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과학 학습 동기 관련 국내 연구 동향

Title
과학 학습 동기 관련 국내 연구 동향
Other Titles
Domestic Research Trend i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 with Domestic Academic Journals in Recent 10 Years as the Center
Authors
김은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 학습 동기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개별적인 연구 단위로 보고된 논문들을 종합·정리하여 과학 학습 동기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술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19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 대상 논문은 분석 기준에 따라 발행연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과학 영역으로 분류하여 해당 분석 기준이 차지하는 비율을 구하고, 과학 학습 동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영역과 부진한 영역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학 학습 동기 관련 논문에서 다뤄진 과학 학습 동기 향상 방법을 파악하고자,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다룬 선행연구를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수·학습 방향에 따라 분류하여 종합하였다. 이는 앞으로의 교육 현장에서 도입되는 교육과정의 큰 흐름에 따라 교사나 교육 관련 관계자들이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향상 방안을 고려하고 원활하게 적용하기 위함이며, 이를 토대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학습 동기 관련 연구는 2007년과 2009년을 제외하고, 매년 10편 이상 꾸준히 게재되고 있다. 특히 2012년에는 21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어 과학 학습 동기 관련 연구가 가장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과학 학습 동기 관련 논문은 대부분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고, 상대적으로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적었다. 셋째, 과학 학습 동기 관련 논문에서 실험 연구를 많이 활용하였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처치하고 과학 학습 동기 측면에서 효과성을 조사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질적연구에 속하는 사례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넷째, 과학 학습 동기 관련 논문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과학 영역은 생명과학이고, 가장 적게 활용된 영역은 물리이다. 다섯째, 과학 학습 동기 관련 논문들을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 따라 분류한 결과, 과학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과 정보 통신 기기를 활용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논문에서 공통적으로 실생활과 관련된 학습 내용을 도입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제공하였으며, 다른 학생들과 협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를 높이고자 하였다.;This research aims at figuring out research trend by analyzing thes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hich are published in domestic scientific journals in recent 10 years and obtaining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by organizing theses which are reported as an individual research unit and putting them together.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eses for studying have been collected with the use of academic paper retrieval system and 119 theses have been selected finally. According to a standard of analysis, the selected theses are classified into 4 areas: year of publication, object of study, method of study, and science, and then the proportion of each criterion is figured out and research areas abou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hich are either well-proceeded or poorly-proceeded, have been identified. Also, so as to grasp methods for enhanc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entioned in thes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preceding researches dealing with means for improv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have been classified and put together according to learning directions suggested by 2015 Revised Korean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This aims for teachers or authorities in education to consider how to increase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pply it smooth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hich are based on the mentions abov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re than 10 studi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have been steadily published each year except in 2007 and 2009. In 2012, especially, 21 papers on the subject were published, which is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appeared in a year. This shows that researches on the subject were most active in that year. Second. thes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have been conducted mostly for ordinary students. Particularly, the research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ively les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underachieved students. Third, in paper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 lot of experimental researches have been used. Researches have been proceeded on treating lessons for students and on the effectiveness regard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but only few case studies, which belong to qualitative research, have been performed. Fourth, The most used scientific field in thes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is life science, and the least used one is physic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s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2015 Revised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it is figured out that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data communication equipments have been utilized in spots of science education. In most of the theses, commonly, learning contents were introduced related to students' real lives, and student-oriented activities for autonomous learners were also provided. Besides, they tried to reinforc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science by creating cooperative atmosphere with other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