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Security at Large?

Title
Security at Large?
Other Titles
미국의 대테러전략과 사이버안보정책 간 관계 연구 : 거시안보화 이론의 시각으로
Authors
김보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민병원
Abstract
In 2014,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has affirmed terrorism threats and cyber security issues as its core security agenda. The two out of five security pillars outlined in the 2014 Quadrennial Homeland Security Review (QHSR) are “Prevent Terrorism and Enhance Security” and “Safeguard and Secure Cyberspace”, which reflects the change in security concept in the 21st century. In case of counterterrorism policies, the U.S. government values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with its allied forces, and even with rogue states if deemed necessary. The same logic applies to cyberspace in which the U.S. government raises awareness on nationwide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in the face of increasing threats from terrorist organizations and aggressive non-governmental actors. The U.S. government was quite successful in sharing its threat perception with its citizens as well as fellow democratic states, until in 2013 when the NSA’s worldwide surveillance program was brought into light. The disclosure implied that the U.S. government’s commitment to secure the world from evolving security threats might have a hidden motive. It exposed a small yet deep chasm in the U.S.’ foreign policies. The U.S. has accentuated the need for increased cooperation among nations in the cyberspace, yet its worldwide surveillance program suggested otherwise. Then Obama administration was fast to defend itself that the program was specifically designed to preventing terrorist attacks, but the surveillance targets included not only rogue actors but governments of America’s long-standing allies as well. The U.S.’ 15-year-long war on terrorism has sacrificed the freedom of its allies, and more fundamentally proved that its counterterrorism policies and cyber security strategies, when pursued side by side, caused serious dissonance. Then, how and why does the U.S.’ counterterrorism policies and cyber security strategies contradict with each other? Also, how has the U.S. rationalized the logical gap between two policies? This paper is structured to answer to the two questions, and further evaluates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U.S.’ threat perception in cyberspace and its actual policy outcomes.;미국 정부는 2014년 발간한 4개년 국토안보부보고서에서 ‘테러 위협에 대한 대비 태세를 강화’하고 ‘사이버 공간을 수호’하는 것을 국가의 핵심 이익으로 천명했다. 이는 21세기 국가의 안보 개념이 크게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대테러전략의 경우 미 정부는 동맹국과의 협조를 강조하며, 필요할 경우 불량국가와도 협의해왔다. 사이버 공간에서도 마찬가지로 미 정부는 테러 단체 및 비국가행위자들의 우발적 공격에 대비해 대내외적으로 연대가 필요함을 호소했다. 그러나 2013년 미 국가안전보장국의 세계 정찰 프로그램의 존재가 폭로되면서 정부의 대외적 입장에 균열이 초래되었다. 당시 오바마 정부는 해당 프로그램이 오직 미국을 비롯한 민주국가에 위협이 되는 세력만을 감시한다고 해명했지만 스노든이 폭로한 내부 문건은 미국의 우방국들도 포함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2001년 9.11 테러 이후 10년 간 유지되어온 대테러전략이 사이버 공간 상 우방국의 국가 주권을 침해했음을 의미하며, 더 근본적으로는 미국의 대테러전략과 사이버 전략이 심각한 모순관계에 있음을 시사했다. 그렇다면 미국의 대테러전략과 사이버 전략은 서로 어떻게 모순되는가? 또한 미 정부는 어떻게 두 정책 간 논리적 간극을 정당화하려고 해왔는가? 본 연구는 제시된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냉전 이후 국가중심적 안보 개념이 해체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대테러 이슈와 사이버안보가 국가의 핵심 이익으로 편입되었음을 주장한다. 다음으로 코펜하겐 학파의 안보화이론과 거시안보화이론을 채택해 각 안보 이슈의 층위를 비교하고 대테러 이슈와 사이버안보 이슈 간 사회적 관계를 조명한다. 또한 사례 분석으로는 미국 사이버안보의 한 축을 담당하는 국가안전보장국이 민간영역, 사법영역, 국제 영역과 맺고 있는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미 정부가 대외적으로는 사이버위협이 테러위협에 비견할만한 것으로 홍보해 국제적 연대를 강조했지만, 실상은 사이버안보 정책이 테러 담론 내부에서 태동하여 실제 이상의 위협 논리를 생산했음을 검토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