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근대 서구인의 눈에 비친 한국 여성

Title
근대 서구인의 눈에 비친 한국 여성
Other Titles
Korean Women in the Eyes of Modern Westerners : Focus on the Works of Elizabeth Keith
Authors
이은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본 논문은 20세기 초 동아시아를 무대로 활동한 영국 출신의 작가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의 작품에 나타나는 한국 여성 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19세기말의 개항으로 인하여 증가한 서구인 방문자들과 이들이 생산한 한국 여성 이미지를 바탕으로, 키스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한국 여성 이미지를 비교하여 분석하고 그 안에 담긴 키스의 다층적인 시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76년 조일수호조교(朝日修好條規)를 체결하기 이전까지 한국은 폐쇄적인 외교정책을 유지하였고, 이로 인하여 한국에 대한 정보는 서구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개항 이후 일본의 주도로 국제교통망이 갖추어지고 관광증진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한국에 대한 인류학적 호기심을 가지고 한반도를 찾는 서구인 여행자의 숫자는 1910년대를 전후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 때, 한국을 찾은 여행자들이 남긴 문헌, 시각 기록이 파급력있는 대중매체를 통하여 널리 유통되면서 서구 사회 내에도 비로소 한국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한국에 대한 인식 중 한국 여성의 이미지는 유독 부각되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에는 서양을 우월한 남성으로 동양을 열등한 여성으로 비유하곤 하던 서구 제국주의의 인종차별적이고 성차별적인 시선이 녹아들어있다. 키스와 같은 서구인 여행자들과 이들이 남긴 기록의 숫자가 점증하기 이전이었던 1910년 이전의 서구 사회 속 한국 여성이미지에서도 이와 같은 차별의 시선을 확인할 수 있다. 19세기 초의 프랑스 작가 자크 그라세 드 생 소뵈르(Jacques Grasset de Saint-Sauveur)는 19세기 서구인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던 남태평양 제도의 여성에 대한 기존 인식을 투영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국인 여성을 야만인이자 낯선 타자의 이미지로 재현하였다. 또한 서구인들은 가마, 장옷, 쓰개치마 등을 활용하여 은둔하는 한국여성의 이미지를 인위적으로 연출하고 촬영하고 또한 구입함으로써 자신들이 바라보고자 하는 폐쇄적인 한국 여성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에 가담하였다. 동시에 서구인들은 과중한 노동과 빈곤에 시달렸던 하류층 여성의 드러난 신체 이미지를 대량으로 연출, 생산하며, 이들을 성적인 유희거리로서 소비하였다. 당대의 가장 강력한 제국주의 국가 중 한 곳이었던 영국 출신이자, 한국을 식민지배하던 일본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였던 작가 키스 또한 동시대의 많은 서구인들처럼 한국 여성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데에 있어서 차별어린 시선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키스는 한국의 변화하는 모습은 의도적으로 생략하고 ‘과거 속의 선인’이라는 스테레오 타입에 맞추어 이상화된 한국 여성 이미지를 그렸다. 또한 한국 상류층 여성들의 개별적인 삶의 이야기보다는 그들의 복식과 외관과 같은 객관적 요소를 묘사하는 데에 치중함으로써 그들을 마치 인류학적 정보 수집의 대상처럼 도구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키스는 동시대의 여타 다른 서구인들과는 달리 당대 한국 여성의 삶을 좀 더 밀접하게 이해하려는 노력을 담은 이미지들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키스의 작품 속에서 가슴을 드러낸 한국 여성의 이미지는 가사 노동자이자 어머니였던 한국 여성들의 고달픈 삶을 재현하는 요소로서 활용되었다. 또한 혼인을 앞둔 울적한 신부의 이미지에서는 여성억압적인 한국의 결혼제도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인 생각이 엿보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키스는 한국 여성을 낯선 타자로 구분 짓는 차별어린 시선뿐만이 아니라 이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따뜻하게 이해하려는 공감어린 시선을 함께 가지고 있던 작가였다. 본 논문은 작가의 일대기적인 정보를 정리하고 개인적인 감상을 서술하는 차원에 머물러 있던 키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당대의 시대상 속에 작가를 위치시키고, 그 안에서 키스가 시대적인 배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되 그에 완전히 매몰되지는 않았던 다채로운 면모를 지닌 작가였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This thesis is a research on the perceptions towards Korean women portrayed in the artworks of the British artist Elizabeth Keith (1887-1956) who mainly worked in East Asian countr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After the ports opened in the late 19th century, an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visited Korea and left many portrayals of how they perceived Korean wome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views with those that were shown in Keith’s artworks, this thesis aims to define the diverse ideas that can be found in Keith’s work. Before the signing of the Korea-Japan treaty of 1876, Korea maintained a closed foreign policy and this made it hard for those in the West to gain information about Korea. However, after the ports opened, international traffic networks were built under the leadership of Japan and tourism promotion policies were enforced, rapidly increasing the number of western travelers with anthropological curiosity towards the country visiting the Korean peninsula before and after 1910. The documents and visual records left by the travelers at that time were spread widely through powerful media, creating a general understanding about Korea in the Western society and it seems that perceptions towards Korean women were emphasized more than any other views towards Korea. This reflects the racist and sexist views that existed during the Western imperialism that portrayed Westerners as superior men, and Asians as inferior women. Even before the 1910s when the number of records by Western travelers including Keith’s, were increasing, discriminative perceptions towards Korean women could be found in the Western society. The 19th century French writer and graphic designer Jacques Grasset de Saint-Sauveur reproduced the image of Korean women as uncivilized and foreign strangers based on his imagination and the general portrayal of women living in the South Pacific Islands by Westerners at that time. Westerners also used the traditional Korean palanquin, Gama and cloaks and garments such as Jang’ot and Sseugaechima to create and film Korean women in artificial ways as those living secluded lives. Westerners also purchased these final products which added on to how they wanted to view Korean women as secluded people. At the same time, they also created and produced visual images of those who were under great workload and poverty by showing off certain parts of their body and consumed these images for sexual amusement. The British artist Keith, who was from one of the most powerful imperialist countries and a country that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Korea’s imperialist Japan, also had a discriminative view when reproducing images of Korea, just like the Westerners at that time. Keith purposely omitted the changes Korea was going through and focused on the idealized and stereotypified image of Korean women as ‘hermit of the past.’ Additionally, rather than looking into the individual lives of high-class women, she focused on depicting objective features of them, such as their clothing and appearance, making them no more than a subject to gather anthropological information. Nevertheless, unlike Westerner of that time, Keith also produced visual images trying to reflect and understand the lives Korean women were going through. Korean women that had their breasts exposed in Keith’s artworks were used to portray the difficult lives Korean women were living both as a person doing domestic choirs and as a mother. Also, in the artwork that shows a sad bride just before her wedding shows the artists critical view towards the Korean marriage system that oppressed women. Likewise, Keith was an artist that had both a discriminative view that classified Korean women as foreign strangers and a sympathetic view that tri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these women were going through. This thesis goes beyond listing the information of Keith’s life and narrating personal opinions, and extends from the previous research by placing the artist back into the period she lived in. Through this, this thesis proposes that Keith was influenced by the contemporary atmosphere, but was an artist who had various opinions towards what was going on and was not completely biased by the dominant views of that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