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3 Download: 0

사회과 예비 교사의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 대한 인식과 경험

Title
사회과 예비 교사의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 대한 인식과 경험
Other Titles
Preliminary Social Studies Teachers’ awar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and experience of the Flipped Learning
Authors
정지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새로운 수업 전략으로 최근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이 주목받고 있다. 거꾸로 수업이란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관행을 거꾸로 뒤집은 것이다. 거꾸로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나,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있었으나,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곧 교직의 길로 나아갈 예비 교사들은 학습자였기도 하기에, 그들의 거꾸로 수업에 대한 실제적인 인식과 경험들은 거꾸로 수업이 교실에서 적용될 방안에 있어서도 다양한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비 교사들은 학습자의 지위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의견에서 다양한 쟁점을 얻거나 여러 의견들을 받아들일 필요성이 있다. 학습자가 교사의 수업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눈은 더 나은 질의 수업환경을 만드는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사회과 예비 교사들 또한, 교직에 곧 나아가게 될 대상들이기 때문에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할 필요성이 충분하다고 느꼈다. 사회과 예비 교사는 교육봉사활동이나 교육 실습에서 거꾸로 수업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보거나, 거꾸로 수업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인지하게 된다. 교육봉사활동과 교육실습에서 적용한 거꾸로 수업에 대한 개선점이나 피드백을 얻어서 실제로 학교 현장에 나아갔을 때 더욱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사회과 예비 교사가 가지는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교육과정이론의 어느 부분들이 녹아져 있는지를 바라보고자 한다. 사회과 예비 교사의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교육과정이론의 어느 부분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 교사들의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그들이 거꾸로 수업을 실질적으로 적용한 경험이 있는지 알아보는 정보를 파악하는데 있다. 첫째, 사회과 예비 교사들의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 둘째, 사회과 예비 교사들의 교육봉사활동과 교육실습을 통한 거꾸로 수업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지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거꾸로 수업’으로 알려진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설문 조사인 양적 연구방법과 ‘독특한 사례 지향’방법인 질적 연구방법을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회과 예비 교사 303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그 중 불성실한 답안지 3부를 제외한 300부를 자료로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기술통게와 독립표본T검정, 일원분산분석 통계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설문지 안에 서술형 개방 설문 문항을 넣어서‘독특한 사례 지향’방법인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회과 예비 교사들의 의견들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사회과 예비 교사들은 거꾸로 수업을‘가장 진보적이나, 가장 부담스러운 거꾸로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과 예비 교사가 거꾸로 수업이 창의적이며, 흥미롭다고 느끼는 반면, 다소 어렵고 두려움을 가진다는 점을 볼 수 있다. 원인은 사회과 예비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수업을 접해왔던 강의법과는 너무나 다르기에, 아직 익숙하지 않은 교수법 떄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사회과 예비 교사들은 새로운 교수법에 대해 낯설게 느끼는 실정이다. 너무 진보적이라고 생각하기에 직접 교수법으로 거꾸로 수업을 진행하기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이는 거꾸로 수업이라는 다소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충분한 홍보나 교육이 부족하다는 점을 내포하며, 거꾸로 수업에 대한 충분한 홍보나 정책적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거꾸로 수업에 대한 사전지식을 분석한 결과, 사회과 예비 교사들의 거꾸로 수업에 대해 대체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었다. 사회과 예비 교사들은 거꾸로 수업이라는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에 대해 진보적이고 부담스러워하지만, 거꾸로 수업을 이해하는 부분에 있어서 거꾸로 수업의 특성과 성질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인식과 이해도 차이에 대해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거꾸로 수업에 대해 더 많은 부담을 느끼지만, 더 편안해한다. 반면, 여성은 남성보다 거꾸로 수업을 더욱 흥미로워한다고 나타났다. 이해도 면에서 살펴보자면, 성별에 따른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이해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전체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혐 여부에 따른 인식과 이해도 차이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거꾸로 수업을 경험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보다 더 많은 부담감과 두려움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꾸로 수업을 경험해보지 않았기에 경험해본 사람들에 비해, 거꾸로 수업에 대해서 더 많은 부담감과 더 많은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반면, 거꾸로 수업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보다 거꾸로 수업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느끼고 있으며 더욱 선호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해도 면에서는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이 경험이 없는 응답자들보다 더 높은 이해도를 나타내었다. 전공에 따른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과 이해도의 결과를 살펴보니 전공별로 특징들이 나타났다. 역사교육 전공은 일반사회교육, 지리교육 전공보다 거꾸로 수업에 대해 흥미를 덜 느꼈다. 역사교육 전공은 일반사회교육 전공보다 거꾸로 수업이 덜 창의적이라고 생각했으며, 거꾸로 수업을 더 선호하지 않는 편으로 나왔다. 