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2 Download: 0

소피 칼(Sophie Calle)의 작업에 나타난 ‘부재’의 개념

Title
소피 칼(Sophie Calle)의 작업에 나타난 ‘부재’의 개념
Other Titles
The Concept of Absence Found in the Work of Sophie Calle
Authors
박윤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소피 칼(Sophie Calle, 1953~)의 작업에서 ‘부재(不在)’의 개념이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통해 드러나는 양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칼은 작업 초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부재’와 관련된 주제를 지속적으로 작업에 담아왔다. ‘부재’의 개념이 그 반대 개념인 ‘존재’를 존립의 근거로 삼듯이, 칼이 부재하는 대상을 조명하는 방식은 그것에 대한 기억이나 그것이 남긴 흔적을 작품에 담아내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칼은 사진과 텍스트를 병치하는 작업 방식을 중점적으로 사용한다. 사진과 텍스트는 개념미술가들이 미술의 ‘개념’을 탐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하기 시작한 매체이다. 칼 또한 특정한 개념을 사진과 텍스트를 통해 제시한다는 면에서 그들과 공통점을 지닌다. 필자는 무엇보다도 칼의 작업에 ‘부재’의 개념이 관통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본 논문에서 그녀의 작업을 주제별로 나누고 ‘부재’가 구현되는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칼은 상실된 대상을 사진과 텍스트로 복원하려고 한다. 칼은 부재하는 대상이 있었던 장소를 사진으로 찍고 그것에 대한 사람들의 진술을 텍스트에 담아낸다. 하지만 사진이라는 매체는 과거에 존재했던 한 장면을 포착한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칼의 사진은 그것에 담긴 대상이 부재한다는 사실을 확인시키는 것이 된다. 또한 칼의 텍스트는 불완전한 기억에 근거하는 것이므로 그 대상에 대한 정확한 묘사를 담은 것이 아니다. 즉 부재하는 대상을 드러내려고 한 칼의 사진과 텍스트는 역설적으로 그것의 부재를 환기시키게 되는 셈이다. 칼은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이 곁에 부재하는 자전적 경험을 작업에 담고 그것에 동반된 상실감을 극복해 가는 과정을 드러낸다. 칼은 누군가의 부재를 상징하는 물건을 사진으로 찍고 그것과 관련된 이야기를 텍스트로 제시한다. 또한 칼은 자신에게 고통스러웠던 경험을 반복적으로 떠올림으로써 그 아픔에서 헤어나는 과정을 시각화하거나 그러한 경험을 작업의 소재로 직면함으로써 자신의 상실감과 슬픔을 승화한다. 칼은 낯선 타인을 뒤따라가면서 그 과정을 사진으로 찍고 텍스트로 기록한다. 자신의 의지는 배제한 채 타인이 가는대로 쫓아가는 이 과정에서 칼의 작가 주체는 타인의 흔적을 담은 사진과 텍스트를 통해서만 의미를 갖는 주체가 된다. 즉 그 주체는 ‘창조하는 주체’라기 보다, ‘타인에 의해 그 행위가 결정되는 주체’이며, 나아가 타인의 흔적 속으로 숨겨지는, 곧 부재하는 주체가 된다. 또한 칼이 추적한 익명의 타인은 칼에 의해 포착된 파편적인 흔적으로만 드러나게 되므로 그의 주체 역시 본모습이 밝혀지지 않는, 즉 부재하는 주체가 된다. 칼은 현실과 허구를 동시에 함축하는 작업을 보여준다. 칼은 현실의 한 장면을 찍은 사진과 함께, 자신이 재구성한 내러티브를 담은 텍스트를 병치함으로써 현실과 허구를 혼용한다. 나아가 칼은 소설의 인물을 연기하는데, 이는 자신의 작가적 개성과 허구적 인물의 아이덴티티를 왕래하면서 재현한 것이다. 이처럼 현실과 허구가 교차하는 칼의 작업은 존재 속에 내장된 부재의 요소를 부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칼의 작업에서는 ‘부재’의 개념이 다양한 주제와 방식으로 구현된다. 칼은 미술의 ‘개념’을 강조한 초기 개념미술가들의 계보를 잇고 있으면서 매우 자전적이고 사적인 이야기들을 주제로 삼아 자신만의 작업 세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동시대 작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삶의 다양한 내러티브를 사진과 텍스트 그리고 기타 매체들로 담아낸 칼의 작업 전반을 ‘부재’라는 개념을 축으로 분석해보고자 했다. 지금까지 다소 단편적으로 연구되었던 칼의 작업 세계를 보다 총체적으로 조명해보았다는 데 본 논문의 의의를 두며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칼의 작업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논의가 지속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focus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absence is realized in the work of Sophie Calle (1953~). Calle has continuously explored this concept through diverse themes and methods in her work. An absence of something connotes that its existence preceded. Likewise, Calle attempts to reveal a subject’s absence by collecting people’s memories and trailing its traces. Juxtaposing photography and text is the main form used in Calle’s art. These two media are what conceptual artists used to emphasize the conceptual elements of art. Calle shares their attitude in that she also uses them to explore a certain idea in her work. This dissertation examines Calle’s work in four categories classified by their differing themes in order to reveal how the notion of absence is visualized in Calle’s art. First, Calle tries to restore the absent subject by photographing where it used to be placed and also by enumerating people’s memories in her text. However, because photography captures a moment of reality, Calle’s photo eventually confirms the subject’s absence. In addition, due to the imperfectness of people’s memori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different people are unalike and thus Calle’s text is unable to portray the subject to its original appearance. Paradoxically, Calle’s photography and text accentuate the subject’s absence. Calle uses her personal experiences and emotions of loss as topics in her art work. Her photograph includes an image that symbolizes someone’s absence while her text tells the story related to it. Also, Calle visualizes the process of overcoming her sufferings by repeatedly recalling the event that caused her the pain. Furthermore, taking those painful experiences as topics into her work helps her to objectify it and distance herself from them. Calle follows a random stranger and records her process in photography and text. Here, Calle’s own will is excluded and she is revealed only through the other’s traces. Her true identity is disguised and hidden in those traces. Meanwhile, the other is only exposed through the fragmented traces captured by Calle and his original self is undisclosed. Thus, the traces of the other captured in Calle’s work manifest the reciprocal absence of the follower and the followed. Lastly, Calle connotes both reality and fiction in her work. Calle mingles reality and fiction by capturing a moment of reality with her photograph while telling a restructured story through her text. Calle acts out a fictional character of a novel and applies herself with two identities―the artist’s and the fictional character’s. Interweaving the identity of an existential person and that of a fictitious figure, Calle highlights the elements of absence inherent in the notion of existence. Overall, Calle’s work demonstrates the concept of absence in various ways. On this account, Calle is considered as a post-conceptual artist that incorporate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in her art.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o understand how Calle manifests the concept of absence in her work and stimulate further studies of Calle’s art yet to co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