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8 Download: 0

현직 중, 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수준과 음악수업에 대한 교수불안

Title
현직 중, 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수준과 음악수업에 대한 교수불안
Other Titles
A study of Middle and high Music Teacher’s PCK and Teaching Anxiety
Authors
윤나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수준과 교수불안 정도를 알아보고 교수내용지식과 교수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따라 전국의 93명의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교수내용지식의 하위영역별 순위를 살펴보면‘교수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기술 및 지식’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가 음악수업 수행능력 수준을 높다고 인식하는데 비해 음악 교과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교수역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수내용지식의 구성요소 중 전문성에 해당하는 하위 두 영역인 ‘전문가적 기질’과 ‘전문적 책무성’은 교수내용지식의 모든 구성요소 중 최고치와 최저치를 나타내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음악에 대한 높은 열정을 갖고 음악 수업을 성실히 준비하는 교사가 반드시 교육공동체 구성원들과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아니었다. 둘째, 전체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성별, 교원자격증 취득기관, 교직경력, 세부 전공, 현 근무지의 학교 급, 현 근무지의 소재지)에 따른 교수내용지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초임 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직경험이 풍부한 경력교사의 경우 교수내용지식을 높게 인식하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과는 다르게 본 연구 결과 교직 경력에 따른 교수내용지식 수준의 세부적인 차이를 찾기는 어려웠다. 셋째,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불안 정도는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교수불안의 하위영역인 특성불안과 상태불안 비교결과 음악 활동을 하지 않을 때 느끼는 특성불안보다 음악활동 진행 도중 음악교수에 대해 느끼는 상태 불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의 하위영역인‘직업적 책임감’이 가장 높은 불안 정도를 보였고 특성불안의 하위영역인‘음악의 본성’이 가장 낮은 불안 정도를 보였다. 즉,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는 음악 자체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있지만, 음악교사로서의 책임감과 사명감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불안감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넷째,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일반적 배경(성별, 교원자격증 취득기관, 교직경력, 세부 전공, 현 근무지의 학교 급, 현 근무지의 소재지)에 따른 교수불안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각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앞서 제시한 일반적 배경에 따른 교수내용지식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은 교수불안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높은 음악교사는 상대적으로 음악 수업에 대한 교수불안을 낮게 형성하고 있는 반면, 교수내용지식이 낮은 음악교사는 상대적으로 높은 교수불안을 가지고 있었다. 각각의 하위 영역과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교수내용지식의 하위영역 중 ‘전문 기술 및 지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수불안 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교수불안의 하위영역 중‘강의’영역의 대한 불안 정도가 높을수록 교수내용지식의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음악교육과 관련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교수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교사 재교육 차원에서 음악교과, 학습자,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음악기술을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수업 컨설팅 및 수업 장학을 통한 음악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 교사의 다양한 음악적 능력과 수업 전문성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현직 중, 고등학교 음악 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파악하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진행될 연구들을 통해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교수불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음악교사의 질 높은 교수활동을 위한 실제적 방안을 모색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PCK and of teaching anxie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article used the survey method and 93 in-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nalysed based on frequency, one-way ANOVA correl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PCK was relatively high. As for ranking among subfields of PCK, ‘teaching ability’ had the highest value and ‘professional skill and knowledge’ had the lowest. This shows that while the level of in-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ability to conduct music classes is perceived as high, the theoretical teaching capacity necessary for guidance of music subject is perceived as relatively lacking. And, ‘professional disposition (disposition as a professional)’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y,’ two of PCK’s subfields corresponding to expertise, had the highest and lowest values among all components of PCK, showing contrasting results. That is, teachers who are highly passionate about music and diligently prepare for music classes did not always build amicable cooperative relations, and have smooth communication, with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Second,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PCK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gender, teacher’s license-issuing institution, teaching career, concentration (specified major), level of school currently serving as teacher, location of school currently serving as teacher) of the entire subject of research showed that the general background did not greatly affect music teachers’ PCK. Contrary to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existing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s than beginning teachers, may have higher PCK level, this study showed it difficult to find detailed differences in PCK level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hird, the level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teaching anxiety was lower than the average. Comparison between trait anxiety and state anxiety, subfields of teaching anxiety, showed that state anxiety, felt toward music teaching during performance of music activities, was higher than trait anxiety, felt toward music teaching during non-performance of music activities. ‘Professional responsibility,’ subfield of state anxiet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nxiety and ‘nature of music,’ subfield of trait anxiety, showed the lowest level of anxiety. That 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in-service middle/high school music teachers, although having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herent nature of music itself, have higher level of anxiety toward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ission as music teacher. Fourth,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teaching anxiety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gender, teacher’s license-issuing institution, teaching career, concentration (specified major), level of school currently serving as teacher, location of school currently serving as teacher)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element of the general background. This, same as in the result of the aforesaid PCK analysis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 of research do not greatly affect the level of teaching anxiety Fifth, while music teachers with higher PCK level had lower level of teaching anxiety toward music classes, music teachers with lower PCK level had higher level of teaching anxiety.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field and the variable showed that higher level of ‘professional skill and knowledge,’ among subfields of PCK, led to lower level of teaching anxiety and that higher level of anxiety toward ‘lecture,’ among subfields of teaching anxiety, led to lower level of PCK. Therefore, to heighten music teachers’ PCK level and lower their teaching anxiety, a systematic education to teach theoretical knowledge on music subject, learners,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and improve music skill has to be conducted at the level of teacher re-education or re-training, and music teachers’ teaching expertise needs to be enhanced through teaching consulting and teaching supervision. At a time when various musical abilities and teaching expertise of teachers are required, it seems meaningful to identify PCK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trigger active future studies on PCK and teaching anxiety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and that practical methods for high-quality teaching activities of music teachers will be explo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