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8 Download: 0

예배 안에서의 시각 이미지 사용에 관한 연구

Title
예배 안에서의 시각 이미지 사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sing Visual Images in Worship : Focused on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and Simulacre Aesthetics
Authors
이한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선희
Abstract
본 논문은 예배에서의 이미지 사용이 지니는 함의를 교회전통과 현대미학의 관점에서 밝히고 이미지의 다면적인 이점을 예배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신앙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장으로서 예배에서의 전인적 경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미지라는 시각요소는 종교개혁 이후 말씀의 절대적 권위를 강조하는 개신교회에서 경시되어 왔다. 예배에서의 이러한 불균형적인 경험은 예배 참여자들로 하여금 영과 육, 성과 속을 분리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만들어 왜곡된 신앙을 형성시킨다는 데에 그 위험성이 있다.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 예배는 기술매체의 발달로 인한 이미지의 범람과 정신화로 인한 이미지 금욕주의라는 양면적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양면적 상황은 동방교회의 성상논쟁에서 성상옹호주의와 성상파괴주의 양측의 논지와 연결될 수 있다. 성상옹호주의는 물질로 이루어진 우리가 하나님에게로 나아갈 수 있는 통로로서 이미지가 성육신 교리의 측면에서 옹호될 수 있음을 밝혔고, 성상파괴주의는 복제인 성상 이미지가 원본처럼 숭배될 것을 우려하였다. 이 때 양측은 플라톤주의적인 관점에서 이미지에게 절대적 이데아를 묘사할 것을 전제하는데, 이는 원본을 기준으로 한 위계질서를 생성하고 정신과 육체를 이원적으로 분리하여 이미지 사용의 이점을 퇴색시킨다. 여기서 예배 내 이미지의 현대예술과 시뮬라크르 미학의 활용 가능성이 도출된다. 계속되는 형식의 변화를 통하여 동일성의 논리로부터 벗어나는 현대예술은 하나님 나라를 선취하는 대조세계로서의 예배와 같은 맥락을 공유한다. 또한 현대예술의 시뮬라크르는 원본이 없는 복제의 복제들로서 플라톤주의적인 위계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특히 수많은 시뮬라크르를 통하여 근원이라는 숭고적 개념을 발견하는 발터 벤야민의 논지는 초월과 내재라는 예배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었다. 이러한 시뮬라크르 미학을 활용한 시각 이미지를 통하여 개신교회 예배의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가시적 표징으로서 은총의 수단인 성례전은 이미지와 같은 맥락을 공유한다. 본 논문은 이해 가능성을 뛰어넘는 이미지의 계시적 특성을 발견함으로써 성례전을 세례와 성찬으로 한정하는 개신교의 교리를 넘어서서 예배 내 이미지의 성례전적인 가능성을 확인한다. 예배 안에서의 시각 이미지의 미학적이고 성례전적인 가능성에 관심을 가질 때, 오늘날의 예배가 치우친 이성적 차원을 넘어선 전인적인 예배로의 참여와 예배로부터의 윤리적 실천이 가능할 것이다.;This thesis aims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of using images at the worship service in terms of church tradition and contemporary aesthetics so as to encourage churches to actively employ the multifaceted benefits of using images at the worship service. Despite the importance of holistic experience at the worship service as a place of socialization of faith, the visual elements of images have been neglected by Protestantism, which emphasizes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Word since the Reformation. This disproportionate experience in the worship service poses a danger of making worshipers perceive the spirit and the body, the holiness and the mundane lives as separated ones and form a distorted faith. Today the worship service i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is faced with the ambivalent situation not only of ‘the overflow of ima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cal media but also of ‘the image abstinence’ due to the mentalization. This situation can be linked to the arguments of both the Iconoclasm and the Iconoduly in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of the Eastern Church. The Iconoduly advocated using images as a pathway for us, made of matter, to move toward God in the aspect of incarnational doctrine, whereas the Iconoclasm was concerned that the image, which is duplication of the original, would be worshiped in place of the original. At that time, both sides presuppose that images have to describe the absolute idea on the basis of the Platonism of art, which obscures the benefits of using the images by creating a hierarchical order based on the original and separating the spirit from the body dually. In this context, the possibility of employing contemporary art and simulacrum aesthetics in the images used in the worship service is derived. Contemporary art, deviating from the logic of identity through continuously changing its form, shares the same context with the worship as a contrasting world that preempts the kingdom of God. The simulacre of contemporary art also provides the possibility of escaping from the Platonic hierarchy since it contains replicas of replicas, which do not have the original in themselves. In particular, Walter Benjamin’s thesis that discovers the sublime concept of the origin through numerous simulacres has a structure suitable to explain the basic prinsiples of worship, divin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rough the images using simulacre aesthetics, we can develop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s of worship in a balanced way. Sacraments as a means of grace as a visible sign share the same context with the images. This thesis examines the sacramental potential of images in the worship service beyond the Protestant doctrine that limits sacrament to the Baptism and the Eucharist by discovering the epistemological characteristics of images beyond understanding. When we consider the aesthetic and sacramental possibilities of the images in the worship service, holistic participation to the worship service and ethical practice from the worship service that are beyond today's rational dimension of the worship service will be possi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