이 불안 항목의 NCC-PSI MIT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불안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더 많은 지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며, 우울감 항목의 NCC-PSI MDT, NCC-PSI MIT 점수도 높게 나타나 의학적 과거력이 없는 환자군이 우울감을 더 심하게 느끼고 우울감으로 일상생활에 더 많은 지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암의 가족력 유무에 대해서는 암의 가족력이 없는 환자군의 15.5%, 암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의 16.7%에서 디스트레스를 호소하였는데, 불면과 불안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우울감 항목의 NCC-PSI MIT 점수는 암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아 암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이 우울감으로 일상생활에 보다 많은 지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원하는 항목에서는 각각의 디스트레스 항목에 대해서 디스트레스가 있는 환자군에서 디스트레스가 없는 환자군에 비해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원하는 경우가 높았는데, 불안(20%)과 우울감(20%)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불면은 14.3%에서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디스트레스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이었던 부인과 암의 진단에 따라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원하는 정도를 비교해 보았는데, 진단에 따라서는 군간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암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신과적 문제에 대한 평가와 치료적 개입은 환자의 고통을 줄일 뿐 아니라 암 치료의 순응도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과 생존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데, 만일, 암 치료 초기부터 정신과적 문제에 대한 평가와 치료적 개입이 병행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선행 연구들은 주로 항암 화학 치료 등 후속 치료가 진행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았고, 암 환자가 진단과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 받을 수 있는 디스트레스를 평가하고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인과 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단과 치료 초기 단계에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디스트레스를 이해하고, 조기에 다학제적이고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향후 부인과 암 환자의 정신과적 문제를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전체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미리 예측하고 각 시기별로 예방책을 마련하여, 암 치료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고통을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n early evaluation of distress and comparisons of severity of insomnia, anxiety and depressed mood, degree of interference with daily life, and need for specialized care for each symptom in patients first diagnosed as having gynecologic cancer. Methods The National Cancer Center Psychological Symptom Inventory (NCC-PSI) is a self-administered distress screening tool for patients to rate the severity level of each of their symptoms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namely insomnia, anxiety, and depressed mood, from 0 to 10 as follows: 0, no distress and 10, extreme distress. It is composed of the modified distress thermometer (MDT), the modified impact thermometer (MIT), and a questionnaire that indicates whether the patient sought specialized care for each symptom. If at least one of the six items had a score of ≥4, it was defined as severe stress. Results In this study, 15.7% of the patients first diagnosed as having gynecologic cancer were reported to have significant distress. The clinically significant distress was worst in those with insomnia (10.8%), and distress that interfered with daily life was worst in those with anxiety (9.0%).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distress, the severity and degree of distress were higher in the highly educated, employed, and married patient group. According to the clinical variables affecting distress, distress was more severe in the patient group without medical history and with a family history of canc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verity and degree of distress were found among the cancer types. The patients in the ovarian cancer patient group were more likely to be distressed than the other two groups (cervical vs endometrial vs ovarian cancer patient groups: 10.5% vs 13.6% vs 27.1%). In the item “insomnia,” NCC-PSI MDT and NCC-PSI MI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arian cancer patient group than in the other patient groups. In addition, in the ovarian cancer patient group with the most severe distress among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we compared the difference in distress according to cancer stage at the time of diagnosis but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ovariates as variables associated with univariate logistic analysis to identify independent risk factors of distress. When adjusted for education, job, marital status, and cancer type, cancer type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distress. The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had a higher risk of distress than those with cervical cancer (odds ratio [OR], 3.180; 95% confidence interval [CI], 1.361–7.426; p = 0.008). In this study, of the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15.7% were reported to have significant distress and 13% sought for specialized care for insomnia, anxiety, and depressed mood. Among the three items, seeking for specialized care for anxiety was the most common (5.4%).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depending on the cancer type. Conclusion Assessment of various psychiatric problem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cancer is highly important not only in reducing the discomfort of patients but also in enhancing the compliance to cancer treatment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survival rate. Early evaluation of psychiatric problem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would be more effective at the beginning of cancer treatment. However,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patients undergoing cancer chemotherapy, and only few studies have evaluated and analyzed initial distress in patient with cancer.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s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ess that may occur at the early stages of gynecologic cancer and investigates multidisciplinary and integrated approach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not only as a source of basic data for the early evalu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of various psychiatric problems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but also in anticipating various psychiatric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whole treatment process and preparing preventive measures to reduce unnecessary pain and final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