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3 Download: 0

문화대혁명 전후 중국 현대회화에 나타난 모방

Title
문화대혁명 전후 중국 현대회화에 나타난 모방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itation Appeared in the Chinese Contemporary Art Before and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Authors
방지윤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Chinese contemporary art in terms of imitation. From the Chinese traditional paintings to the modern paintings, imitation has appeared in various aspects after changing according to respective ages. The painters actively utilized imitation as the aesthetic means including creating new meaning by changing the original work after imitating the existing artwork. The existing studies on the imitation in the Chinese contemporary art discussed artworks by mainly focusing on the aesthetic style of borrowing and parody. The existing studies began to treat borrowing and parody as the outcomes arisen from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Western art. However,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flow of imitation existed before the advent of parody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painting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point that the ongoing imitation, together with parody, turned into the modern style of imitating and reproducing the original works. Imitation is the style of learning and producing after making a model of a certain existing target. In the traditional paintings, imitation was carried out as a way of learning the works by teachers.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20th century, it was performed on the level of accommodating the foreign styles for the development of art. The imitation which appeared in the mid-20th century became the artistic tool for achieving political purposes such as the propaganda of ideology. With the beginning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66, imitation was actively used to emphasize the historical achievement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o deify Mao Zedong. During this era, the Chinese painters had no other choice but to create paintings based on strict painting rules and the most standardized imitation forms were created due to limited topics. However, after Mao Zedong passed away, Deng Xiaoping seized power and he took the political line of reforming the system and adopted an open-door policy. Owing to the open social atmosphere, the painters were able to freely create works. After 1985, the modern painters imitated the propaganda images use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They included their own social consciousness by imitating the portraits of the political leaders - Mao Zedong, Hua Guofeng, and Deng Xiaoping - and the motions by the actors and the actresses in Revolutionary Opera. When the painters imitated the image of a political leader, most tended to explicitly satirize it after removing the aura deified in the original work. The painters who imitated Revolutionary Opera showed the ambivalent viewpoints toward the Cultural Revolution. Other than imitating the propaganda images, the painters parodied the existing artworks. They mostly parodied the images of famous paintings and religious altarpieces so as to reflect the reality of the society. The famous paintings parodied by the contemporary artists were regarded as the scriptures of the Eastern and the Western art and the painters humorously satirized the society by replacing the figures in the painting with oneself or changing the objects in the paintings into modern style ones. In the case of parodying religious altarpieces, the painters challenged the authority of Jesus Christ in the murals and the altars of Christianity by replacing him with Mao Zedong. Similarly, even when the statues of Buddha were parodied, the satire regarding the absolute authority of religion was shown. The main characteristic is the painter having worldly expressed the original meaning after becoming the statue itself. As mentioned previously, the imitation appeared in the Chinese contemporary art became the means of effectively reflecting the chaotic social background of China in the 1980s and the 1990s. Also, the painters ar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y not only realized the existing artworks on the screen through parody but also revealed the time by reflecting the reality of China. The viewers were able to have the opportunity to get a glimpse of the turbulent Chinese era and the chaotic Chinese society through the critical viewpoints by the artis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reconsidered the history of the Chinese paintings through the imitation appeared in the Chinese contemporary art and considered the meaning of imitation which differed according to respective ages.;본 논문은 중국 현대회화 작품을 모방이라는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모방은 중국 전통회화부터 현대회화에 이르기까지 시대에 따라 변모하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예술가들은 기존 미술작품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패러디를 함으로써 원작의 맥락을 바꾸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등 모방을 예술적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였다. 중국 현대회화 작품에 나타난 모방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차용과 패러디라는 예술적 방식에만 주목하여 작품을 논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차용과 패러디를 서양미술의 수용 과정 속에 나타난 결과로서 다루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본고는 중국 회화사에서 모방의 흐름이 패러디의 등장보다 앞서 과거부터 존재하였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또한 과거부터 이어져 온 모방이 현대에 이르러 패러디와 같이 원작을 모방하고 재생산하는 현대적 방식으로 변모하게 된 점을 주시하면서 이를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모방이란 기존의 어떤 대상을 본보기로 삼아 학습하고 제작하는 방식이다. 전통회화에서의 모방은 스승의 작품을 학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행해졌으며, 20세기에 들어서는 예술의 발전을 위해 외국의 화풍을 수용하는 차원에서 실행되었다. 20세기 중반에 나타난 모방은 이데올로기의 선전과 같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술적 도구가 되었다. 1966년 문화대혁명의 시작과 함께 중국 공산당은 모방을 공산당의 역사적 성취를 강조하고 정치적 지도자인 마오쩌둥을 신격화하기 위해 적극 활용하였다. 이 시기에 중국 예술가들은 엄격한 창작 법칙에 따라 작품을 제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제한된 창작 주제로 인해 중국 역사상 가장 정형화된 모방의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마오쩌둥의 사망 이후, 공산당의 차기 지도자로서 덩샤오핑이 집권하게 되었고 그는 체재를 개혁하고 문호를 개방하는 정치적 노선을 취하였다. 이런 개방된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예술가들은 이전보다는 자유롭게 작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1985년 이후 현대 미술가들은 문화대혁명 시기 사용된 선전 이미지를 모방하였다. 이들은 마오쩌둥, 화궈펑, 덩샤오핑과 같은 정치적 지도자의 초상, 모범 혁명극 ‘양판희’ 속 배우들의 동작 등을 재현함으로써 당대 사회에 대한 자신의 사회의식을 작품 속에 담았다. 미술가들은 정치적 지도자의 이미지를 모방하였지만 원작이 가진 아우라를 제거함으로써 이를 적나라하게 풍자하였다. 한편 ‘양판희’의 장면을 재현한 작가들은 문화대혁명에 대한 양면적 시각을 드러내었다. 예술가들은 선전 이미지를 모방하는 것 외에, 기존 미술작품을 패러디하였다. 이들은 주로 명화 이미지와 종교적 도상을 패러디하였는데, 이것은 동시대 사회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서였다. 현대 미술가들이 패러디한 명화들은 동·서양미술의 경전으로 불리는 작품들이었으며, 작품 속 인물을 자신의 모습으로 대체하거나 사물을 현대식으로 변경하여 동시대 사회상을 유머러스하게 풍자하였다. 종교적 도상의 패러디의 경우, 예술가들은 기독교의 벽화와 제단화 속 예수를 마오쩌둥으로 대체하여 그의 권위에 도전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불상을 패러디한 경우에도 종교의 절대적 권위에 대한 풍자를 드러내었는데, 작가가 직접 불상이 되어 원래의 의미를 세속적으로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중국 현대회화 작품에 나타난 모방은 1980-90년대 중국의 혼란스러운 사회적 배경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수단이 되었다. 또한 예술가들은 패러디를 통해 기존 미술작품을 화면에 구현하는 것을 넘어, 중국의 현실을 반영해 시대성을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런 예술가들의 비판적 시선을 통해 관람자는 중국의 격동기와 혼란스러웠던 중국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 현대회화에 나타난 모방을 통해 중국 회화사를 재고하고, 시대에 따라 변화된 모방의 의미를 고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