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중학생의 오케스트라 활동 경험과 정서적 안정성의 관계

Title
중학생의 오케스트라 활동 경험과 정서적 안정성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Orchestra Activity and Emotional St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오케스트라 활동 경험과 정서적 안정성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연구자는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성의 수준과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행동양식상의 특성에 따른 정서적 안정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설문지 개방형 문항을 통하여 정서적 안정성을 포함한 여러 측면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느끼는 변화와 어려움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의 중학교 및 청소년 수련관에서 운영 중인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교 1, 2, 3학년 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등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은 활동을 하는 동안 평균적인 정서적 안정성을 경험하였으며, 하위요인에 있어서는 열등감, 긴장수준, 공격성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열등감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오케스트라 활동이 단체 활동으로서 타인과 자신의 연주 실력을 비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유추하였다. 따라서 지도자는 개별 수준에 걸맞은 세심한 지도 방식으로 학생들의 효능감을 높이고, 음악성 뿐 아니라 정서적 측면의 균형적인 계발을 고려한 적절한 배려 및 격려를 통해 학생들의 열등감을 해소하고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오케스트라 활동과 관련된 행동양식상의 특성 중 정서적 안정성과의 관계성이 나타난 특성은, 참여 기간, 시작 동기 및 지속 동기, 참여 횟수 및 1회 참여 시간, 개인 연습 여부, 다른 음악 활동 참여 여부, 선호도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오케스트라 활동에 있어서 장기적인 참여를 유지하고 활동을 위해 꾸준히 긴 시간을 투자할수록, 그리고 보다 다양한 음악 활동에 참여할수록 중학생의 정서적 안정성 증진에 기여한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교육 환경에 놓여 있더라도 학생이 활동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참여할수록 높은 정서적 안정성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개방형 문항을 통해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97.7%가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 중 정서적 안정성의 증진에 관한 내용도 적지 않게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40.8%가 활동에 참여하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일부 응답 또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오케스트라 활동이 대다수의 학생들의 정서 및 정서적 안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사실로 증명되었다 할지라도, 모든 학생들에 대해 성급히 일반화할 수 없으며 학생 개개인의 특성 및 환경을 충분히 고려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오케스트라 활동에 있어서 학생들이 목적의식과 몰입을 강화하고 활동 그 자체의 가치를 내적 동기화하는 것의 중요성, 그리고 이를 위한 지도자 및 보호자의 관심과 격려, 충분한 지원 등 적극적인 협조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오케스트라 활동 경험 요인을 세분화하여 정서적 안정성과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한 정서 함양의 가치 및 교육적 시사점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기 오케스트라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궁극적으로는 청소년을 위한 오케스트라 활동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라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chestra activity experience and emotional st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has selected the research problem to figure out the emotional stability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orchestra activities and the difference in emotional stabil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atterns of behavior. Questions for descriptive answers were used in questionnaires to look at the difficulties and changes felt by students themselve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emotional stability.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a total of 136 middle school students taking part in orchestra within middle schools and youth training centers located in Seoul were given the questionnaire. An analysis of frequency took effect on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question, and went through calculating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etc. The result of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participating in orchestra experienced an average level of emotional stability, with the sub-factors being highest from a feeling of inferiority, tension to aggressiveness. It was inferred that the inferiority level was marked highest because of the comparison of musical abilities among students. Thus, the conductor would find out ways to enhance the efficacity of students through personalized instructions made for each student in their levels, and relieve the feeling of inferiority but rather improve their confidence by giving apt care and encouragement for not only their musicality but also for balanced development of emotional status. Seco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emotional stability within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of behavior of middle schoolers taking part in orchestra showed to be the time of enrollment, starting and continuing motivation, attendance and the duration of one class, personal practice, participation in other musical activity, and preference in the activity. Through this outcome it was deduced that the longer the student take part in the orchestra, the longer the time that is constantly spent, and the wider the range of musical activity, the higher the emotional stability.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voluntarily, actively, and positively showed higher level of emotional stability despite the same educational environment. Third, the questionnaire with descriptive answers showed that 97.7%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felt positive changes through orchestra, with risen emotional stability mentioned by several individuals. However, 40.8% answered they had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is activity, and some of them were being negatively affected in emotional stability. Although this tells us that orchestra activity gives positive impact on emotion and its stability of most students, this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thus every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must be thoroughly reflect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were able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students in reinforcing a sense of purpose and immersion, and internally synchronizing the value of this activity itself, along with encouragement, sufficient support, and positive cooperation of instructors and guardian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e value of emotional cultivation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orchestra activit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tability and the subdivided factors of orchestra exper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study, we look forward for a better awareness in the importance of orchestra activities in adolescence, and for all the orchestras to be revital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