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4 Download: 0

한국 개신교의 정치이데올로기 형성과정 및 정교관계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 개신교의 정치이데올로기 형성과정 및 정교관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Political ideology and religious relation of Korean Protestantism : Focused on Lee Seung Man (1945-1961)
Authors
임혜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현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이승만 정권기에 형성된 한국 개신교의 정치와 종교 관계를 고찰하고, 한국 보수 개신교계의 정치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 한국 보수 개신교계의 이데올로기적 지형과 신학을 이해하고자 한다. 일제강점기에서 해방된 이후 한반도는 국내·외적으로 극심한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겪었다. 한편에서는 좌우합작이라는 통합운동이 벌어지고 있었으나, 결국 자유주의 진영의 남한과 공산주의 진영의 북한으로 한반도에는 두 개의 단독정부가 세워지고 말았다. 이 과정에서 남한의 대통령이 된 이승만은 개신교계 인사들을 자신의 정치기반으로 삼아 개신교계 인사들을 정부 요직에 등용했다. 뿐만 아니라 개신교계에 제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각종 혜택을 제공하였다. 한국 개신교계는 해방 이전부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미국을 옹호하며 친미·반공주의를 부르짖었다. 특히 개신교도의 세력이 상당했던 북한 개신교 집단은 소련군정과 공산당에 격렬히 저항하면서 이들과 철저한 대립각을 세웠다. 그러나 북한 개신교인들은 소련군정과 김일성에 정치적으로 패배했고, 월남행을 택했다. 월남한 이들은 남한에서 미군정의 보호와 특혜를 받아 가장 강한 정치적 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그 세력이 약했던 남한 개신교계 지식인층들도 미군정을 거치면서 정치적으로 안정된 기반을 쌓을 수 있었다. 한편 남과 북의 대립은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으로 인해 더욱 격화되었으며, 이데올로기적 가치는 민간인들에게도 전파되었다. 민간인들도 이제 북한을 한민족이 아닌‘빨갱이’로 증오하게 된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전쟁에 참여해 한국과 같이 싸워준 자유주의 진영 국가들은 우방이자 ‘혈맹’이 되었다. 이 전쟁에서 한국 개신교계는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사상전을 돕기 위해 군종제도를 설치하는 한편, 미국 개신교계의 구호물자를 독점하여 ‘사회구호단체’로서 활동했다. 개신교계는 전쟁의 단순한 참여자가 아닌 전쟁 수행의 주체의 하나로 기능했던 것이다. 이들은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한국전쟁을 ‘성전’으로 이해하고 공산주의를 ‘악마’로 규정해 자신들을 ‘악마에 맞서는 십자군’으로 규정했다. 또한 개신교계는 자신들을 도와준 ‘미국’을 ‘구세주 국가’로 인식하면서 개신교 내부의 친미·반공 이데올로기는 한국 보수 개신교계의 ‘신학’이 되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나서 개신교계는 재건 활동을 도모하는 한편, 이승만과 더욱 결탁하여 정치적 특권을 계속 누리고자 했다. 이승만은 자신의 개신교계 인맥을 동원해 개신교계 전체가 자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천주교인이자 강력한 정치적 라이벌인 장면으로 인해 천주교계가 기존의 소극적 정치 참여 입장을 탈피하고 장면을 지지하자, 개신교계는 이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천주교계는 장면을 옹위했고, 천주교계와 개신교계의 대립은 점점 격화되었다. 이승만 정권 후기 천주교계는 많은 핍박을 받았지만, 결국 정치적으로 승리하여 장면 내각이 탄생했다. 그러나 천주교계 인사들로 완전히 채워지기 이전에 장면 정부는 박정희의 5·16 쿠데타에 의해 붕괴되었다. 이러한 해방 전후의 한국 개신교계의 활동을 통해 오늘날 ‘보수 정치의 아이콘’이 된 한국 보수 개신교계가 탄생한 것이다. 이를 어떻게 극복해서 나아갈 것인가가 향후 한국 개신교의 정치적 발전과 사회에서의 역할을 규정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and religious relations of Korean Protestantism that formed in the regime of Lee Seung Man and to analyze how the political ideology of Korean Protestantism was formed. It is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topography and theology of Korean conservative Protestantism today.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Korean Peninsula has suffered a severe conflict of left-right ideology in home and abroad. On the one hand, the unification movement of bilateral cooperation was rising up, but in the end, two independent governments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as the liberal camp in South and the communist camp in North. In this Process, Lee Seung Man, who became the first president of South Korea, nursed Protestantism leaders as his political fences and appointed in the important posts in the government. Moreover, He even offered all kinds of institutional and economic benefits to the Protestantism. Korean Protestantism cried out pro-Americanism and anti-communism in defend on the United States, which had been a close relationship before liberation. In particular, North Korean Protestant groups, which had a strong Protestant power, resisted the Soviet military and Communist Party and set up a radical controversy with them. However, North Korean Protestants were politically defeated by the Soviet Union and Kim Il Sung, and they decided to go to South Korea. Those who went to South Korea were able to grow up as the strongest political group by receiving preferential treatments and having protection of the US military in South Korea. In addition, South Korean Protestantism intellectuals, who had relatively weak in power, were able to build a stable political base thr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were further exacerbated by the Korean War of June 25, 1950, and the ideological value were even spread to civilians. Civilians now hate North Korea as "reds" rather than one nation. In contrast, the liberalist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war and fought with South Korea together, became alliances and “bloodbaths.” In this war, Korean Protestantis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war, set up the military system to help the war, and monopolized the relief materials of American Protestantism and work on as a 'social relief organization'. Protestantism was not simply a participant in the war, but functioned as one of the subjects of the war. Based on anti-communism, they defined the Korean War as a "holy war" and Communism as a "devil", and defined themselves as a "crusade against the devil." In addition, Protestantism regarded U.S as the "Savior country" who helped them, and the pro-American and anti-communist ideology within Protestantism became the "theology" of Korean conservative Protestantism. After the Korean War ends, the Protestant community sought reconstruction activities and tried to continue the political privilege by colluding with Lee Seung Man. Lee Seung Man used his Protestant network to allow the entire Protestant community to support himself. On the other hand, because of Jang Myun, who was Catholic and the strong political rival, Catholicism withdrew from the existing passiv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started to support him. The Catholic Church defended Jang Myun,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was intensified. In the end of Lee Seung Man’s regime, Catholics had suffered a lot of persecution, but eventually they won the political victory and it led to the birth of the Jang Myun’s cabinet. However, before it was completely filled with the Catholics, the Jang Myun’s government was collapsed by the Park Jung Hee’s 5/16 Coup. Through the activities of Korean Protestantism that were in the time of before and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 Korean conservative Protestantism, ‘the icon of conservative politics’, was born today. How will they escape from this will define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Korean Protestant Church in the future and its role in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