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4 Download: 0

Influence of Pharmacist Communication on Patient Care in Korea

Title
Influence of Pharmacist Communication on Patient Care in Korea
Authors
진혜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약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정연
Abstract
As the profession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pharmacists have shifted from medication-centered to more patient-centered car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pharmacists and patients is considered to be an essential component of high-quality pharmaceutical care. Specifically, recently in Korea it has become necessary to seek ways to manage and improve pharmaceutical care for the elderly and for people from different ethnic or cultural backgrounds, as there is an increasing level of demand for health care services by these people. However, no studies have focused on pharmacist-patient communication as a mean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centered pharmaceutical care in the field of pharmacy in our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pharmacist-patient communication in pharmaceutical care and examine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develop pharmacists’ communication abilitie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CST) as a way to provide high-quality pharmaceutical care, to enhance the patient satisfaction levels, an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pharmacists. The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ChapterⅠpresents an examination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FHL) among the elderly and identifies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s of adherence of these patient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older adults and provide appropriate pharmaceutical care service. For this study, a cross-sectional survey was performed with 172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selected from the outpatient clinics of 3 top-tier hospitals, 6 community pharmacies, and 2 senior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The FHL level and adherence to medication were measured by using the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Test (KFHLT) and the Adherence to Refill and Medication Scale (ARMS), respectively. In chapterⅡ, the study also examines the health care needs of foreign patients and identifies the key factors needed to provide quality pharmaceutical care.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20 foreign patients who were selected from 3 top-tier hospitals and 1 free clinic in Seoul, and 60 pharmacists from 18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patient counseling and perceived views of both pharmacists and foreign patients regarding patient counseling by assessing satisfaction levels, barriers, and desired outcomes. Through the results of chaptersⅠand Ⅱ, this study uncovered the important elements needed to improve pharmaceutical care for the elderly and foreign patient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pharmacist-patient communication, and found that communication ability is a core competence that pharmacists must have to provide quality care. In addition, the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to develop pharmacists’ communication abilities. On the other hand, in many countries, but not in Korea, education to develop pharmacists’ communication skills is included in their pharmacy curricula. However, thus far, synthesizing the effects of CST in pharmacy education is lacking. Thus, in chapter Ⅲ, the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summary of evidence pertaining to the efficacy of CST for pharmacy students using a meta-analysis. To do this, MEDLINE, EMBASE, ERIC, CINAHL, PsycINFO,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Mass Media Complete (CMMC), key journals, and bibliographic databases were searched. The calculation of effect sizes was based on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As the result of homogeneity test, random-effects model was chosen. The quality of the study was assessed using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Study Quality Instrument (MERSQI). Chapter Ⅳ details an evaluation of the impact and effectiveness of patient counseling training on attitudes, awareness,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onfidence levels of pharmacy students. This section involve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by self-assessed questionnaire from 60 fifth-year students in “A” pharmacy school located in Seoul, Korea. Patient counseling training in the form lectures, role-playing, small group activities, video-recordings, and feedback was presented. In addition,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communication skills course were investigat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Ⅰ, the mean score of the total FHL was 7.72±3.51 (range 0−15) and the overall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51.3% (54.4% on the numeracy subtest and 48.1%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subtest). In addition, 27.5% of the elderly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owed inadequate FHL and 52.5% showed low levels of medication adherence.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included not only patient-related factors, such as their education level, health-related problems, and medication factors such as the dosing frequency, but also pharmacist-related factors, such as the pati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the pharmacists’ sufficient explanations when undertaking patient counseling, all of which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dherence of the elderly. In chapterⅡ, hospital pharmacists and foreign patients were found to be well aware of the necessity of patient counseling for foreign patients. They also recognized that a lack of language proficiency was the major barrier preventing effective patient counseling. The information that the patients most wanted to obtain during the patient counseling was side effects and how to deal with them. In addition, the drug information requirements written in their own languages, privacy, understanding of their cultural backgrounds, and overcoming of prejudice were required. In chapter Ⅲ,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Cohen’s d) of CST was 0.611 (95% CI, 0.327−0.895), which means a ‘medium-to-large’ and it was educationally significant. The results from the subgroup analysis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learning environments, stand-alone courses have larger effect size than seminars or workshops, and integrated courses. Lecture-lab based courses, video record- ings, and feedback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those without these materials and methods. In terms of duration, this study found that a duration of >1 semester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a duration of ≤1 semester and that the effect size for ≥5 h per week was larger than that for <5 h per week. In terms of assessment methods, the effect size for external assessments was larger than that of self-reported assessmen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ST, the effect size was ranked in the order of confidence, knowledge, communication skills, and attitudes. The results of a meta-regression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attendees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ffect sizes of the CST. In chapter Ⅳ,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96.0%) reported that they needed communication skills course. In the post-training assessment, the total mean scores of perceived confidence by students in communicating with patients and counseling them on special dosage forms, attitude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raining