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9 Download: 0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 분석

Title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 분석
Other Titles
Analyzing Korean Teaching Materials from an Inter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Authors
김예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영빈
Abstract
오늘날 한국 사회는 다양성과 이질성이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이에 타인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문화 간 평화적 공존을 지향하는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다양한 문화가 혼재되고 충돌하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수단으로 축소시켜 다루는 경향이 있어 학습자에게 한국 문화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은 학습자에게 문화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가지게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문화에 대한 우월감 또는 열등감을 심어 줄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적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갈등 상황을 원만히 해결하고 관계를 유지해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호문화교육(intercultural education)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고, 현 한국어 교재의 상호문화역량(intercultural competence) 분석을 통해 상호문화적 관점 반영 정도를 파악하여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Ⅱ장에서는 크게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상호문화교육으로 나누어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에서는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흐름을 알아보았다. 상호문화교육에서는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다룬 뒤, 상호문화성(interculturality)을 통해 상호문화주의의 개념을 더욱 명료하게 하였다. 이후, 상호문화교육의 발생 배경과 그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호문화역량의 정의와 그 구성 요소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문화 영역에 나타난 상호문화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네 종류의 한국어 교재를 이주 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다문화 배경 청소년의 학습 대상 별로 분류한 후, Byram이 제시한 5가지 상호문화역량의 구성 요소를 재구성한 지식(knowledge), 기술(skills), 태도(attitudes)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몇몇 교재에서 상호문화적 관점을 견지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상호문화적 관점의 비중이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제Ⅳ장 결론 및 제언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한 뒤, 추후 한국어 교재의 문화 영역 내용 구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 교재에 상호문화적 관점이 더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분석 대상을 교재 내 문화 영역으로 한정함으로써 교재 전체에 반영된 상호문화적 관점을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향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도록 하는 하나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향후 한국어 교재 집필에 있어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인식을 재고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상호문화적인 접근과 변화의 시도가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Korea's society is now phas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diversity and differences coexist. Thus, there is an increased interest in intercultural beliefs that aim for a peaceful coexistence among cultures while focusing on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trend is seen in Korean education classes where diverse cultures get mixed up and collide with each other. Since the current Korean education system is concentrated on communication skills, culture has become the means to communicate, which creates the problem of over-emphasizing the study and imitation of the target culture to the learners. This type of education opens up the possibility for learners to have a narrow-minded view about culture, which may create the danger of making learners feel superior or inferior to culture.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provide intercultural education as a response to help Korean learners maintain relationships and peacefully overcome difficulties while they live in today’s multicultural reality.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grasping how much intercultural perspectives are reflected in them, this research will seek ways to improve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the second chapter, the categories were mainly divided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to take a look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former part, the research talked about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and the flow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classes. In the latter part, the research talked about the idea and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ism, and through the explanation of interculturality,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sm was made clearer. Then, the chapter went on to mention the arising background and metho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Lastly, the capacity of interculturalism and its components were stated. In the third chapt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shown in the culture sector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foreigners. Korean teaching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 immigrant workers, marital immigrants, foreign students, and teenag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is research made use of the five components of interculturalism that were proposed by Byram and divided those components into three sections, inclu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though efforts were made to adhere to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in some materials, generally, it was clear that the importance of intercultural perspectives was very low. By putting together such results, improvement plans for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made. In the fourth chapter, which is the conclusion and proposal, a summary of the research was made. In the chapter, the following are the proposals for the culture sector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First, a correct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education is needed. Second,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must be more actively portrayed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this research, as the analysis was constrained to the culture sector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research fails to reflect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in the whole of teaching materials. But this research can be a turning point to be considered as a trend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is study reconsider the recognition of interculturalism in making the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Futhermore, I hope this intercultural approach and intent for change may contribute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