원인으로 지리과, 일반사회과에 비해 역사과에서는 비교적 많은 수치인 96%의 비율로 강의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거꾸로 수업에 대해 회의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전공에 따른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이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일반사회교육의 응답자가 역사교육의 응답자보다 더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일반사회교육 전공이 역사교육 전공보다 강의법에 덜 익숙하고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접해본 경험이 비교적 있으므로 일반사회교육 전공 응답자들의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교육경력과 경험경로에 따른 거꾸로 수업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육실습, 학원, 기타의 교육경로 차이로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경험경로에 따른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책, 대중매체, 대학(대학원)수업을 통해 거꾸로 수업을 알게 된 경로의 차이도 다양한 결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교직이수기간과 거꾸로 수업의 인지 정도에 따른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직이수 기간이 길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교직이수기간을 가진 응답자들보다 거꾸로 수업에 대해 더 편안하게 느꼈으며, 두려움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꾸로 수업을 잘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 응답자들은 거꾸로 수업을 모른다고 응답한 응답자들보다 더 높은 효과를 느끼고 더 의미가 있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교육경력 기간과 거꾸로 수업의 인지 정도에 따른 이해도 차이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육경력 기간이 길수록 교육경력 기간이 짧은 응답자들보다 이해도가 높았다. 이는 거꾸로 수업의 주요목표와 성격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거꾸로 수업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응답자들은 거꾸로 수업을 모르는 응답자들보다 거꾸로 수업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있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주관식 개방형 서술 문항을 질적자료 분석의 전략적 원리 중 하나인 ‘독특한 사례 지향’방법을 적용하여 거꾸로 수업에 대한 느낌, 기대, 우려,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을 묻는 문항에 질적 분석을 한 결과, 굉장히 다양하고 흥미로운 의견들이 있었다. 개인의 상황과 환경에 따라 동일한 개념인 거꾸로 수업에 대한 여러 시각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거꾸로 수업과 관련해서 한계점들도 지적되었다. 거꾸로 수업의 경험을 묻는 문항에서 거꾸로 수업의 경험의 표본이 19부라는 점, 거꾸로 수업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남성과 여성의 비율 차이가 크다는 점, 사회과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그들이 실제로 거꾸로 수업을 쓰게 될지 안 쓰게 될지도 모르는데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는 점,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조사한 설문조사이기 때문에 전국의 다른 대학교의 학생들의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사회과 예비 교사들의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거꾸로 수업과 사회과 교육 현장에 줄 수 있는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현직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을 물어보는 선행연구는 존재했으나, 사회과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을 물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회과 예비 교사들이 교직에 나아가기 전에 거꾸로 수업을 경험했던 사회과 예비 교사들이 설문을 통해 경험을 되돌아보고 사고하면서 스스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더 나은 교사로 발돋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 교사의 거꾸로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사회과 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단순히 지식 전달을 넘어서 거꾸로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학교폭력문제, 왕따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첫걸음이 되었으면 한다. 단순히 사회과 교육을 넘어 올바른 교육적, 정책적, 사회적인 방안을 제고하고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열린 마음으로 환영하고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교육 여건이 형성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explores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wareness and experiences on Flipped Learning. Since there has been educational effort to improve 21stcentury learner ability such as creativity, collaboration,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which require for knowledge-based society,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with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hich is example-oriented method. This study chose 300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nd examin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a)How they aware of Flipped Learning, (b)How much experience they have in Flipped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and practice teaching. Flipped Learning is recently regarded as a promising instructional strategy. Flipped Learning is the one which overturns previous custom with the critical mind. There are preceding researches for in-service teacher, but not for pre-service teacher. Since pre-service teachers are both the previous students and the pre-instructors, study aimed at the pre-service teachers is meaningful enough for potential teaching method. This study explores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awareness and experiences on Flipped Learning. This study chose 300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nd examined the following the following questin (a) how they aware of Flipped Learning (b) whether they have applied Flipped Learning at class. As a result,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zed Flipped Learning as “the most progressive but the most burdensome”There are also some limits for Flipped Learning. (a) there are only 19 samples for the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b)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Flipped Learning (c) there is the chasm between male and female.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further Flipped Learning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materialized as well as to be applied to educational arena. In addition, more than 300 questionnaires completed by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were analyzed in both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using combined research method.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further Flipped Learning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materialized as well as to be applied to educational aren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