assessment (P=0.000 for all). Students rated role-playing as their most preferred learning method, and they wanted to add specific content with variable topics to their courses. In summary, this study examines FHL and identifies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among the elderly in the pharmacy field, where little is known about this, and it is suggested here that pharmacists’ perceptions of these issues may serve as the basis of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pharmacists and the elderly. In addition, overcoming language barriers and improving the cultural competency of pharmacists when they counsel foreign patients are necessary to provid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a higher quality of pharmaceutical care. Moreover, this study is the first to synthesize, compare, and analyze published research on CST for pharmacy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pharmacist-patient communication in pharmacy education through a meta-analysis, demonstrating the usefulness of CST and positive influences on pharmacy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communication is a core clinical skill for a pharmacy practice to achieve patient-centered pharmaceutical care and that this competency can be improved through training and education. Finally, many pharmac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ceived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mmunication skills courses. Therefore, an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various educational models and programs which operat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should be prepared in academic institutions and workplaces in Korea. ;약사의 역할이 의약품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약사-환자 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질 높은 약료 서비스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는 노인 인구를 비롯하여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의료 이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여서 이들 대상자에 대한 약료의 질을 관리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 약학교육에서는 환자중심의 질 높은 약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약사- 환자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대상자의 만족도 증진과 동시에 약사의 직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약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효과성 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노인의 의료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고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노인 환자에 대한 적정 약료서비스 제공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외래센터 3곳, 지역 약국6곳, 노인복지관 2곳을 방문하여 172명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이해능력은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Test (KFHLT)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노인의 복약순응도는 Adherence to Refill and Medication Scale (ARM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장은 외국인 환자의 건강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약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주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3곳 및 외국인 전용 무료진료소 1곳을 내원한 외국인 환자 120 명과 서울 및 경기지역의 18곳의 병원에 근무하는 약사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 하여 외국인 환자 및 병원약사가 인식하는 복약상담과 이에 대한 만족도, 장애 요인 및 개선점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1장과 2장의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 환자 및 외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약료서비스 제공 시 약사가 고려해야 할 중요 요소들을 파악하였고, 이 중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약사가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이며 이를 개발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약사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함양을 위해 약학대학 학부과정에서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해당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통합적인 결과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3장에서는 약학대학 내에서 약사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시행 한 논문을 모아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현재까지의 연구결과 정리 및 약대 내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유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EDLINE, EMBASE, ERIC, CINAHL, PsycINFO,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Mass Media Complete (CMMC), key journals, and bibliographic databases를 통해 수집된 약대 내 커뮤니케이션 교육 관련 연구물을 메타분석하여 전체 효과크기로 표준화된 평균 차를 산출하였다. 동질성 검정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랜덤효과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Medical Education Research Study Quality Instrument (MERSQI)를 바탕으로 각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4장은 복약상담 수업이 학생들의 인식, 태도, 커뮤니케이션 기술 및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서울에 소재하 는 A 대학교 약학과 5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 하였다. 해당 수업은 강의, 역할극, 소그룹 활동, 비디오 녹화 및 피드백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한 학생들의 역량 향상 정도를 비롯하여 약학대학 내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 파악된 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이해능력의 전체 평균점수는 7.72±3.51 (range 0-15)로 전체대상자의 정답률은 51.3%이었고 영역별로는 수리영역이 54.4%, 독해영역이 48.1%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52.5%는 복약순응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환자의 교육수준, 보유질환 유무, 약의 복용횟수와 같은 환자관련 요인 외에도 약사의 복약상담 정도에 따른 환자 만족도, 약사의 설명 정도와 같은 약사관련 요인이 노인의 복약순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2장에서는 병원약사와 외국인 환자 두 집단 모두 약사의 복약상담에 대한 필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약사-환자 간 언어장벽이 복약상담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복약상담 시 제공받기 원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부작용 및 대처방안이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내었으며, 이 외에도 영어 및 자국어로 된 의약 정보, 프라이버시,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와 외국인 환자에 대한 편견 해소가 있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장의 메타분석 결과 커뮤니케이션 기술 교육의 전체효과크기는 0.611(95% CI, 0.327-0.895)로 이는 중간보다 다소 높은 크기의 효과이며 교육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하위그룹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수업형태별로는 독립된 정규수업 의 효과크기가 통합수업 및 세미나/워크숍 형태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의와 실습이 병행된 과목, 비디오 녹화, 피드백 제공, 수업시간이 한 학기 초과 이고 주당 5시간 이상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수업보다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부평가의 효과크기가 자가평가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넷째, 효과성 측면에서는 학생의 자신감, 커뮤니케이션 기술, 지식, 태도 순으로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메타회귀 분석 결과, 교육참가자 수가 많을수록 커뮤니케이션 기술 교육의 효과크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4장에서는 대부분의 학생이(96.0%)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수업 후 환자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특수제형 복약상담에 대한 자신감, 커뮤니케이션 기술, 태도영역 모두에서 수업 전보다 전체 평균의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방법으 로는 약사-환자 역할극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향후 수업에서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더욱 다양하고 구체적인 주제에 대해 학습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환자의 의료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고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약사가 이에 대해 충분한 인식을 갖추는 것은 노인 환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밑바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외국인 환자와의 복약상담에 있어 언어적 장애를 극복하고 약사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 는 것은 환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보다 질 높은 약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약대생을 대상으로 한 약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효과를 처음으로 종합분석 하였으며 해당 교육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커뮤니케이션은 환자 중심의 약료 실현을 목표로 하는 전문적인 약사 직능에 있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중요한 임상기술이며 이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약학대학 학생들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중요성 및 필 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다양한 교육 모델과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약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