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8 Download: 0

한국판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Korean version of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s Scale; K-SOMS) 타당화

Title
한국판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Korean version of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s Scale; K-SOMS) 타당화
Other Titles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s Scale
Authors
박도담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s Scale(K-SOMS). Although K-SOMS follows LGBQ Microaggressions on Campus Scale(LGBQ-MCS) developed by Woodford, Chonody, Kulick, Brennan, & Renn(2015), its name has been changed because its item composition, factor structure, and range of applicable subjects are different from LGBQ-MCS. To validate K-SOMS, item translation,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a sample of 360 individuals who self-identified as a non-heterosexual. As a result, a three-factor structure with general, personal, and environmental microaggressions as the subfactors were supported. Next, item analysis and higher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other sample of 361 individuals who self-identified as a non-heterosexual. These analyses confirmed that the 3-factors model was fit to the data.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K-SOMS were assessed using Cronbach’s α, standardized factor loadings and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by correlations between K-SOMS and other scales(The General Belongingness Scale, Anti-gay violence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Stigma Consciousness for Gay Men and Lesbians Questionnaire, and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of K-SOMS confirmed based on the research will make it a good tool to deepen the understanding against Korean sexual minorities’ discrimination experiences in future research.;본 연구에서는 이성애 이외의 성적지향을 지닌 국내 성소수자들이 성적지향에 근거 한 마이크로어그레션(microaggression)을 경험하는 빈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Woodford, Chonody, Kulick, Brennan, & Renn(2015)의 대학 내 LGBQ 마이크로어그 레션 척도(LGBQ Microaggressions on Campus Scale; LGBQ-MCS)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 개발 과정에서 삭제되었던 문항들까지 포함 한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판 척도를 제작하고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신뢰 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이크로어그레션은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지, 인종, 성별, 성적 지향, 종교와 관 련하여 개인 또는 집단을 향한 적대적, 경멸적 또는 부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 상적으로 발생하는 언어적, 행동적, 환경적인 모욕이나 무시”를 의미한다(Sue et al, 2007). 해외에서는 마이크로어그레션이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위협이 되고 있음을 보 여주는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 여러 성소수자를 향한 폭력 및 차별 중 마이크로어그레 션 개념에 주목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성소수자가 경험하는 마이크로어그레션을 측정하는 척도가 국내에서 개발되거나 타당화된 적이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Woodford 등(2015)의 LGBQ-MCS를 국내의 사회문화적 맥 락에 맞게 개정하고 타당화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척도의 20개의 문항과 개발과정에서 삭제되었던 11개의 문항을 포함한 총 31개의 문항들을 번역 및 역번역 절차를 거쳐 번안하였다. 본 척도와 준거 관련 타당 도를 확인하기 위한 척도와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하여 온라인 설문지를 구성하였 다. 오프라인의 눈덩이 표집 방식과 온라인 매체를 이용하여 표집한 결과, 설문 응답 자는 총 1,721명이었다. 둘째, 연구 조건에 부합하는 721명의 완전자료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 석을 위해 각각 360명, 361명씩 무선할당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31개의 문항 중 문항 분석을 통과한 26 문항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원척도와 다른 기준으로 구분되는 3요인 모형이 적합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요인부하량이 낮고 이론적 근거가 빈약한 두 문항은 제거되었다. 세 가지 하위요인은 일반적․개인 적․환경적 마이크로어그레션이었다. 셋째, 문항 분석에서 검증된 24개의 문항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 다. 먼저 새롭게 분류된 3요인 모형이 다른 표본으로 구성된 자료에도 적합함을 확인 한 후에, 고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세 가지 하위요인이 더 높은 수준의 이차 요 인인 마이크로어그레션을 측정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24개의 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하였다. 넷째, 내적합치도(Cronbach’s α)를 통해 본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연구2의 문항 분석에서 각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 계수는 일반적 마이크로어그레션은 .860, 개 인적 마이크로어그레션은 .861, 환경적 마이크로어그레션은 .761, 전체 척도는 .920으로 나타나서 본 척도의 신뢰도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섯째, 본 척도의 구인 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각 하위요인별로 표준화된 요인부하량은 모두 기준치인 .5 이상, 요인 간 상관은 기준치인 .9 이하였기 때문에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상관분석을 통 해 준거관련 타당도 중 동시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마이크로어그레션 경험 빈도는 일반적 소속감과 부적 상관을 지니는 반면에 우울 증상, 낙인 의식, 수용 걱정, 반동 성애폭력과는 정적 상관을 지니고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내 LGBQ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를 한국판으로 개정하고 타당화 하여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국내에 소개하는 것에 의 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여러 성적지향을 지닌 성소수자를 대규모로 표집하여 성소수 자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향후 본 척도를 활용하여 성소수자들의 경험 에 대한 심화적인 이해와 마이크로어그레션 방지 및 대응 방안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