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9 Download: 0

청소년의 종교적 상상력을 위한 예술적 놀이교육

Title
청소년의 종교적 상상력을 위한 예술적 놀이교육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tistic Play Education for Religious Imagination of Youth : Research of Artistic Play Education Model in Religious Secondary Private Schools
Authors
장윤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은미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concerns about the overall growth of adolescents exposed to today's prevailing competitive trends and about the role and tasks of religious education for them. An entrance examination culture and subsequent lining-up style evaluation caused a result-oriented education climate in which all the results of education are quantified. Under this circumstance, students are losing the pleasure of learning and the opportunity to learn happily. Adolescents view their situation as unhappy because they experience fatigue, tension, disconnected relationships, and alienation due to test score results and competition. In addition, adolescents who only mechanically learn without enough consideration and self-reflection have difficulties in setting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life. Therefore, today's religious education should help them to develop a reflective and subjective attitude toward their own lives in response to such a reality of the youth, and to have a time of happy and pleasant learning in a community relationship involving themselves and others. Therefore, this study mainly aims to promote religious imagination that provides an integrated perspective encompassing universe community understanding beyond deep self-reflection and the ability to subjectively plan creative future and self-understanding.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artistic play education as a concrete alternative to enhance religious imagination and promote holistic growth through this. Religious education through an artistic approach and play stimulates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holistic youth growth by awakening various senses related to human mind or mental function. It also helps them to develop ontological reflection on individuals and realize the value of mutual relations among class members so that the ultimate community can be cultivat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instructional models of artistic play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who are lacking imagination and play, to learn happily. Chapter Ⅱ firstly searches for the decisive cause of young people’s failure to enjoy a happy life from the reality of insufficient time for self-reflection and insufficient opportunities of relationship experiences, namely, lack of youth imagination and play. In addition. it examines the necessity of beneficial play culture creation for the youth and opportunitie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type and culture of play culture the Korean youth mostly enjoy.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able to find appropriate education methods to meet the need of creation and opportunity of play culture for young people according to the reality of the youth. However, current religious education is not well recognized compared to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education, and it is in a slump in the overall education concept such as setting educational goals, seeking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practicing and evaluating education. As a result, chapter III presents a new concept of artistic play as a concrete alternative for the whole education of the youth as a new attempt to exit the depression in current religious education. This chapter deepens the concept of play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preserve of infancy and childhood in general, examines diverse understanding of play itself, and explores a possibility of religious education through play based on deepened understanding. In particular, the understanding of artistic play is based on the respective attributes of ‘art’ and ‘play, 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rtistic play established accordingly have a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can contain value-oriented education contents. The following chapter IV discusses the understanding and role of imagination and religious imagination. This chapt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understanding about imagination that has not been appreciated historically and explores the basic concept and cognitive value of imagination. It also discusses the value of religious imagination based on a general understanding of imagination and what role it can play in the field of religious education. The