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김은아-
dc.creator김은아-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11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1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6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6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79-
dc.description.abstract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소비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공유경제는 세계적인 경제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공유경제의 유형인 협력적 라이프스타일의 한 형태로 나타난 공유공간의 개념과 업무 환경의 변화, 업무를 대하는 워커(worker)들의 인식의 변화로부터 공유 오피스는 탄생되었다. 공유 오피스는 각자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하나의 업무공간을 공유하고 자발적인 커뮤니티와 협업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 환경 자체가 상품이 되는 공유 오피스의 서비스스케이프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과 분석요소를 도출하여 공유 오피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스케이프 전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유 오피스의 배경, 공간특성 및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현황 분석을 통하여 공유 오피스를 공간지원형태로 분류하고, 형태별 국내 사례분석과 공유 오피스의 이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 분석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그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여 현재의 만족도와 개선 사항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 오피스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원하기 위한 모든 물리적∙사회적 환경을 의미하는‘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분석요인을 쾌적성, 심미성, 공간 사용성, 관계 지향성, 사회성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의 현황을 분석하여 공간 지원 형태를 인큐베이터형, 네트워크형, 네트워크 특화형, 카페형, 코워킹-코리빙형으로 분류하였고, 이 분류에 따라 국내의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서 타 공유 오피스와 차별화되는 특화 서비스 공간과 커뮤니티와 정보에 접근 편리성이 긍정적으로 평가를 얻고 공유 오피스와 별개로 느껴지는 편의시설과 건물 공동 공간에 대한 평가가 다소 부정적으로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용자들의 공유 오피스의 이용 형태를 분석한 결과, 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고 개인 업무와 창업 관련 업무를 위하여 이용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들의 이용기간은 6개월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쾌적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사회성에 대하여 가장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요인은 창의성을 자극하는 공간, 공간의 주도적 선택 및 가변성, 자연스러운 커뮤니티 동선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인 분석의 결과는 국내의 공유 오피스는 그 핵심 가치인 창의적이고 유연한 공간과 커뮤니티 형성에 개선이 필요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따른 개선 전략 방안과 이용자들에게 진정한 공유 오피스의 경험을 제공과 공유 오피스 브랜드 형성을 통한 서비스스케이프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의 공유 오피스의 현황 파악과 이용자들의 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만족도에 대하여 파악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 전략을 제안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더욱 전문화∙세분화되는 공유 오피스의 발전에 디자인 전략 방안으로써 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의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Due to changes in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a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shared economy has become a trend in the global economy. A shared office is a space where people from different fields share a work space and collaborate with a voluntary community. Shared offices were derived from the changed understanding of shared space, changes in work environment and changed perception of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ervice landscape strategy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users of shared office by establishing the concept 'co-working servicescape' which can be analyzed using the sevicescape of the shared office. For this purpose, the backgrou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ervice landscape of the shared office were discuss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concept of the co-working servicescap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the shared offic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space support type. Moreover, advanced domestic shared office related studies were analyz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02 users who experienced using the shared office.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urvey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co-working servicescap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the two and found needed improvements, and proposed the strategies according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cept of 'co-working servicescape' consists of comfort, aesthetics, space usability,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sociality.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domestic situatio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pace support type into incubator type, network type, network specialized type, cafe type and co-working & co-living type. Moreover, by comparing the best domestic case and the rest, the researcher has found out the factors that earn positive feedbacks from the users and these are special services and the convenience of sharing information with the community whereas the factors that earn negative feedbacks are the far distance between the shared office and the convenience facility and discomfort usage of the commonly used space such as the elevators and the restrooms. 2. As a result of analyzing users' usage patterns of shared offices, the users mainly used it for personal affairs or start-up related work and the users’ work experiences were more than 6 years. In addition, their usage period was less than 6 months.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users' co-working servicescape has shown that comfor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le sociality is the most satisfied factor. The researcher thinks that the users’ short usage period is the main cause of this outcom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st the different type of users and the common factors that need improvement were the spaces that stimulate creativity, allow variability, and lead to natural interaction. 3. The results of the overall analysis show that the shared offices in Korea are in need of improvement in terms of a creative and flexible space and a community form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s the improvement strategies, user’s true shared office experience and a shared offices’ brand philosoph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hared offices, search for the problems and suggest a service landscape strategy based on the needed improvements. Through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data would contribute to any further development of the shared offices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방법과 구성 2 Ⅱ. 이론적 고찰 4 A. 공유경제와 변화하는 업무 환경 4 1. 공유경제와 공유공간의 개념 4 2. 업무 환경의 변화 7 B. 공유 오피스 개념과 공간 9 1. 공유 오피스 개념 9 2. 공유 오피스의 선행연구 고찰 12 3. 공유 오피스의 공간구성 14 4. 공유 오피스의 공간특징 17 C. 공유 오피스의 서비스스케이프 23 1.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과 구성요인 23 2. 서비스스케이프의 작용과정 26 3. 서비스스케이프의 접근방법 27 4. 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 개념 및 분석요인 29 D. 공유 오피스 이용자 특성 31 Ⅲ. 공유 오피스의 국내 시장 현황 및 서비스스케이프 분석 34 A. 공유 오피스 현황 34 1. 해외 현황 34 2. 국내 현황 36 3. 공유 오피스 유형과 멤버십 38 B. 국내 사례 서비스스케이프 분석 41 1. 사례 선정 및 분석 방법 41 2. 국내 사례 분석 44 3. 국내 사례 분석 소결 49 Ⅳ. 공유 오피스 이용자의 서비스스케이프 중요도-만족도 분석 53 A. 연구 조사방법 및 조사도구 53 1. 연구 조사방법 53 2. 연구 조사도구 53 B. 자료 분석 56 1.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56 2. 중요도-만족도 분석 57 C. 조사결과 및 논의 59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9 2. 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 신뢰도 분석 61 3. 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 요인 분석 63 4. 코워킹 서비스스케이프 이용유형별 중요도-만족도 분석 69 5. 분석결과 소결 86 Ⅴ. 공유 오피스의 서비스스케이프 전략 제안 88 Ⅵ. 결론 93 A. 연구 결과 요약 93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96 참고문헌 97 부록 101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738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공유 오피스의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 전략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rvicescape Design Strategy of Shared Office-
dc.format.pagevii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