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8 Download: 0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중학교 생물 분류 단원의 학습내용과 탐구활동 분석

Title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중학교 생물 분류 단원의 학습내용과 탐구활동 분석
Other Titles
Analyzing The Learning Contents and Research Activities in Classification Units in Biology in Accordance with the Transition in Learning Curriculum in Science
Authors
정지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The research analyzes the learning materials, educational contents,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biology subject category in accordance with the transition (1)in educational curricula.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in social educ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in biology. Precedent studies on educational curricula, the transition Korean textbooks, and other literary contents in relation to the research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Preliminary analysis standards and tools were designed to analyze the categorical features of educational curricula. Th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biological learning materials proposed in biology chapters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is related to the influences of philosophical trends in education. The first and second education curriculum was influenced by lifestyle and experience centric philosophical trends in education. Therefore the biology textbooks suggested numerous biological species in the learning activities associated with lifestyle issues. The third educational curriculum was mainly influenced by academic-oriented philosophical trends and stressed scientific research. Samples with regards to scientific knowledge and research were the mainstream. From the fourth to six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human-centric, educational philosophy influenced the curriculum which emphasizes the origin of mankind, the growth of mankind and human genetics etc. In response, the textbooks presented various human-related topics and samples. As of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the year 2007, the educational philosophies have entered a knowledge and information era, the emphasis on minimum knowledge for real-life application was pervasive. At this, the learning content also shaped into introducing the fundamental necessities. Secondly, the learning contents in biology suggested in the educational curricula are related to periodic and social influences. The observations from the first to 2007 revision indicated that previous categorization of life in biology textbooks was binary; animals and plants. In the binary system, fungi and molds were included in the plant category. Also, protozoans were included in the invertebrate animal section. The textbook uses notable samples of species to explain the learning content. The educational curricula generally explained the biological values in terms of limited economic values. From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a, contents related to habitual values were included. Also, no concepts of cultural values appeared in the learning content until the present day. Diversified concepts hav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transitions from simple biological categorization to suggesting purposes. Furthermore, the learning content expanded into biodiversity concepts. Thirdly, the research process in the learning contents in biology textbook units proposed in the educational curricula largely consists of observations and categorization of biological forms and functions. Therefore, the fundamental research process is much more frequent than integrated research process. The overall research activities in educational curricula reflected the periodic and social demands in revising its learning directions. The compiled results of the result hold significance in providing valid perspectives in future education in biology by analyzing learning materials, educational contents, and research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major transitions in educational curricula in biology. Biology is closely linked with solving real life issues and active reflection of periodic trends and social demands must be implemented.;본 연구는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물 분류 단원의 학습소재, 학습내용 그리고 탐구활동을 분석하여 과거의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교육과정의 역사적 고찰을 살펴보자 하였다. 이에 미래 사회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과학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변천 관련 연구와 탐구활동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분석 기준과 분석틀을 개발하여, 각 교육과정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제시된 교육과정별 생물 분류 단원의 생물학습소재는 교육사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교육과정과 2차 교육과정은 일상생활문제와 결부되는 식생활과 보건문제에 관련된 생물 종들이 많이 제시되었다. 3차 교육과정은 과학 지식과 탐구활동에 관련된 세균류와 탐구소재 생물종들이 많이 제시되었다. 4차 교육과정부터 5차 교육과정에서는 인간중심 교육사조의 영향으로 생물분류에 관심과 학습내용이 줄어들어 생물학습소재의 종류도 줄어들었다. 6차 교육과정부터는 현재까지 과학·기술·사회교육의 영향으로 환경문제, 생물다양성, 생물자원, 감염병 등과 관련된 생물 종류들이 제시되었다. 둘째, 생물 분류 단원의 학습내용은 교육과정별 교육목표 및 시대적 배경에 따라 분류의 방법, 분류의 체계, 생물의 가치, 생물다양성 등 학습내용의 초점이 달라지고 있다. 단순히 생물을 분류 방법이나 목적을 제시하는 것에서 나아가 개인의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국가적·전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생태 환경적 개념으로 통합하여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별 생물 분류 단원에 제시된 탐구과정은 기초탐구과정(87.2%)이 통합탐구과정(12.7%)보다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기초탐구과정 은 관찰(47.6%), 분류(25.1%), 추리(13.1%) 순으로 나타났다. 통합탐구과정은 자료해석(12.1%), 문제인식(0.7%) 순이었고, 가설설정, 변인통제, 일반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교육과정의 탐구활동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실험(38.1%), 조사(22.7%), 야외실습(17.1%), 토의·토론(17%), 과학적 글쓰기(3.4%), 자유탐구(1.7%) 순으로 나타났다. 관찰, 분류, 자료해석은 꾸준히 제시되어 있고, 추리가 4차 교육과정 이후로 증가하였다. 교육과정의 초기에는 직접 경험 위주의 탐구활동을 중요시하였지만, 최근 들어 자기주도학습, 창의·인성교육, 협동학습, 핵심역량교육 등이 강조되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탐구활동 유형 및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육과정별 주요 변화에 따라 생물 분류 단원의 학습소재, 학습내용 그리고 탐구활동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생물 분류 단원의 학습에 유용한 관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는데 의의가 있다. 생물 분류 단원에서는 실생활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와 관련이 많은 단원이므로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 요구가 적극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생물 분류 단원의 탐구활동은 학습자의 흥미와 과학적 사고력 등의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탐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