function and role of religious imagination is deeply related to the senses, emotions, and intuitive thoughts that rationalism has neglected. Therefore, this chapter presents the religious education task for the youth's religious imagination by grasping the relation between an artistic cognitive approach and imagination in human sensual, emotional and intellectual aspects. The role of religious imagination is important for the balanced and holistic growth of the youth. Therefore, Chapter Ⅴ presents the concrete method of artistic play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religious imagination. First, the goal of artistic play education is described, and class models that can be used and applied are suggested. In each example of class models, the sequential class contents a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class model reflecting the goal of artistic play education. The above findings show that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study that seeks religious education methods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especially the artistic play education methods for the youth, thereby promoting the restoration and whole growth of youth religious imagination.;본 논문은 오늘날의 지배적인 경쟁 풍조에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우려하고, 이들을 위한 종교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고민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입시 문화와 이로 인한 줄 세우기 식의 평가는 교육의 결과를 모두 수치화하는 결과 중심적 교육 풍토를 낳았고, 이러한 행태 속에 학생들은 배움의 과정이 주는 즐거움과 즐겁게 배울 수 있는 기회들을 잃어가고 있다. 성적 결과와 경쟁으로 인한 피로, 긴장, 관계 단절, 소외 등의 경험 때문에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상황을 불행하다고 여긴다. 또한 자기 존재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성찰 없이 기계적인 습득만 하고 있는 청소년들은 삶의 목적과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청소년 현실에 직면하여 오늘날의 종교교육은 이들이 스스로의 삶에 대한 성찰적, 주체적 태도를 함양하고, 자신과 타자를 아우르는 공동체적 관계성 안에서 즐겁고 행복한 배움의 시기를 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신에 대한 깊은 반성적 성찰과 창조적인 미래를 주체적으로 구상하는 능력, 자기 이해를 넘어 우주적 공동체 이해에 이르는 통합적 전망을 제공하는 종교적 상상력의 증진을 청소년 종교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상정하고 있다. 또한 종교적 상상력 증진과 이를 통한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구체적인 대안으로 예술적 놀이교육방법을 모색한다. 예술적 접근과 놀이를 통한 종교교육은 인간의 마음이나 정신 작용과 관련이 깊은 다양한 감각들을 일깨워 청소년 성장에 있어서 전인적 측면의 조화로운 발달을 돕는다. 또한 청소년으로 하여금 개인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을 일으키고 수업 구성원 간 상호 관계성의 가치를 깨닫게 하여 궁극적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상력과 놀이의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즐겁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하여 예술적 놀이교육의 구체적 수업 모델들을 제시하고 있다. Ⅱ장은 먼저 청소년들이 행복한 삶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결정적 원인을 충분한 자기 성찰의 시간과 관계 경험의 기회가 부족한 현실, 즉 청소년 상상력과 놀이의 빈곤 현실로부터 찾는다. 또한 한국 청소년들이 주로 향유하고 있는 놀이문화의 유형과 성격 분석을 통해 청소년을 위한 유익한 놀이문화 창조와 그 기회의 필요성을 살핀다. 이 같은 청소년 현실에 따라 종교교육은 청소년을 위한 놀이문화의 창조와 그 기회 제공의 필요에 부응하는 적절한 교육방법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종교교육은 교육의 중요성과 의미에 비하여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고, 교육목표 설정과 교육내용·방법 모색, 교육실천과 평가 등 전반적인 교육구상에 있어서 침체 국면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Ⅲ장에서는 현행 종교교육의 침체 국면을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시도이자 청소년의 전인적 교육을 위한 구체적 대안으로써 예술적 놀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주로 유·아동기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던 놀이에 대한 개념을 심화하여 놀이 자체에 대한 다각적 이해를 살펴보고, 심화된 이해에 기초하여 놀이를 통한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특별히 예술적 놀이에 대한 이해는 ‘예술’과 ‘놀이’ 각각의 속성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립된 예술적 놀이 개념과 성격들은 가치 지향적 교육내용을 담아낼 만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이어지는 Ⅳ장에서는 상상력과 종교적 상상력에 대한 이해와 역할에 대해 논한다. 역사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던 상상력에 대한 이해의 변모과정을 살피고, 상상력의 기본적 개념과 인식적 가치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상상력의 일반적 이해에 기초하여 종교적 상상력은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이 종교교육 현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한다. 종교적 상상력의 작용과 역할은 이성중심주의가 외면해온 몸의 감각이나 감정, 직관적 사고 등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본 장은 인간의 감각적, 감성적, 지성적 측면을 아우르는 예술적 인식 접근과 상상력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종교적 상상력을 위한 종교교육 과제를 제시한다. 청소년의 균형적이고 전인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종교적 상상력의 역할이 중요하다. 따라서 Ⅴ장에서는 종교적 상상력의 증진과 이를 위한 예술적 놀이교육의 구체적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예술적 놀이교육의 목표와 이에 따른 수업 모형, 실제 적용·응용이 가능한 수업 모델들이 제시되어 있다. 각 수업 모델 예시는 예술적 놀이교육의 목표를 반영하고 있는 수업모형에 따라 그 순차적 내용들이 기술되어 있다. 이상의 내용에 따라 본 논문은 공교육 현장에서의 종교교육방법, 특별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적 놀이교육방법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청소년의 종교적 상상력 회복과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연구라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