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8 Download: 0

북한 공개처형의 사회통제기능 연구

Title
북한 공개처형의 사회통제기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 Control Function of Public Execution in North Korea
Authors
유혜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대석
Abstract
본 연구는 공개처형이 북한 당국의 정권 안정성 확보와 사회 장악을 위한 통제체제 내의 한 수단으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개처형 실태 관련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공개처형의 시행이 북한 주민의 감정과 인식 및 향후 행위의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북한 내 국가-사회 관계 변화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조사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택하였다. 문헌연구는 북한당국이 발간한 1차 자료와 관련 자료에 대한 국내외 연구자들 논문, 단행본, 언론보도 및 기사와 같은 2차 자료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심층면접조사는 공개처형을 목격한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 21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사회통제이론을 바탕으로 사회통제체제 개념을 정의하고 이에 적용하여 북한 사회통제체제 개념을 고찰하였다. ‘북한 사회통제체제’의 경우 북한당국이 체제유지를 위해 북한 주민의 일탈행동을 내적인 부분에서 외적인 부분까지 교육적․처벌적 수단과 방법으로 통제하는 제도의 포괄적 체계를 뜻한다. 북한 공개처형의 사회통제기능은 공포심을 통한 사회통제 기능과 반발심을 통한 사회통제 역기능으로 살펴볼 수 있다. 사회통제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나도 저렇게 죽을 수 있다’ 하는 공포심 유발과 사회통제이다. 북한주민은 공개처형을 통해 ‘나도 저렇게 죽을 수 있다’ 하는 무서움과 두려움을 갖게 되며 이러한 공포심을 통하여 북한 당국은 주민통제를 통해 체제유지를 할 수 있다. 둘째, ‘수백, 수천 명이 모인 공공장소’와 같이 동네 사람들이 모두 들어갈 수 있는 공공장소에서 처형을 통한 공포심 확산과 사회통제이다. 이는 공포처형이 주는 공포심을 ‘공공장소’라는 공간에서 극대화하여 최대의 많은 수의 북한 주민들을 북한 당국의 의도대로 교양시키기 위한 것이다. 셋째, ‘너무 끔찍해서 못 보겠다’ 하는 잔인한 처형 방법을 통한 공포심 강화와 사회통제이다. 공개처형을 목격한 사람의 경우 잔인한 처형 방법을 보고 나서 단기적이든 장기적이든 공포심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공포심은 북한 당국이 금지하는 행위를 하지 않게 통제하는 역할을 하였다. 사회통제 역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계형범죄 처형에 대한 반발심과 피해자 동정의식 유발이다. 북한 주민은 생계유지를 위한 일이라면 그게 잘못된 방법임을 알면서도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며 친인척과 이웃의 비법행위 역시 마찬가지로 용인할 수 있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둘째, 불공정한 처형 판결에 대한 반발심과 당국에 대한 신뢰 약화이다. 공개처형 대상자의 경우에도 계층 지위와 뇌물을 통해 처형에서 제외되는 식의 불공정한 처벌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북한 주민의 불만과 반발심이 확산되어 있다. 셋째, 잔인한 처형 방법에 대한 반발심과 그로 인한 이탈동기 유발이다. ‘사람을 꼭 저렇게 잔인한 방법으로 죽여야 하느냐’라는 식의 반발심은 북한 당국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생각하게끔 하며, 결국은 북한 체제 이탈 동기의 유발 요인이 되고 있다. 북한 공개처형의 사회통제기능 연구에서 중요한 점은 기능과 역기능이 동시에 작동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북한 당국은 공개처형이 가져다주는 공포심을 통해 사회통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공개처형 이후 주민 사이에 반발심이 생겨나 북한당국이 의도하는 사회통제 및 체제유지와 상반되는 영향을 가져오기도 하였다.;This study analyzes how public execution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DPRK) functions as a means for the DPRK authorities to procure the stability of the regime and social contro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lications about the chang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PRK state and the society, which will be achieved by confirming the facts about public executions within the DPRK and analyzing how implementation of public executions affects the emotion, perception and future decision-making of North Korean people.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a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The literature research consists of a review of primary sources published by the DPRK authorities as well as secondary sources that include relevant dissert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books, and press reports including newspaper articles. Moreover, based on testimonies on North Korean defectors from existing literatu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1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witnessed public executions. Based on the Social Control Theory, this study considers the concept of social control and specifically applies it to the social control system in the DPRK. For this study, the concept of social control proposes that a society controls deviant behaviors from its established norms by using internal and external methods of control. Based on this definition, the system of social control within the DPRK is a comprehensive system of policies that controls deviant behaviors of its people by using educational and penal method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order to maintain the DPRK regime. When examining the social control function of public executions in the DPRK, both social control function using fear and dysfunction arising from defiance can be seen. First, the social control function of public execution in the DPRK is the instigation of fear among people that they may also die in the same way. Public executions in North Korea evoke fear among its people, giving them the thought that they may be executed as well. It is with such fear that the DPRK authorities exercise control over the people and maintain the regime. Second, it is social control achieved through the spread of fear by carrying out executions at public places that can accommodate hundreds or thousands of people from the town. The fear instigated from the public execution is expanded in public place, through which the authorities educate the North Korean people in accordance to their intentions. Third, it is instigating fear through the brutality of the public execution method. Witnesses are likely to experience fear, whether short-term or long-term, and such fear controls prohibited actions set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e dysfunction of social control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defiance against executing convicts of livelihood-related crimes and sympathy for these people. North Korean people have a tendency to believe that it is inevitable to use illegal means for the sake of their sustenance. This notion further leads them to accept and understand the illegal actions committed by their neighbors, friends or relatives. Second, it is defiance to the unfair decision of the court and weakening credibility toward authorities. Even for convicts facing public executions, unfair punishments have continuously been imposed, which often arise from exempting particular people for their high social class and bribery. This has consequently spread discontent and resentment among the North Korean people. Third, it is defiance to the brutality of executions that induces people’s desire to break away. Public executions evoked doubt about the necessity of using such cruel methods to kill people and this led to a tendency among people to perceive the authorities negatively, further inducing their desire to escape the North Korean reg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rests in the confirmation of both the functions and dysfunctions of social control in the case of public executions in the DPRK. The DPRK authorities have been maintaining social control through fear instigated from public executions but this, on the other hand, aroused defiance among the North Korean people. As a result, this caused a contrasting effect from the social control and regime maintenance that the DPRK authorities had initially inte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